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5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강주연-
dc.creator강주연-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35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35Z-
dc.date.issued2001-
dc.identifier.otherOAK-00000007120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496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1202-
dc.description.abstract국제투자는 21세기에 들어선 지금도 국제무역과 함께 국제거래의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지만, 人과 자본의 국제적 이동을 필연적으로 수반하기 때문에 국가간 이익충돌 및 분쟁가능성이 항상 존재하는 영역이라 할 수 있다. 국제투자는 투자유치국과 외국인투자자간에 주로 이루어지는데, 개인의 국제법 주체성의 제약으로 인해 국제법상의 전통적인 분쟁해결방법으로 이러한 분쟁을 해결할 수 없고, 다른 국제중재기구의 경우 투자문제의 전문기관이 아니므로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전문국제기구인 국제투자분쟁해결센터(ICSID)가 1960년대 탄생하게 된 것이다. 설립초기 각국의 인식부족과 그에 따른 이용사례의 부족으로 문제점들이 간혹 지적되기도 하였으나 현재에 이르기까지 꾸준한 체약국수의 증가(현재 148개국)와 ICSID중재동의조항을 넣는 투자협정(양자간투자협정 및 NAFTA)의 증가로 인해서 1997년이후 ICSID중재판정의 증가로 인해 ICSID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현재 한·미, 한·일 투자보장협정도 현재 교섭중이며, 외국자본의 유치를 위해 외국인투자촉진법의 개정하고, 남북경협 4대 합의서가 작년에 타결되었고, 발효를 목전에 두고 있어, 우리나라 관련된 국제투자가 활발해지는 만큼 이와 관련된 국제투자분쟁도 증가하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국제투자분쟁이 발생할 경우 그 해결방법에 대해서 심층적으로 검토하고 실효적인 분쟁해결방안을 강구할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고 판단한 것이다. 무역업자들에게 ICSID중재절차의 이용에 관한 지식과 정보를 제공하고, 이전의 ICSID에 회부된 중재 사건의 특징 및 유형을 최근판례를 중심으로 초기 고전적인 판례들과 비교·분석하여 ICSID의 법리와 그 문제점 등을 살펴보았다. 이는 ICSID중재신청시 중재판정에 대한 예측가능성을 제공하고, 향후 대처할 전략적인 방법을 제시하기 위함이다. 해외 및 대북투자에 앞서 선행되어야 할 매우 중요한 작업이라고 판단하였다. 이를 위하여 국내에 소개되지 않은 90년대 이후의 ICSID최근중재판정사례를 소개하고 기존 문헌과 ICSID 최근중 재판정사례에 소개된 ICSID의 중재판정의 법리를 유형별로 객관적으로 검토하였다. 이에 따라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투자보호 및 촉진을 위해 체결되는 투자협정상에는 분쟁해결조항이 있는데, 주로 ICSID중재를 포함하고 있다. 구체적인 투자분쟁이 발생하였을 경우, 투자협정상의 중재조항을 근거로 하여 ICSID중재를 제기하게 되어 분쟁을 해결하게 된다. 중재판정례의 분석결과 ICSID의 발전과 양자간투자협정의 증가는 서로 밀접하게 관련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또한 투자보장협정이 발전되지 않았던 초기의 ICSID중재판정사례를 보면, 당사자간의 개별계약상에 중재동의조항이 존재하였다. 따라서, 투자분쟁의 최선의 해결방법으로는 투자분쟁의 사전적 예방으로서 투자협정(양자간 및 다국간투자협정)체결과 사후적 해결로서 ICSID중재가 결합되어 투자분쟁해결을 위한 양대 축으로 기능을 한다고 평가된다. 기존의 중재판정사례를 분석하여 얻어진 투자분쟁해결을 위한 전략적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부는 우리측 투자자들을 보호하기 위해 투자보장협정을 체결할 시 ICSID중재조항을 넣고 있다. 더 나아가 비체약국과 양자간투자 보장협정을 체결할 경우 부가절차에 따른 ICSID중재동의조항을 넣어야 한다. 둘째, 외국에 투자하는 체약국 투자자의 입장에서 분쟁해결을 위해 ICSID 중재를 보장받기 위해서는 개별투자계약상 분쟁해결조항에 ICSID중재동의조항을 명기하고, 그 밖의 구체적인 분쟁해결조항(준거법 결정)을 넣어야 한다. 특히 대북투자를 하려는 우리측 기업의 경우, 이러한 조항이 없다면 궁극적으로는 남북상사중재위원회가 주관하는 중재를 받게 되므로 ICSID중재를 받고자 하는 경우, ICSID중재동의조항을 넣을 것을 적극 주장한다. 셋째, ICSID중재신청시 보전조치 권고신청을 중재판정부에 제출할 수 있는데, 본안의 관계성과 사건의 결과에 대한 직접적인 영향을 주어서는 안되는등, 그 요건상 여러 가지 제약이 수반되고, 뿐만 아니라 현재까지 중재사례를 분석해보아도 보전판정을 권고한 사례가 전혀 없으므로, 이러한 신청은 배제하는 것이 현명하다고 판단된다. 넷째, 양자간투자협정이던 다국간 투자협정이던 투자협정상의 ICSID중재 동의조항으로인해 ICSID관할인정사례가 늘고 있다. 최근중재판정사례에서 나타난 준거법 결정 경향은 국제법과 일치하는 투자유치국의 국내법을 원용하는 경우가 꾸준히 제기되고 있으므로, 또한 준거법으로 이러한 협정들이 투자유치국의 국내법에 우선 적용되기를 원한다면 중재판정부가 이용하기를 원한다면 개별계약상 준거법조항에 협정을 명기해야 한다.;International trade and investment are the twin pillars of the modern economic world. International investment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international trade; however, international investment, which requires transporting of people and assets, is the conflicting field of the interests among nations. Generally, international investment is established between host countries and foreign investors, including the domicile corporation controlled by foreigners. International investment disputes are not able to be solved by traditional international dispute settlement methods due to investors' lack of international ability nor by other international arbitrational institute such as UNCITRAL and ICC, which are not specialized institutes for investment matters. To settle investment disputes, ICSID was established under the Convention on the Settlement of Investment Disputes between States and Nationals of Other States (the Convention) which came into force on October 14, 1966. In former periods of its establishment, there were few ICSID arbitration cases due to lack of recognition among governments and investors, which also invoked lack of ICSID arbitration precedents. Until the mid-1980s, jurisdiction in all of the cases brought to ICSID was founded upon consents to ICSID arbitration recorded in an investment contract or similar instrument. Since then, an increasing number of cases have been arbitrated according to these consents put in place under host countries' investment laws and treaties. To prepare for the international investment disputes settlement related to Korea government and investors, I examined the former ICSID cases and the major principle of ICSB) tribunals, proposing the effective strategies for the investment disputes. With the increase in its contracting parties, which amounts to 148 by 2001, ICSID arbitral cases based on general consents of the States under investment laws and treaties are proliferated since 1997. It is resulted from an extraordinary increase of bilateral investment treaties, which provide for the arbitral settlement of disputes that might arise between a State party to the treaty and an investor from the other, or another, State party. In the overwhelming majority of the treaties, including the NAFTA, the provisions set forth the consent of each State to the submission of such disputes to one or more forms of arbitration specified in the treaty, which are consents to one or both of the forms of arbitration administered by ICSID: arbitration under the 1965 ICSID Convention and arbitration under the 1978 ICSID Additional Facility Rules. This thesis deals with the major principles of the ICSID arbitration tribunals' decisions regarding to the jurisdiction, provisional measures, and the major subject matter: expropriation. This brief review of ICSID arbitration cases may give the investors and government the information of ICSID arbitration procedure and strategies before submitting to ICSID arbitration. This Article seeks to address the strategies on how to prepare for the ICSID arbitrations what can be anticipated from the precedents on future arbitration award. The late 1990's principle of its tribunals' decisions on jurisdiction and award of the claims provide us with the predictability in future arbitrations. I also believe that reviewing the late 1990's ICSID arbitration tribunal's principles is a very important work in a sense to prepare for the foreign investment and Inter-Korean Investment. Introducing the late 1990's precedents with the major provisions of ICSID) treaties, I have analyzed the types of the international investment disputes and ICSID tribunals' principles. The conclusion of this thesis is described below. The recent ICSID arbitration cases shows us the interaction between (of) the developments of ICSID cases and those of BITs. I have concluded that before disputes BITs, after disputes ICSID arbitration give the best solution to settle investment disputes. To submit the investor-to-State dispute before ICSID tribunal, the arbitration clause for ICSID should be admitted on both the individual contract between parties and investment treaties whether bilateral or multilateral, even investment laws in host countries. It is possible for investors to effectively make use of ICSID arbitration based on the arbitration clauses, excluding the challenge on the ICSID jurisdiction by governments. Because Inter-Korean investment disputes would occur. before long, the chapter 6 in this thesis also briefly deals with the special matter on the possibility of using the ICSID arbitration for the Inter-Korean investment disputes. The best dispute settlement methods between Inter-Korea would be the amicable settlement agreement between parties or the award by the Inter-Korean Commercial Arbitration Tribunal. For the limits of its jurisdictions, South Korean investors will want to submit their disputes to ICSID arbitration. Investing the Inter-Korean Economic Cooperation agreement, which is including the Investment and Commercial Dispute Settlement Agreement, I found the possibility of submitting ICSID arbitration. Once arbitrational clauses for ICSID exists on the individual contract between parties, South Korean investors are eligible to submit their disputes to ICSID because the Inter-Korean Commercial Arbitration Tribunal has no exclusive jurisdiction. The more contracting parties and investment treaties about ICSID arbitration, the more ICSID arbitration cases might be revealed. The accurate analysis on the increasing ICSID arbitral precedents would facilitate for investors to anticipate the judgement on whether the future cases would be uphold the award. In this paper, I propose that the study of the recent ICSID cases should be continu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論文槪要 = viii Abbreviations = xi 第1章 序論 = 1 第1節 硏究目的 = 1 第2節 硏究範圍와 構成 = 4 第2章 國際投資紛爭解決의 一般論 = 8 第1節 국제투자의 의의 = 8 第2節 국제투자분쟁의 특성 = 12 第3節 국제투자분쟁의 해결방법 = 14 1. 전통적인 분쟁해결방법의 한계 = 14 2. 국제투자분쟁의 해결방법: ICSID = 15 第3章 國際投資紛爭解決센터 一般論 = 16 第1節 ICSID 설립과 가입국 현황 = 16 第2節 ICSID 중재사례증가 원인 분석 = 17 第3節 ICSID 이용시 利點 = 19 第4節 ICSID 仲裁節次의 利用方法 = 21 1. 중재절차의 개시 = 21 2. 사무국장의 심사 = 21 3. 신청에 대한 심사결과의 통지 = 22 4. 중재판정부의 구성 = 22 5. 중재판정부의 사건심리 = 22 6. 중재절차의 종료 = 23 7. 중재판정의 승인과 집행 = 24 第4章 ICSID管轄과 保全措置 = 25 第1節 종래의 ICSID관할의 문제점과 해결책 = 25 1. ICSID 제25조에 따른 한정된 관할권 = 25 2. 부가절차의 제정경위와 이용현황 = 25 3. 부가절차의 특징: ICSID관할의 확대 = 26 4. ICSID협약하의 절차와 부가절차의 관계 = 27 第2節 협약 제25조에 따른 관할 = 28 1. ICSID 관할의 기본요건: 중재동의 = 28 1) 중재동의의 근거 = 28 2) 동의의 비철회성 = 29 3) 최근 중재판정사례의 중재동의 근거 = 29 a. 양자간 투자협정(BIT)에 의한 중재동의 = 29 b. 투자유치국의 국내법 규정에 의한 중재동의 = 31 2. 분쟁의 원인인 物的 管轄 = 31 1) '투자로부터 직접적으로 발생한 법률상 분쟁' = 31 2) 최근판례에서 나타난 법률상 분쟁의 경향 = 32 3. 人的 管轄의 범위 = 33 1) '체약국의 하부조직 및 기관'과 '외국투자가의 범위' = 34 2) 최근판례에서 나타난 인적 관할의 경향 = 35 第3節 ICSID의 '附加節次(Additional Facility)' = 36 1. 부가절차 연구 필요성 = 36 2. 부가절차에 의한 관할권 인정 = 36 3. 부가절차 중재동의의 근거 = 37 1) NAFTA 제11장에 의거한 중재동의 = 37 2) BIT에 의거한 중재동의 = 38 4. 부가절차를 이용한 최근 ICSID중재판정사례연구 = 38 1) NAFTA 제11장에 의해 제기된 ICSID중재의 특징 = 39 2) 중재판정의 승인 및 집행의 문제 = 40 第4節 중재판정부의 관할권에 대한 결정 = 40 1. 관할권 결정절차 = 40 2. 쟁점사항 = 41 1) 관할권 인정여부와 투자유치국의 국내법의 관계 = 41 2) 중재합의 효력의 한계: 중재동의의 소급적용의 인정여부 = 43 3) 중재합의에 대한 유보 = 45 3. 관할권을 인정사례연구 = 46 1) 피신청인이 관할권 이의신청을 제기하지 않는 경우 = 46 2) 관할과 본안의 밀접한 관계로 인한 병합 = 47 3) 관할권 이의신청이 이유 없는 경우 = 48 4. 관할권 결정에 대한 小結 = 48 第5節 본안 전 先決問題 = 49 1. 保全措置의 의의 = 49 2. ICAID협약상의 보전조치 = 49 3. 초기 판정례에서 나타난 보전조치 = 50 4. 최근 판정례에서의 보전조치 = 52 1) Emilio Agustin Maffezini v. Kingdom of Spain = 53 2) 同事例가 가지는 의미 = 53 第5章 準據法과 主要請求原因 = 54 第1節 중재판정사례 법리연구의 필요성 = 54 第2節 준거법선택의 문제 = 54 1. 성질에 따른 준거법: 절차법과 실체법 = 54 2. 선택 주체에 따른 준거법 = 55 3. 준거법 抵觸時 중재판정부의 선택 = 56 1) 국제법과 조화를 이룬 투자유치국 국내법 = 56 2) 국제법과 투자유치국의 국내법이 저촉되는 경우 = 57 4. 최근중재판정사례의 준거법 선택 문제 = 58 1) BIT의 준거법적 성격 인정여부에 대한 논란 = 58 2) NAFTA의 준거법 성격 인정여부에 대한 판정례 = 60 3) 준거법 선택에 대한 小結 = 61 第3節 주요청구원인: 수용·국유화 인정여부 = 62 1. 전형적인 국제투자분쟁의 원인: 수용·국유화 = 62 2. 투자보호의 기준향상 = 63 1) 수용인정범위와 '공정·공평한 대우' = 63 2) 최근중재판정례의 경향 = 64 3) 수용인정 범위의 확대에 따른 문제점 = 68 第6章 南北投資紛爭解決과 ICSID = 69 第1節 남북투자보장합의서의 체결 = 69 第2節 남북투자보장·상사분쟁해결합의서와 ICSID협약 비교분석 = 73 1. 남북투자보장합의서와 상사분쟁해결합의서상의 분쟁해결조항 분석 = 73 2. 남북상사분쟁해결에 관한 합의서와 ICSID협약 비교 = 74 1) 중재동의의 비철회성 = 74 2) 중재판정부의 구성 = 74 3) 남북상사중재위원회의 전속관할 인정여부 = 75 3. 남북상사중재위원회의 관할과 그 문제점 = 75 1) 남북투자보장합의서상 권리의 침해와 ICSID협약의 "법적인 분쟁" = 75 2) 인적 관할의 문제점 = 76 3) 중재 합의의 시기 = 76 4) 집행력 흠결의 우려 = 76 第3節 남북투자분쟁에 있어 ICSID의 활용가능성 = 77 1. 부가절차를 이용한 ICSID에 의한 중재가능성 = 77 1) 남북투자분쟁의 특성: 국가, 하부조직 및 기관 對 투자자 = 77 2) 상사분쟁해결절차에 관한 합의서 제3조 2항의 의미 = 78 3) 중재판정의 집행력보장을 위한 노력 = 79 第4節 남북투자분쟁의 사전예방을 위해 남측 정부와 투자가의 과제 = 80 1. 정부의 과제 = 80 2. 남측 투자자가 대북투자시 유의할 사항 = 82 1) 북한측 당사자에 대한 확인 = 82 2) 합작투자계약의 체결시 유의할 점 = 83 第5節 남북투자분쟁해결을 위한 최선의 방법 = 84 第7章 結論 = 85 參考文獻 = 89 ABSTRACT = 96 부록: 최근중재판례요약집 = 10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33148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ICSID에 의한 國際投資紛爭解決-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xii, 11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법학과-
dc.date.awarded2001.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법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