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6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미리-
dc.creator박미리-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37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37Z-
dc.date.issued1994-
dc.identifier.otherOAK-00000007124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498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1240-
dc.description.abstract이 글은 Paul Claudel 의 희곡 작품을 대상으로 그 주제 및 연극성을 드러내기 위한 목적으로 쓰여졌다. '주제'가 희곡 텍스트라는 문학적 측면에 속하는 것이라면, '연극성'은 공연 예술로서의 측면에 해당된다. 이는 극 장르가 '글'로 된 예술이면서 동시에 '행위'로 표현되는 양면적 가치의 예술이라는 점을 생각해 볼 때 당연한 접근 방법이라고 생각된다. Claudel의 희곡 작품 중에서 우리가 연구 대상으로 택한 것은 << Tete d'Or>>, <<L'Annonce faite a Marie>>, <<Partage de Midi>> 그리고 <<Soulier de Satin>>이었다. <<L'Annonce faite a Marie>>는 종교극 으로서 신과 인간과의 관계에 관한 작가의 생각이 가장 잘 나타나 있으며, 나머지 세 작품들은 일반적으로 Claudel의 작품세계가 변천하는 각 시기를 대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네 작품의 주제를 파악함으로써 우리는 Claudel의 문학 세계에 관한 전반적 이해를 도모하리라고 생각하였다. 각 작품들의 주제는 죽음, 희생과 순종, 정염 그리고 해방으로 볼 수 있었다. 이러한 주제는 그가 문학을 통하여 신과 인간이 관계 정립, 그리고 결국 신의 세계 안에 서의 완전한 합일을 추구하는 가운데 도달한 세계 인식 이었다. 각 작품에서 이러한 주제는 나무, 땅, 불, 물, 바다 등의 구체적인 물질적 대상을 통하여 그 의미가 형상화되고있다. 이 작업을 통하여 우리는 모드 작품의 지향이 신화적 공간으로의 회귀로 이루어졌다는 것을 알았다. Claudel 에게 있어서의 신화적 공간은 카톨릭 세계임이 분명하지만, 그것이 일반 독자들에게도 공감을 살 수 있었던 까닭은 종교에 앞서 신화로서의 특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었다. 본론의 뒷 부분에서는 그의 희곡 작품들이 무대 위에서 재현될 때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연극성에 관하여 살펴 보았다. Claudel에게 고유한 연극 기법으로 우리는 감정 이입, 극에 '거리'를 부여함으로써 형성되는 '생성되는 극' 그리고 Jean-Louis Barrault와 함께 실현하고자 하였던 '총체극의 세가지 면을 언급하였다. 우리는 주제의 표출 양상을 살펴보면서 공통적인 요소로 파악할 수 있었던, '신화적 공간으로의 회귀'가, 연극 공간에서도 동일한 흐름으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처음에는 마치 창조이전의 카오스와도 같은 '빈 공간' 이었던 것이 이야기의 전개와 함께 닫힌 공간으로 축소되었고, 뒤이어 열린 공간으로 확대되어갔다. 이와 동시에 그 공간은 우리의 현실 공간을 넘어서서 시공을 초월한 무한한 우주의 공간으로 변모되었던 것이다. 이 변모된 공간은 앞서 보았던 신화적 공간과 일치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Soulier de Stain>>을 통하여 바로크극으로서의 면모를 살펴보았다. Claudel 희곡의 총괄편이라 할 수 있는 작품은 16,7세기의 바로크 시대를 재현하는 가운데 바로크 극의 특성을 그대로 그러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형태로서 바로크를 이념으로서의 바로크와 결부시켜 작품화한 만큼, 우리는 이극을 거의 완성에 가까운 바로크극의 실현으로 볼 수 있었다. Claudel은 '이끌어진 꿈'인 연극을 수단으로 하여 관객을 자신의 세계로 이끌고자 하였다. 그는 신화적 공간으로의 회귀라는 자신의 연극에 관객을 참여시킴으로써 읽어버린 신과의 관계를 회복하고자 하였던 것이다. 우리는 그것이 결국 축제의 진정한 의미, 즉 최초의 시간과 공간으로 돌아가고자 하는 일종의 제의 과정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Notre etude a pour but d'eclairer les themes et la theatralite a travers l'oeuvre dramtique de Paul Claudel. Si les Themes des textes theatraux sont du domaine litteraire, la "Theatralite'correspond au cote de l'art de representation. Ce serait une approche juste parce que le genre theatral a la double valeur en tant que l'art d'ecrire' et celui d'exprimer 'par action'. Nous avons choisi quatre oeuvres : <<Tete d'Or>>, <<L' Annonce faite a Marie>>, <<Partage de Midi>>et <<Soulier de Satin>>. On dir que le mystere <<L'Annonce faite a Marie>> indique le mieux l'idee de Claudel a propos du rapport entre Dieu et l'homme, et que les trois autres oeuvers representent chaque periode de l'evolutin litteraire de Claudel. Penetrant bien les themes des quatre oeuvres, nous croyions pouvoir comprendre totalement l'univers claudelien. Nous avons trouve ses themes: la mort, le sacrifice et la soumission, la passion et la deliverance. Ces themes etaient la vision du monde qu'il a atteint a travers la litterature, dans sa recherche du rapport entre l'homme et Dieu, et enfin de l'accord parfait dans l'univers de Dieu. Pour montrer ses themes, Claudel a utilise des objects materiaux et concrets comme l'arbre, la terre, le feu, l'eau, la mer etc.. Apres ce travail, nous avons remarque que toutes les oeuvres de Claudel se reduisaient a l'espace mythique. Quoique cet espace soit naturellement celui de catholique chez Claudel, il a pu attirer la sympathie de tous a cause de son proper caractere mythique plutot que catholique. Dans la derniere moitie de ce travail, nous avons etudie la theatralite marquee qui se montre sensiblement au monent de la representation scenique. De la, nous avons remarque les trois cotes theatraux propres a l'oeuvre de Claudel: I'empathie, le theatre a l'etat naissant' forme de la 'distanctiation' et le theatre total' realise avec la collaboration de Jean-Louis Barrault. Nous avons trouve dans l'espace theatral aussi la meme evolution que celle des themes, c'est-a'dire le retour a l'espace mythique. Premierement l'espace vide comme l'etat de chaso avant la Creation, deuxiemement l'espace ferme avec le deroulement de l'intrigue. De plus en plus cet espace s'ouvre, et finalement se transforme celui de l'univers infini hors de temps et d'espace L'espace transfigure correspond a celui du mythe. A la fin nous avons recherche les aspects du theatre baroque a travers <<Soulier de Satin>> Cette piece qui peut etre la synthese de toutes les oeuvres claudeliennes a garde les baroque de 16 ou 17e siecle. Nous avons pu la definir la realisation presque accomplie du theatre baroque, dans lequel les formes du baroque coincident avec ses idees. Au fond Claudel a voulu diriger le public vers son univers par le moyen du "drame, le reve dirige", Nous avons pu retrouver le ien perdu avec Dieu, en participant au processus qui retourne a l'espace mythique. Nous avons trouve que le theatre de Claudel etait une sorte des rites qui a pour but de retourner a l'espace et au temps primitifs: le sens vertable du fet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1. 문제의 제기 ------------------------------------------------------- 1 2. Claudel 문학의 전반적 성격 ---------------------------------------- 4 3. 앞으로의 연구 방향 ------------------------------------------------ 12 Ⅱ. 부제의 표출 양상 -------------------------------------------------- 17 A. 〈〈Tete d'Or〉〉: 죽음 ------------------------------------------- 18 1. 타인의 죽음 --- 비극적 세계 -------------------------------------- 20 2.‘새 인간’의 탄생 ------------------------------------------------ 25 1) 실존적 인간 --- 대지의 나무 ------------------------------------- 25 2) 반항적 인간 --- 불의 나무 --------------------------------------- 28 3) 신화적 인간 --- 우주의 나무 ------------------------------------- 33 B.〈〈 L'Annonce faite a Marie〉〉: 희생과 순종 ---------------------- 41 1. 신의 중개자로서의 이물들 ----------------------------------------- 42 1) 신의 전령 --- Pierre de Craon ----------------------------------- 43 2) 신의 대변자 --- Anne Vercors ------------------------------------ 47 3) 신의 실천자 --- Mara -------------------------------------------- 50 2. Violaine과 Mara -------------------------------------------------- 55 C.〈〈Partage de Midi〉〉: 정염 -------------------------------------- 66 1. 사랑과 구원 ------------------------------------------------------ 66 2. 불의 이미지 ------------------------------------------------------ 72 1) 신의 침묵과 석화 ------------------------------------------------ 72 2) 죄와 죽음 ------------------------------------------------------- 76 3) 희생 ------------------------------------------------------------ 80 3.‘Partage de Midi’의 兩意性 -------------------------------------- 84 D.〈〈Soulier de Satin〉〉해방 --------------------------------------- 91 1. 욕망과 해방의 총체적‘드라마’------------------------------------ 91 2. 등장인물로서의 바다 ---------------------------------------------- 95 1) 항해 ------------------------------------------------------------ 96 2) 이별 ------------------------------------------------------------100 3) 화해 ------------------------------------------------------------106 4) 신화 ------------------------------------------------------------112 Ⅲ. Claudel의 희곡의 演劇性 -------------------------------------------119 A. 연극 :‘Reve dirige’----------------------------------------------125 1. 감정 이입 --------------------------------------------------------126 2.‘Theatre a l'etat naissant' --------------------------------------130 3.‘Theatre total’--------------------------------------------------141 B. 연극 공간의 변화 --------------------------------------------------147 1. 빈 공간 ----------------------------------------------------------147 2. 단힌 공간 --------------------------------------------------------150 3. 열린공간 ---------------------------------------------------------153 4. 변모된 공간 ------------------------------------------------------156 C.‘바로크 곡’의 실현 :〈〈Soulier de Satin〉〉----------------------158 1. 바로크 극으로 서의 특성 ---‘Theatrum Mundi’---------------------158 1)‘바로크’의 역사적 재현 -----------------------------------------161 2) 움직임 ----------------------------------------------------------170 3) 극 속의 극 ------------------------------------------------------176 4) 圓 또는 球 --- 우주의 모형 --------------------------------------178 2. 바로크 정신 --- 유한 속의 무한 -----------------------------------181 Ⅴ. 결론: 祝祭의 연극 ------------------------------------------------187 참고문헌 --------------------------------------------------------------194 불문초록 --------------------------------------------------------------20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82056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Claudel 희곡 작품의 주제와 연극성-
dc.typeDoctoral Thesis-
dc.format.pagevi, 202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불어불문학과-
dc.date.awarded1994.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불어불문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