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14 Download: 0

불수의 운동형 뇌성마비에서 호흡이 언어장애와 연하곤란증에 미치는 영향

Title
불수의 운동형 뇌성마비에서 호흡이 언어장애와 연하곤란증에 미치는 영향
Authors
김은경
Issue Date
2000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불수의 운동형 뇌성마비(athetoid cerebral palsy)에서 언어장애와 연하곤란증은 흔히 동반되는 문제들로 호흡이 이에 미치는 영향은 클 것으로 생각되나 아직까지 이들 사이의 관련성에 대하여 객관적인 신경생리학적 측정방법으로 연구된 바는 없다. 저자들은 성인 불수의 운동형 뇌성마비 환자 7명과 정상 성인 7명을 대상으로 발성 및 연하동안의 호흡양상을 기록하여 불수의 운동형 뇌성마비에서 호흡이 언어장애와 연하곤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발성과 관련된 호흡양상을 보기 위하여 언어성 과제(speech tasks)와 비언어성 과제(non-speech tasks)를 시행하였는데, 비언어성 과제로는 평상호흡, 심호흡 및 모음 /아/를 최대한 길게 발성하기가 포함되었고 언어성 과제로는 단문 10회 말하기, 장문 10회 말하기, 노래 5회 부르기가 포함되었다. 발성 과제를 시행하는 동안 상복부에 착용한 pneumobelt로부터 호흡도(respirography)를 기록하였고 복부 사근에 부착한 표면 전극을 통하여 복근의 근 활동전위(muscle action potentials)를 동시에 기록하였다. 연하 과제(swallowing tasks)는물 5 cc와 물 75 cc 마시기, 쿠키 한 조각 씹어먹기의 과정을 각각 5회, 5회, 3회씩 반복하는 것으로 하였고 이때 역시 pneumobelt로부터 호흡양상을 기록하였고 턱밑근에서 근전도 신호를 얻었다. 뇌성마비 환자군에서는 연하 과제로 비디오 연하조영 촬영검사를 추가로 시행하여 구강기와 인두기의 비정상 소견 및 흡인의 유무를 관찰하였다. 발성시의 호흡양상에서 비언어성 과제 수행시 평상호흡의 분당 호흡수는 양 군에서 차이가 없었으나 환자군에서 호흡 주기와 심도가 불규칙하였으며, 심호흡의 평균 주기와 모음 /아/의 최대발성 지속시간이 환자군에서 유의하게 짧았다(p < 0.01). 언어성과제 수행시 환자군은 한번에 균일한 호기가 유지되지 않고 한 문장을 말하는 동안 대조군보다 많은 횟수의 흡기가 일어났으며(p < 0.01), 문법 경계 위치가 아닌 부적절한 시점에서 일어나는 흡기의 비율이 높았다(p < 0.01). 발성시 복근의 근 활동 전위를 통하여 반영된 근수축 양상을 보면 대조군에서 미미하거나 호기에 일치하여 주기적으로 나타난데 반하여 환자군에서는 발성을 할수록 불규칙하고 호흡주기와 일치하지 않는 복근의 근수축이 돌발적으로 발생하는 경향을 보였다. 연하 과제에서 연하에 필요한 총시간은 성상에 관계없이 환자군에서 모두 길었고 (p < 0.01), 연하 후 평상호흡으로 회복되는데 걸리는 시간은 물 5 cc와 물 75 cc의 경우 환자군에서 유의하게 길었다(p < 0.01). 연하 직후 흡기율은 물 5 cc와 물 75 cc에서 환자군이 유의하게 높은 비율을 보였으며(p < 0.01), 비디오 연하조영 촬영검사상 흡인을 보인 2명의 뇌성마비에서 흡인을 보이지 않은 5명의 뇌성마비에 비해 연하 직후 흡기율이 높게 나타났다(p < 0.05). 이상의 결과로부터 불수의 운동형 뇌성마비는 평상시에도 불규칙한 호흡 양상을 보이나 말을 할 때, 혹은 음식을 먹을 때 이러한 호흡의 불규칙성은 더욱 심화되고 사지의 불수의 운동과 마찬가지로 호흡근이나 연하근에서 나타나는 불수의적인 움직임들에 의해 호흡과의 정상적인 조화가 이루어지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들의 언어장애와 연하곤란증에 대한 평가 및 치료시 호흡과의 상호작용을 반드시 고려해야 하겠다.;Speech disturbances and swallowing difficulties are common problems in athetoid cerebral palsy(CP) and these problems are correlated with their abnormal respiration pattern. The purposes of the present study is to evaluate the speech breathing and swallowting-ventilation interaction in athetoid CP. Seven adult athetoid CP and control subjects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While each subject performed non-speech tasks(resting tidal breathing, deep breathing, and phonation /a/), speech tasks(short sentence, long sentence, and song), and swallowing tasks in sitting position, electromyography in the abdominal muscle or submental muscle and respirography using a pneumobelt put on the mid-abdomen were recorded simultaneously. Swallowing tasks were composed of drinking 5 cc, 75 cc of water, and chewing a cookie. And videofluoroscopic swallowing study(VFSS) was only performed in the athetoid subjects for each food texture. Ventilation rate was not different between the athetoid CPs and the controls, but duration of deep breathing and phonation /a/ in athetoid CP were significantly shorter than the controls. In athetoid CP, inspirations during speech task were inappropriate and more frequent, and the number of syllables per speech breath group was fewer and irregular. The abdominal muscle activities were abrupt, irregular, and inconsistent with the respiratory phase during all kinds of non-speech and speech tasks in athetoid CP. In swallowing tasks, total duration for completion of each swallowing task and recovery time to the resting tidal breathing after swallowing were significantly prolonged in athetoid subjects, and they had significantly higher rate of postdeglutitive inspiration. In correlation with the VFSS findings, the rate of postdeglutitive inspiration in aspirated group of the athetoid C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non-aspirated group. These findings suggest that speech breathing and respiratory-swallowing coordination were disrupted in the athetoid CP, and their incoordination was similar to athetoid movements of the extremities. The evaluation for interaction between respiration and speech or swallowing by use of the respirography and surface electromyography may be useful for the treatment of their speech disturbance and swallowing difficul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