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숙-
dc.creator김숙-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33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33Z-
dc.date.issued2002-
dc.identifier.otherOAK-00000007115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494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1157-
dc.description.abstract우리의 가장 오래된 민간신앙의 한 형태인 무속은 인간의 본능적 움직임의 욕구를 짙게 내포하고 있는 원시적 예술형태로 신앙적 성격을 띈 대규모의 부락공동제의 성격을 띄고 있다. 무속은 고대문화의 온상으로 詩, 歌, 舞의 고대예술의 형태를 포함하는 종합예술의 성격을 띄고 있으며, 후대로 내려오면서 우리 전통문화와 예술의 모태적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즉 무속은 한국민속예술의 원초적인 형태라 할 수 있으며, 무용적 요소는 한국 무용의 근거를 형성했다고 볼 수 있다. 본 논문은 서울 진오귀굿을 대상으로, 무용학적 측면에서 무무(巫舞)를 중점적으로 연구하여 무무(巫舞)의 기본적 유형을 유출하였으며 그 특성과 기능을 고찰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서론에서 본 연구를 하게 된 목적과 그 방법 및 제한점을 제시하고 제2장에서 진오귀굿의 유래와 종류, 제의절차, 무악(巫樂), 무구(巫具), 무복(巫服) 등 서울 진오귀굿에 대한 일반적인 개관을 살펴봄으로써 진오귀굿의 춤의 특징을 이해하는데 기초자료를 마련하였다. 이것은 기존의 문헌을 정리하는 방법과 현재 행하여지고 있는 진오귀굿의 현장을 찾아가 직접 검증하는 방법을 통하여 이루어졌다. 제3장에서는 서울 진오귀굿의 여러 과정 중 무용적 요소가 가장 많은 상산거리, 별상거리, 신장거리, 대감거리, 도령을 중심으로 무보를 만들어 춤사위를 연구하였으며, 마지막의 결론 부분에서는 이러한 서울 진오귀굿의 춤 연구를 통하여 서울 진오귀굿 춤의 특성과 기능을 밝혀보고자 한다. 서울 진오귀굿 제의절차 안의 무악(巫樂)은 궁중계열 삼현육각 곡 위주로 이루어지며 장단의 변화는 무당이 주관한다. 또한 여러 무복(巫服)은 신복으로서 해당 신격이 바뀔 때마다 필요하므로 무구(巫具)와 함께 다양하게 변화한다. 서울 진오귀굿 춤의 구조를 무의식의 기본 절차인 청신(請神), 오신(娛神), 송신(送神)의 3과정으로 분류하고 발동작을 형태적으로 분석하였는데 그 결과 청신(請神) 과정의 춤은 제장 정화, 강신의 기능이 있고, 오신(娛神) 과정의 춤은 예언, 복 주기, 재액, 점술, 접신, 연극, 오락등의 여러 기능이 있으며, 송신(送神) 과정의 춤은 신을 보내고 확인하는 기능이 있음을 밝혀 보았다. 서울 진오귀굿은 망아적 상태에서 신과의 교감을 이루는 강신무가 굿을 주관하는 무속의 종교의식이다. 따라서 강신무인 서울 진오귀굿의 춤은 기능에 따라 정형화된 춤이며 구성과 춤동작이 간단하면서도 반복적인 요소를 많이 가지고 있었다. 또한 자세가 바르며, 느린 춤사위로 시작하여 차츰 속도가 빨라지면서 발 동작이 점차 강화되는 것을 살펴 볼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공수 직전에는 항상 도무(跳舞)를 하며, '으이~' 하는 소리를 지르며 회전하고 팔의 동작은 ∞ 형태를 그리며 격렬한 도무(跳舞)일 때 상하의 움직임으로 나타나는 점이 특징임을 알아내었다.;'Mu sok', one of the oldest form of private religion, carries the meaning of both a primitive art which deeply indicate mankinds instinct desire in movement and religious character of a ancient large scale village. Mu sok is a comprehensive art which possesses poetry, music and dance in an ancient art form, became the basis of our traditional culture. In other words, Mu sok can be described as a primitive form of modern Korean art and especially the dancing ingredient holds the roots modern Korean dance. This study has the purpose of studying Seoul Jinohghigut focusing on the dancing aspects to derive the basic structure of dancing in Jinohghigut. In build up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chapter examines the overview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and its limits second chapter examines the origin, variations, rite service procedure, its music, tools, clothes that makes up Seoul Jinohghigut. This is explained with the purpose of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dance of Seoul Jinohghigut and to compose the basis. This is done through both organizing existing study sources and visit the actual ritual. The third chapter focuses on the sections of Seoul Jinohghigut that heavily contain dance characteristics such as SangSangori, BollSnaggori, Daegamgogri and Doroung, and in the last chapter explains the characteristics of Seoul Jinohgigut through the dance movement chart. The music of Seoul Jinohgigut is mainly compose of percussion instrument and the rhythm is changed by the shaman. Also the various number of costumes is used on different occasions for specific Gods, and this is also the case with such instruments. This study divided the dance of Seoul Jinohgigut largely into three parts; ChungShin, OhShin and SongShin. After extensively examining the feet movement, ChungShin has the function of purification. Ohshin serves the function of prediction, passing out fortune, and also holds theatrical and entertainment ingredient, and lastly Songshin serves the function of sending back and confirming the Gods. Seoul Jinohgigut is a religious ritual that contains sharmanistic characteristics and experiences a certain level of consensus with the gods in a state of ecstasy. So the dances are structured to serves its function, and has simplistic composition, choreography and is repetitive. The dance starts slow but picks up speed as the dance progresses. In the climax part, the Gongsu section the dancer always yells out hyui~ and rotates her arms in a form, and at the same time show heavy lateral movemen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방법 및 내용 = 4 C. 연구의 제한점 = 5 II. 서울 진오귀굿의 이론적 배경 = 6 A. 진오귀굿의 유래와 종류 = 6 B. 진오귀굿의 의식절차 및 내용 = 10 C. 진오귀굿의 무악(巫樂), 무복(巫服), 무구(巫具) = 23 a. 무악(巫樂) = 23 b. 무복(巫服) = 25 c. 무구(巫具) = 27 III. 서울 진오귀굿의 춤에 대한 연구 = 30 A. 진오귀굿에 나타난 춤의 상황 = 31 B. 진오귀굿의 춤의 구조 = 33 C. 진오귀굿의 춤사위 연구 = 34 a. 발동작 = 34 b. 무보 = 46 1) 상산거리 = 47 2) 별상거리 = 52 3) 신장거리 = 54 4) 대감거리 = 57 5) 도령 = 59 D. 진오귀굿 춤의 특성 = 64 E. 진오귀굿 춤의 기능 = 69 IV. 결론 = 73 참고 문헌 부록 ABSTRACT-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80056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서울 진오귀굿의 춤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김유감을 중심으로-
dc.format.pagevi, 8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무용과-
dc.date.awarded200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