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31 Download: 0

여성에서 Dehydroepiandrosterone sulfate와 인슐린저항성증후군의 연관성

Title
여성에서 Dehydroepiandrosterone sulfate와 인슐린저항성증후군의 연관성
Authors
김효정
Issue Date
2000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Dehydroepiandrosterone(DHEA)는 안드로겐 전구체로서 연령 증가에 따라 감소한다. DHEA는 인슐린 저항성 및 심혈관질환에 대해 남성에서는 보호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여성에서는 이들 질환에 대한 역할이 정립되어 있지 않다. 본 연구는 여성에서 인슐린저항성과 심혈관질환에 대한 DHEA의 역할을 규명하고자 지역사회에서 무작위 추출된 당뇨병이 없는 467명의 여성을 대상으로 DHEA보다 반감기가 길고 일중 변동이 적은DHEA-Sulfate(DHEA-S)의 농도와 인슐린저항성증후군 및 이 증후군을 구성하는 인자들과의 연관성을 관찰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 여성에서 인슐린저항성증후군 인자의 빈도는 비만(BMI≥25 kg/㎡) 24.8%, 내당능 장애 6.4%, 고혈압 21.0%, 지질대사이상 6.2%였으며 인슐린저항성증후군의 빈도는 15.0%였다. 2. 혈중 DHEA-S 농도를 사분위수로 나누었을 때 DHEA-S 농도 증가에 따라 인슐린 저항성 증후군(χ²=17.2, p<0.01), 내당능 장애(χ²=5.8, p<0.05), 고혈압(χ²=11.7, p<0.01)의 빈도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3. DHEA-S는 연령(p<0.01), 공복혈당(p<0.05), 포도당부하 2시간 혈당(p<0.05), 수축기 혈압(p<0.05), 이완기혈압(p<0.05) 및 중성지방(p<0.01)과 의미 있는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4. 다중회귀분석에서 DHEA-S와 연관된 유의한 변수는 연령(β=-0.527,p<0.001)과 수축기 혈압(β=0.103, p<0.05)이었다. 5. 일반선형분석에서 혈중 DHEA-S 농도는 인슐린저항성증후군에서 감소하였으나 연령을 보정한 후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p=0.061). 혈중 DHEA-S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인슐린저항성증후군의 빈도가 감소하고 혈당, 혈압 및 혈청 지방질 농도와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아 최소한 DHEA-S는 인슐린저항성증후군에 대해 위해 작용을 하는 것 같지 않다. 그러나 인슐린저항성증후군 및 심혈관계질환에 대한 보호작용을 증명하기 위해서는 이들 여성을 전향적으로 추적하여 인슐린저항성증후군 및 심혈관계질환의 발생과 DHEA-S의 관계를 규명해야 할 것이다.;Dehydroepiandrosterone(DHEA) is an androgen precursor and decreases by aging. DHEA has been known to have protective effects on insulin resistance and cardiovascular disease in men, but controversial effects in women.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lucidate the role of DHEA on insulin resistance and risk for cardiovascular disease in women. The author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DHEA-sulfate(DHEA-S) known to have longer half life and less diurnal variation than DHEA and insulin resistance syndrome in 467 nondiabetic women withdrawn from urban community diabetes prevalence study. 1. The frequency of obesity, impaired glucose tolerance, hypertension and dyslipidemia were 24.8%, 6.4%, 21.0%, and 6.2%, respectively, and the frequency of insulin resistance syndrome was 15.0%. 2. As serum DHEA-S concentrations by quartile were increased, the frequency of insulin resistance syndrome( x²= 17.2, p<0.01), impaired glucose tolerance(x²=5.8, p<0.05) and hypertension(x²=11.7, p<0.01)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3. DHEA-S was significantly inversely correlated with age(p<0.01), fasting serum glucose(p<0.05), pc 2hour serum glucose in oral glucose tolerance test(p<0.05), systolic blood pressure(p<0.05), diastolic blood pressure(p<0.05) and triglyceride(p<0.01). 4. DHEA-S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ge(β=-0.527, p<0.001) and systolic blood pressure(β=0.103, p<0.05)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5. DHEA-S decreased in insulin resistance syndrome compared with normal women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association after adjustment for age(p=0.061) by general linear model analysis. These results suggest that DHEA-S has no harmful effect and may have protective role on insulin resistance syndrome, but prospective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cardiovascular disease and insulin resistance syndrome will be needed to prove the protective role of DHEA-S on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