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77 Download: 0

김대성 작곡 12현 가야금 독주곡 <빛춤> 분석 연구

Title
김대성 작곡 12현 가야금 독주곡 <빛춤> 분석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Kim Dae-sung’s for 12 stringed-Gayageum”
Authors
김바니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곽은아
Abstract
창작 국악은 1960년대 이후부터 수많은 곡이 작곡되었으며 그 중에서 가야금 창작곡이 가장 많이 작곡되었다. 이 중에서 전통 가야금으로 연주되는 곡을 탐구하고 분석하는 것은 가야금 연주자로서 우리의 진정한 소리와 음색을 표명함에 많은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본 연구는 전통에 바탕을 두고 현대적인 작곡기법을 접목시키는 작곡가 김대성의 가야금 창작곡 중 12현 가야금 독주곡 <빛춤>을 분석한 연구이다. 이 곡을 분석하기 위해 작곡자의 음악관과 가야금 작품 세계를 알아보았고 <빛춤>의 작품 개관을 통해 작품 해설, 악곡 구조와 조현법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빛춤>의 선율 진행을 분석하였고, 연주법을 논하였다. <빛춤>은 가야금 연주자 정길선의 위촉곡으로 12현 가야금과 타악기로 연주하는 곡이다. 자연배음을 기초로 한 조현법으로 12현에 적용된 배음열의 변화를 빛의 느낌으로 설정하였다. 빛의 몽환적이고 나른한 영상을 가야금 선율과 타악기 징의 조화로 표현하였으며 역동적이고 활기에 넘친 빛의 움직임을 장구의 ‘길군악 칠채 장단’과 함께 음악적으로 표현한 창작곡이다. 전체는 단악장으로 A-B-A'구조인 소나타 형식이고, 총 286마디이다. A는 ‘몽환적으로 나른한 빛의 영상을 상상하며’ 연주하고, A부분과 B부분으로 나뉜다. 각 부분의 빠르기는 ♩=50과 ♩=56이며 박자는 6/4 · 5/4 · 4/4 · 3/4 · 2/4로 불규칙하게 진행한다. B는 ‘느리고 넉넉하게’ 연주하는 Intro를 시작으로 ‘재미있고 흥겹게’ 연주하는 C-D-E-F-G부분으로 나뉜다. Intro의 빠르기는 ♪=56이고, 박자는 5/8 · 10/8이다. 그 이후의 빠르기는 ♩=170이고, 박자는 5/8 · 6/8 · 10/8으로 장구의 ‘길군악 칠채 장단’에 맞춰 연주한다. A'는 A의 선율과 유사하게 진행하며 A'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빠르기와 박자는 A의 A부분과 동일하고, 몽환적인 분위기를 다시 재현하여 곡이 마무리된다. <빛춤>의 선율 진행과 연주법에 대해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A의 가야금 선율은 ‘b♭’음으로 조율된 타악기 징과 함께 진행한다. 배음을 연상하여 상행하는 꾸밈음과 불협화음인 증4도 · 증5도 · 감3도 · 감4도 화음을 비롯한 다양한 화음이 출현하며 몽환적인 분위기 속에서 빛의 나른한 모습을 표현한다. 마디마다 변화되는 박자, 셋잇단 리듬과 붙임줄로 이어진 리듬의 진행은 더욱 신비로운 느낌을 주며 배음에서 나온 딸림7화음과 조현법에 없는 ‘f#’음이 포함된 화음의 출현은 자연배음을 선율에 의도적으로 적용시킨다. 그리고 선율 진행에서 음정 간격이 확대되는 부분과 육잇단 리듬의 반복 사용은 빛의 흔들리는 모습을 표현한다. 둘째, B의 가야금 선율은 장구의 ‘길군악 칠채 장단’과 함께 진행하면서 부분별로 특징적인 선법이 적용되며, 리듬을 세분화하여 진행한다. 또한 전조를 시켜 선율에 다양한 변화를 주며 칠채 장단 속에서 전통적인 가야금의 리듬과 선법을 거부하여 진행한다. 특히 특징적인 선법을 적용한 부분은 선법의 구성음 중 한 음을 가변음으로 설정하고, 음정의 흔들림으로 빛의 흔들림을 표현하여 역동적인 빛의 모습을 느낄 수 있다. 셋째, A'의 선율 진행은 A와 유사하지만 셋잇단 리듬과 붙임줄로 이어진 리듬의 출현 빈도가 줄어든다. 또한 빛의 흔들리는 모습을 표현한 육잇단 리듬의 반복이 없어진다는 점에서 A의 선율을 재현하지만 고요한 빛의 모습을 상기시키며 마무리한다. 넷째, 악곡에서 사용된 연주법은 산조 가야금의 주법을 수용한 전통주법과 그렇지 않은 창작주법으로 구분하여 해당 주법을 자세히 서술하며 악보에 표기되지 않은 주법은 필자가 연주를 해 본 결과로 언급한다. 악곡에 사용된 연주법은 전통주법인 20가지 연주법과 창작주법인 15가지 연주법으로 총 35가지의 다양한 연주법이 사용된다. 이상 작곡자 김대성의 12현 가야금 독주곡 <빛춤>은 빛의 다양한 모습을 선율에 적용시켜 시각적인 요소를 음악화한 곡이다. 자연배음이라는 서양 음악적인 요소를 12현 가야금에 더해 전통적인 음색 위에 신비로운 느낌을 잘 표현한 곡이다. 그리고 왼손 주법의 다양성을 12음에 접목시켜 많은 음을 연주한 것은 12현 가야금의 한계를 극복한 것으로 볼 수 있고, 곡의 전개 과정에서 ‘길군악 칠채 장단’의 삽입은 전통적인 느낌을 충분히 표현한 독창적인 곡이라 할 수 있다.;Creative form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have been written since 1960s, especially with Gayageum. As a performer of Gayageum, I think studying and analyzing the music performed by traditional Gayageum will help to discover the genuine sound of Korea. This paper analyzes , which is one of the fusion pieces for solo 12 stringed-Gayageum. This piece is written by Kim Dae-sung who composes music with creative techniques based on Traditions. For analyzing , this paper shows the composer’s values in music and the world of his works. Moreover, it also shows the explanation, structure and tuning of this piece by overviewing it. Then it treats the progress of melody and the technique of this music. is appointed to Gayageum performer Jung Gil-sun. It is the fusion piece of Gukak that is performed with 12 stringed-Gayageum and percussions. This music is based on harmonic series, and it shows the sense of light with the change of series applied to 12 strings. It expresses dreamlike and drowsy image of light with the harmony of percussion, Jing(징). And the dynamic, active motion of light is musically expressed with the rhythm of ‘Gilgunak Chilchae(길군악 칠채)’ of percussion, Janggu(장구). This piece is composed with A-B-A'structure, sonata form and 286 of bars. Part A should be performed with the dreamlike and drowsy image of light. It is divided into part A and B, which has the speed of ♩=50 and ♩=56 respectively. The rhythm is irregularly progressed with 6/4 · 5/4 · 4/4 · 3/4 · 2/4. Part B is started with Intro, which is performed ‘slowly and relaxed’ . It is divided into the parts of C-D-E-F-G, which is performed ‘excitingly and delightfully’ . The speed for Intro is ♪=56, and the rhythm is 5/8 · 10/8. After it changes to ♩=170 in speed and 5/8 · 6/8 · 10/8 in rhythm, it performs with the rhythmic pattern of ‘Gilgunak Chilchae’ of Janggu. Part A' has similar melody with part A and it composed of part A'. Its speed and rhythm is same with the part A of A and the music finishes, recreating the dreamy atmosphere. The melodies’ progress and technique of is as in the following. First, the melody of Gayageum in part A is progressing with percussion, Jing tuned the note ‘b♭’. The drowsy image of light is described by many chords like dissonance, augmented 4th · augmented 5th · diminished 3rd · diminished 4th and with other chords. Also, upward ornament reminding overtone is used to express it. The rhythm changes in every bars, progress of rhythm which is connected with the triplet and tie make mysterious feeling. The composer intends to apply harmonic overtone to melody by using dominant 7thchords from overtone and a chord including the note ‘f#’, which is not in the tuning of this piece. He also describes the image of swaying light by expanding the interval in melodies’ progress and using the sextuplet rhythm repeatedly. Second, the melody of Gayageum in part B is performing with the rhythm of ‘Gilgunak Chilchae’ of Janggu. The melody is played with marked mode and segmentalized rhythm in part. There is a modulation giving variety in melody, and it uses rhythm and mode which are different from the melody of traditional Gayageum in the rhythm of Chilchae. Especially, marked mode employs one sound out of organizing sounds of the mode as variable sound. This part expresses shivering movement of light using trembling interval, which enable us to feel the image of dynamic light. Third, the melody in part A' is similar with part A but frequency of triplet rhythm and the rhythm continued by ties are decreased. Also, the repeated sextuplet rhythm which shows the shivering image of light is disappeared. This finishes the music reminding the silent image of light while reperforming the melody in part A. Finally, the technique used in the piece is explained by being divided into traditional Sanjo(Folk) Gayageum and modern one. The technique which is not marked in score is explained by my performing experience. Various techniques are used in the piece. The total number of technique is 35, using 20 of traditional one and 15 of modern one. In the , the visual elements of various images of light are expressed in music. This piece shows mysterious feeling by adding harmonic overtone which is musical elements in Western music and the traditional Korean melody of 12 stringed-Gayageum. It overcomes the limitation of 12 stringed-Gayageum through applying the variety of performing skills of left hand to 12 sounds in Gayageum. In the process of the melodies, this piece fully expresses Korean traditional feeling with the rhythm of ‘Gilgunak Chilchae’ and it can be said to be a unique music.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