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210 Download: 0

부모학대와 또래괴롭힘이 청소년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Title
부모학대와 또래괴롭힘이 청소년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parental abuse and peer victimization on adolescent's suicidal ideation : The mediating pathway of interpersonal needs and hopelessness
Authors
홍나미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사회복지전문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김성이
Abstract
Suicidal behavior among adolescents has received much recent attention given the alarming increase in prevalence rates the last few decades. Youth suicide is the first most frequent cause of death among adolescents. Adolescent suicide is not only a personal issue that affects the victims themselves and their families, but is also a social issue that deserves society’s attention. Suicidal behavior has been conceptualized as a continuum ranging from suicidal ideation, suicide attempts. Investigators have assumed that suicidal ideation places at risk for suicide attempts. Some empirical evidence indicates that adolescents experiencing severe levels of suicidal ideation are likely to attempt suicide than are adolescents experiencing lower levels of suicidal ideation. In this sense, grasping the whole picture on the causes and the mediating pathways of suicidal ideation can be of significant help in preventing teen suicide from occurring and in effectively intervention for the youth at risk of killing themsel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s the mediating paths on suicidal ideation of teens based on the Stress-Vulnerability Model and the Interpersonal Psychology Theory. This paper designed a mediating pathways model on how parental abuse and peer victimization lead to the development of suicidal ideation through the mediating variables of interpersonal needs and a hopelessness. The development is sure to help reduce adolescent suicidal ideation and, in turn, seek for distinct mediating methods to help teens with suicidal ideas. To validate the suggested model, this paper administered a questionnaire to 768 students in their 10th, 11th and 12th grades of high schools in Incheon, and then analyze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before confirming the research hypothesis by adopting the tools of SPSS 17.0 and AMOS 18.0. The key points and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answers to the questionnaire items indicate that higher rates of the young people than expected have ever thought of committing suicide, even though the actual development rates of suicidal ideation is not that high. Female students turned out to be more vulnerable to suicidal ideation than their male counterparts, while those with lower standard of living and poorer academic achievement are more likely to suffer from suicidal ideas. 2) In the measurement model analysis, all variables were meaningful in representing concepts. In addition, sufficient fit index of research model has shown its reasonable fitness in the analysis of the measurement model and the structural model. 3) Parental abuses turned out to be one of the most direct effects on youth suicidal ideation. This type of interpersonal stress exercised a bad effect on the mediating pathways of suicidal ideation but through the mediating variable of interpersonal needs, not through hopelessness. As for parental abuse, its direct effects on suicidal ideation were higher compared to its effects through the mediating variables. The result clearly demonstrates that parental abuse is one of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in developing suicidal ideation. Peer victimization, however, had no direct bearing on suicide ideation, only indirectly affecting through the mediating variable of interpersonal needs. In addition, peer victimization had indirect effects on suicidal ideation through a sequential intervention of variables from interpersonal needs to a hopelessness.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is research has following implications: Firstly, this paper analyzed the mediating pathways of youth suicidal ideation resulting from parental abuse and peer victimization. The result could possibly help find preventive measures and effective mediating approaches to save the lives of young people at risk of committing suicide. Secondly, this study proved that the interpersonal needs, a relatively new concept hardly introduced in previous studies, is a significant predictive factor for suicide ideation, serving as an intervening variable of developing suicidal ideation among young people who have suffered parental abuse and peer victimization. It is of great significance that the finding helped examine the development process of suicidal ideation of teenagers in a totally new approach. Thirdly, this paper suggested that young people in a dangerous situation of parental abuse and peer victimization be provided with the chances to have their experiences of interpersonal relations assessed and straighten their distorted ideas out. Further, it proposed a plan to secure both an individual mediating strategy and a social supporting system to meet the needs of the teenagers for sound interpersonal relations. It is meaningful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served as a basic resource to assess the current situation of teen suicide by examining the correlation of variables that are the key considerations in mediating in clinical field practicum.;청소년의 자살행위가 지난 몇 십년 동안 급격한 증가율을 보이고 있으며, 사망 원인 중 첫 번째를 차지할 정도로 자살은 청소년기의 주요한 사망원인이 되고 있다. 이러한 청소년의 자살은 자살한 개인과 피해 가족만의 문제가 아니라 우리 사회가 공동으로 안고 가야할 사회적 문제이다. 자살행위는 자살생각부터 자살시도에 이르는 연속적인 범위로써 개념화될 수 있다. 많은 연구에서 자살생각이 자살시도의 위험이 있는 개인에게 있다고 가정하였고, 심각한 자살생각을 가진 대상들이 그렇지 않은 대상보다 자살시도률이 높다고 경험적 연구들이 보고하고 있다. 이처럼 자살은 논리적으로 자살시도나 행위에 앞서므로 자살생각을 일으키는 원인과 경로를 파악하는 것은 자살을 예방하고 자살위험에 처한 청소년들에게 효과적으로 개입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스트레스-취약성모델과 대인관계-심리이론에 근거하여 청소년의 자살생각 모형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스트레스 변수인 부모학대와 또래괴롭힘이 대인관계내재화와 절망감을 매개로 하여 자살생각에 이르는 경로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 자살생각에 미치는 매개경로를 규명하여 청소년의 자살생각을 감소시키며 자살위험에 처한 청소년들을 위한 차별화된 개입방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인천지역의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1, 2, 3학년 청소년 768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실시하였으며, SPSS 17.0과 AMOS 18.0을 활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분석하고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내용과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들은 자살생각을 많이 하지 않았지만, 자살에 대한 생각을 했던 경험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자 청소년이 남자 청소년보다 자살생각을 더 많이 하였으며, 생활수준과 학업성적이 낮은 청소년들이 자살생각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측정모형의 분석결과 각 측정변인들이 각 변수의 구성개념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잘 설명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측정모형과 구조모형을 검증한 연구모형의 적합도 지수가 충분히 수용 가능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셋째, 부모학대는 자살생각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학대는 대인관계내재화를 매개로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쳤지만, 절망감을 매개로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다. 부모학대는 매개변인을 통하여 자살생각에 미치는 간접적 영향보다 직접적으로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나 부모의 학대가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매우 위험한 변인임을 확인하였다. 또래괴롭힘의 경우 자살생각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지만, 대인관계내재화를 매개로 하여 자살생각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또래괴롭힘은 대인관계내재화가 절망감에 선행하여 순차적으로 매개함으로써 자살생각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절망감을 매개로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통해 본 연구가 갖는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학대와 또래괴롭힘이 자살생각에 이르는 경로를 분석함으로써 고위험 상황에 있는 청소년의 자살위험을 예방하고 개입할 수 있는 지점을 탐색할 수 있었다. 둘째, 기존의 연구에서 소개되지 않은 상대적으로 새로운 개념인 대인관계내재화가 자살생각의 중요한 예측요인이며, 부모학대와 또래괴롭힘을 경험하는 청소년의 자살생각을 매개한다는 사실을 발견함으로써 관계 차원에서 청소년의 자살생각경로를 살펴볼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셋째, 부모학대와 또래괴롭힘 등 위기상황에 처한 청소년들에게 대인관계 경험을 사정하고 왜곡된 신념을 변화시키는 과정이 필요하며, 대인관계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개별적인 개입전략과 사회적 지원체계를 확보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임상현장에서 개입의 초점이 되는 변인들의 관계를 확인함으로써 청소년 자살위험을 사정하고 평가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사회복지전문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