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안수연-
dc.creator안수연-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34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34Z-
dc.date.issued2002-
dc.identifier.otherOAK-00000007115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495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1159-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춤의 역사이자, 우리 시대의 마지막 무동인 심소 김천흥의 생애와 업적을 통해 우리시대 무용사의 과거, 현재, 미래를 잇는 산 증인으로서 무용예술인 정재무의 위치를 연구해보고 오늘날의 무용계에 궁중정재의 현 위치와, 전통무용의 필요성을 인식시키고자 하였으며, 현대의 춤을 행하고 있는 무용수들에게 주체적이고 근원적인 창작화 과정의 기틀을 마련하였다. 그리고 김천흥의 업적과 김천흥이 오늘의 무용예술계에 미친 영향은 무엇인지를 연구하는데 그 초첨을 두었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첫째, 김천흥의 생애와 역사적 배경 및 시대적 상황을 통해 심소 김천흥의 무용활동의 태동 전개과정을 살펴보았다. 둘째, 김천흥이 무용을 시작하게된 시기부터 현재 지금까지의 춤 활동사를 통해 그의 업적과 위상의 의의를 밝혔다. 셋째, 전통무용의 중요성과 지금까지 연희되고 있는 궁중무용 중 김천흥이 가장 많이 추어오고 가장 아끼는 두 작품인 '춘앵전'과 무용 창작극 '처용랑' 을 통해 김천흥의 작품세계를 연구하였다. 마지막으로 김천흥의 업적과 한국무용계에 끼친 영향을 통해 우리춤의 특성을 파악하고 우리춤의 전통성에 역점을 두어 연구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910년 민족치욕의 한일합방이 체결되면서 일본의 강압적인 통치아래 나라의 모든 제도가 바뀜에 따라 궁중무용의 모습은 원래의 모습을 볼 수 없을 정도로 감축되고 변질되었다. 그러나 이 시기에 김천흥은 1920년과 1930년 전 후 두 차례에 걸쳐 재현한 정재 12종을 포함시켜 오늘날까지 40여종의 재현안무를 공연하며 지금까지 이어오고 있다. 그리고 김천흥은 정재의 보급과 보전에 지대한 영향을 주었으며, 궁중무용의 재현안무를 통하여 정확하고 안정감 있는 우리의 춤을 전수 보급하는데 일익을 담당하였다. 둘째, 김천흥의 춘앵전은 궁중무에서 대표적인 춤으로써 김천흥의 정재 재현에 무수한 공적을 세우게 한 작품이다. 그리고 그것은 김천흥이 가장 오래, 가장 큰 뜻을 가진 춤이고, 현 무용계에 보존시키기 위해서 무형문화재로 지정하기 위해서 남다른 열의를 가지고 있는 궁중무의 백미이다. 특히 1960년대부터 궁중무용에서는 지정무용으로 선정한 독보적인 작품이기도 하다. 이 작품으로 김천흥의 명성을 떨치는 계기가 되었으며 궁중무용의 대중화 및 활성화에 기여했다. 새로운 무용창작극인 '처용랑'은 처용무의 처용설화를 바탕으로 김천흥의 뛰어난 각색과 연출로 정재재현의 전수를 한층 뛰어넘어 궁중나례의 처용무와는 다른 그의 나름대로의 해석과 기법을 포함시켜 무용계의 창작활동에 활성화를 마련하는 계기가 되었다. 1960년대 서울시 문화상을 받은 작품이며 그 당시에 예술계에서 무용인으로는 처음 받은 상이다. 셋째, 김천흥은 역사의 굴곡을 수없이 겪는 일제시대부터 현 시대 동안 우리춤을 보존하는 일에 일생을 다하였고, 무용생활 90주년 기념공연을 가졌고, 후진양성 및 전수 보존작업에 남다른 애정을 보이고 있으며 한국무용의 맥과 정신이 끊이지 않도록 지켜오고 있다. 그리고 김천흥은 오늘날의 무용이 있기까지 하나의 심성과 정신으로 꿋꿋이 전통을 지켜오고 있으며 전통의 도입에 있어서 주체성을 잃지 않는 한국적 예술세계를 구축하였다. 일제시대에 태어나 역사의 굴곡을 겪는 동안에도 우리 춤을 보존하는 일에 일생을 다하여 고유한 옛것과 오늘을 잇기 위해 지금까지도 각종 문헌에 무보까지 자세한 재현작업을 꾸준히 해왔으며, 궁중무용의 재현 안무를 통하여 전통과 현대의 접목과정에서 정확하고 안정감 있는 우리의 춤을 전수 보급하는데 일익을 담당하였다. 앞으로도 궁중정재 천년의 전통을 보존하고 궁중정재를 원형 그대로 신중하게 복원하는 노력은 꾸준히 계속되어야 할 것이며, 각 학교에서 한국무용교육의 전통무용 보존과 후대로의 영원한 전승을 기약하는 일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tatus of Chung Jae-moo, a dance artist who links the past, the present and the future of dance history through Kim Chun-hung's like and his achievement, who is the history of our dance himself well as recognizing the present position of Gungjung Jaungjae and the necessity of traditional dance. This study also makes the frame of subjective and original process of creation for modern dance. It focuses on Kim Chun-hung' achievement and influence on the field of dance art. For this purpose, this study looks at the development of Kim Chun-hung's dance activity through his life, historical background and situation. Second, it identifies Kim Chun-hung's achievement and status from the period he started dance until now. Third, it studies the world of Kim Chun-hung's work through two favorite pieces of work, 'Chunaengjun' and 'Cheoyongrang', which are still performed. Chunaengjun is a representative dance in court dance, and it made a great achievement in reviving Kim Chun-hung's Jungjae. It is a master piece of court dance, which was chosen as exclusive dance in court in the 1960s. This work made Kim Chun-hung famous and contributed to the popularization and activation of court dance. Cheoyongrang, a new creative dance theater, is based on Cheoyong's tale, and it gave the chance to activate creative activity in the field of dance with Kim Chun-hung's individual translation and technique, which is different from other Cheoyong dance of court. Lastly, this study grasps the characteristics of our dance through Kim Chun-hung's achievement and his influence on Korean dance, focusing on trasition of our dance. Born in times of Japanese colonization, Kim Chun-hung spend his whole life in preserving our dance, and he has been working on the revival of dance to link the old to today. He also took part in passing down and distributing our dance through choreography of reviving court dance. Moreover, he played a major role in internationalizing Korean art not losing subjectivity in introducing new dance by fully understanding traditional Jungjae. Jungjae, which had been discontinued since late Chosun dynasty, was revived first in 1923 and in 1930 as the second. Kim Chun-hung succeeded to it with Yoryung Jungjae after 59 years' discontinuance, and it is all his contribution that made Jangjae take great part of performance by the National Classical Music Institute. We should keep make an effort to keep a thousand years' history of court Jangjae as well as restoring its prototype, and each school should also try to preserve tradition of Korean dance as well as passing it down to the next genera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i 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의 방법 및 제한점 = 3 II. 이론적 배경 = 6 A. 생애 = 6 B. 역사적 배경 및 시대적 상황 = 14 III. 김천흥의 활동사 = 19 A. 초기 (1920-1951年) = 19 B. 중기(1951~1962年) = 30 C. 후기~현재(1962~2001年) = 46 IV. 작품을 통한 연구 = 61 A. 춘앵전 정재작품 = 65 1. 발생배경 및 내용 = 65 2. 창사 = 68 3. 복식 및 반주음악과 편성악기 = 69 4. 작품의 특성 = 71 B. 처용랑 창작 작품 = 78 1. 발생배경 및 내용 = 78 2. 작품의 구성 = 83 3. 작품의 특성 = 86 V. 김천흥의 업적과 한국무용계에 끼친 영향 = 91 VI. 결론 = 97 참고문헌 = 100 ABSTRACT = 10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0567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김천흥의 춤 활동을 통한 사적고찰-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viii, 10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무용과-
dc.date.awarded200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