View : 61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황규호-
dc.contributor.author오성은-
dc.creator오성은-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42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42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7623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503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6230-
dc.description.abstractThere has been an increase in the population mobility due to various and complex factors such as the impact of the global immigration, the increase of the international exchange, the phenomenon of low birth rate and aging, the imbalance of supply and demand of marriage, etc. There has been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married female immigrants in Korea along with the trend. The married female immigrants have been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the Korean society as giving birth and raising a child in the future through becoming an entity of a household at the same time of immigration. Thus, to enable them to adapt and live adequately in Korea is a very important task from the social perspective as well as the personal perspective. In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such task, there have continuously been the researches to understand the living conditions of the married female immigrants and the studies on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the adaptation education for them. However, the previous studies have been interested insufficiently in how the adaptation educations for the married female immigrants have been conducted in the field and how well they were received by the married female immigrants; thus, they could not properly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adaption educations. Based on this awareness of the problem, this study will examine the adaptation education program from the comprehensive point of view and re-explore as to direction of the adaptation education as reviewing the perception and conflicts and difficulties of the adaptation education through the voices of the married female immigrants who were the participants of the adaptation education program. Therefore, the study questions have been set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by the married female immigrants in the process of the adaptation education? Second, what perception do the married female immigrants have as to the appropriateness of the contents of the education?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conflicts and difficulties that the married female immigrants have been experiencing in the adaptation education program using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in order to explore the study questions. It wrote the interview guide through the learning outcomes and pre-interview, the analysis of the previous studies, the observation for participation, etc. and conducted the in-depth interview based on these. Thus,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ifficulties as to the process of participation for the education that the married female immigrants have been experiencing can be divided into the difficulty of securing a time to participate in the education, the difficulty due to the way of operation of the educational institute, the difficulty of participating in the education due to the negative perception of Koreans and the difficulty as to human relations. Second, it examined what perception the married female immigrants had as to the appropriateness of the contents of the education. The immigrants had a positive response to the preparatory education for Korean proficiency test and the contents of promoting emotional stability. On the other hand, they had a negative response to the fact that there has been an insufficient consideration of education difficulty for the education subjects, and also they had a negative view on that it was hard to apply to real life with the contents that did not match the reality. There have been some contents that were specifically requested by the immigrants since they had not been sufficiently treated as an actual educational content. These were the Korean social economical system, the cultural uniqueness of Korea, children’s education, employment, school admission, etc. Meanwhile, the problem of the difference of perception as to the identity of the minority groups being treated as an educational content, which have never been however mentioned in the previous studies, has became salient. This study has proposed as follows based on these findings. First, it is necessary to have a precise analysis on the requirements and evaluation of the education program. Second, it is imperative to provide a customized education through sophisticated measures to address various demands. Third, it is necessary to discuss on the education beyond the adaptation education for minority groups. Fourth, it is necessary to train teachers in order to change the perception and attitude of the multi-cultural teachers. Fifth, it is necessary to have an education to change the perception of Koreans.;세계적 이주화의 영향, 국제교류의 증가, 저출산·고령화 현상, 혼인수급 불균형 등 매우 다양하고 복잡한 요인들로 인해 인구 이동이 활발해지고 있다. 그 흐름과 함께 국내 여성결혼이민자의 수가 증가하고 있다. 여성결혼이민자는 이주와 동시에 한 가정의 주체가 되며 미래에 자녀를 출산, 양육하는 등 한국사회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따라서 이들이 한국에 잘 정착하여 생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개인적 측면에서 뿐만 아니라 사회적 측면에서도 매우 중요한 과제이다. 이런 중요성을 인식하고 여성결혼이민자의 생활 실태 파악과 이들을 위한 적응교육 개발 및 운영에 대한 연구가 계속해서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선행연구들은 여성결혼이민자 대상 적응교육이 현장에서 어떻게 시행되고 있으며 대상자들은 어떻게 받아들이고 있는가에 대한 관심이 미흡하여 적응교육 프로그램의 실효성을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는 한계를 갖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적응교육 프로그램 참여자인 여성결혼이민자의 목소리를 통해 적응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과 갈등, 그리고 어려움을 살펴봄으로써 적응교육 프로그램을 종합적인 관점에서 파악하고 적응교육의 방향에 대해 재탐색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여성결혼이민자들이 적응교육 참여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은 무엇인가? 둘째, 여성결혼이민자들은 교육 내용의 적절성에 대해 어떠한 인식을 갖고 있는가? 이러한 연구문제를 탐색하기 위해 질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여성결혼이민자가 적응교육 프로그램 내에서 겪고 있는 갈등과 어려움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학습 결과물과 사전 면담, 선행연구 분석, 참여관찰 등을 통해 면담 지침서를 작성하고 그것을 토대로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도출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결혼이민자들이 경험하고 있는 교육 참여 과정에 관한 어려움은 교육 참여 시간 확보의 어려움, 교육 기관의 운영 방식에 기인하는 어려움, 한국인의 부정적 인식에 따른 교육 참여의 어려움, 인간관계에 관한 어려움으로 나눌 수 있었다. 대부분의 시부모와 남편들은 외국인을 가족으로 받아들였음에도 불구하고 한국에서 태어나고 자란 며느리, 아내로서의 역할을 요구하고 있다. 이는 여성결혼이민자들에게 매우 낯설고 힘든 일이었으며 교육 참여 시간을 확보하는 데도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한편 이민자들은 가정의 경제적 어려움 등의 이유로 생계를 위한 취업에 적극적이었으며 취업에 성공하지 못한 경우에는 대부분 농사 등의 가업에 투입되는 시간이 많았다. 이렇게 생계를 위한 취업을 하거나 가업을 돕는 경우에도 이민자들이 교육 참여 시간을 확보하는 것은 쉽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육 기관의 위치, 교육 시간 배정의 부적절성, 교육 참여 신청 절차의 어려움 등 교육 기관의 운영 방식에 기인하는 어려움도 이민자들의 교육 참여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다음으로 한국인의 부정적 인식과 시선은 여성결혼이민자들의 교육 참여 저해요인 중 하나로 지적되고 있다. 한국인의 노골적인 표정과 태도, 말투 등이 여성결혼이민자가 교육에 참여하는 데 소극적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민자들이 교육에 참여하면서 겪는 인간관계와 관련된 어려움에 대해 알아보았다. 한국 사회에서 이민자들은 매우 고립된 상황에 처해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이민자들은 교육에 참여하여 다른 사람들과 상호 교류할 수 있었다. 즉 같은 나라 출신 혹은 다른 나라 출신의 결혼이민자들을 만나 서로 도움을 주고받는 것이다. 또한 지속적인 교육 참여를 통해 한국 사회에 적응하고 한국인과 교류할 기회를 갖고자 하였다. 둘째, 여성결혼이민자들은 교육 내용의 적절성에 대해 어떠한 인식을 갖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이민자들은 한국어・한국어능력시험 준비 교육과 정서적 안정을 도모할 수 있는 내용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반면 교육 대상자에 대한 난이도 고려가 미흡했거나 실생활에 적용하기가 어렵고 현실과 맞지 않는 내용에는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실제 교육에서 충분히 다루어지지 않아 이민자들이 필요성을 제기한 내용으로는 한국의 사회경제 체제, 한국의 문화적 독특성, 자녀교육, 취업 및 진학 등과 관련된 것들이었다. 한편 여성결혼이민자 대상 적응교육 내용에는 선행연구들에서 거의 다루지 않은 소수집단 ‘정체성’에 대한 인식 차이라는 문제가 포함되어 있었다. 여성결혼이민자들은 교육 내용에서 다루어지는 소수집단(모국)에 대한 다양한 언급 과정에서 모국과 자신을 본능적으로 동일시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 때 교사가 이민자들의 모국에 대해 지나치게 무지하고 이해가 부족할 경우 불쾌감을 느끼며, 심지어 모국을 무시하는 언행을 보일 경우 극심한 모욕감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모국의 경제력을 기준으로 자신을 평가하는 경우가 빈번히 나타나는 갈등 유발 상황이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제안을 하였다. 첫째,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요구 및 평가에 대한 치밀한 분석이 필요하다. 둘째, 다양한 요구에 대한 정교한 대응으로 맞춤형 교육이 제공되어야 한다. 셋째, ‘소수집단 적응교육’을 넘어선 교육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넷째, 다문화 교사의 인식개선과 태도 변화를 위한 교사교육이 필요하다. 다섯째, 한국인의 인식변화를 위한 교육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6 Ⅱ. 이론적 배경 7 A. 여성결혼이민자의 이해 7 1. 여성결혼이민자의 개념 7 2. 여성결혼이민자의 현황 8 B. 여성결혼이민자 대상 적응지원 교육프로그램 13 1. 적응과 적응지원 교육프로그램 13 2. 여성결혼이민자 대상 적응교육 지원 실태 및 현황 15 C. 여성결혼이민자의 적응지원에 대한 선행연구 분석 20 Ⅲ. 연구방법 25 A. 연구방법으로서의 면담연구 25 B. 연구 참여자 26 1. 연구 참여자 선정 26 2. 연구 참여자 소개 27 C. 자료 수집 29 D. 자료 분석방법 31 Ⅳ. 연구결과 32 A. 교육 참여 과정에 관한 어려움 32 1. 교육 참여 시간 확보의 어려움 32 2. 교육 기관의 운영 방식에 기인하는 어려움 37 3. 한국인의 부정적 인식에 따른 교육 참여의 어려움 39 4. 인간관계와 관련된 어려움 41 B. 교육 내용에 관한 어려움 45 1. 효과·효율성 측면의 어려움 45 2. 교육 내용으로 다루어지는 소수집단 '정체성'에 대한 인식 차이 64 Ⅴ. 요약 및 결론 67 A. 요약 및 논의 67 B. 결론 및 제언 71 참고문헌 75 ABSTRACT 8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2438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여성결혼이민자의 적응교육 참여 경험에 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Study on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on in the adaptation education of married female immigrants-
dc.creator.othernameOh, Sungeun-
dc.format.pageviii, 8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학과-
dc.date.awarded201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