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신정-
dc.creator김신정-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33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33Z-
dc.date.issued2002-
dc.identifier.otherOAK-00000007090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494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0907-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사회과 통합 교육과정에 근거하여 구성한 통합 수업모형이 학습자의 개념발달 및 고급사고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연구문제들을 설정하였다. 첫째, 민주시민성 함양이라는 사회과 교육목표에 비추어 보았을 때 통합 사회과 수업모형은 타당한가? 둘째, 통합 사회과 수업모형은 어떻게 구성될 수 있는가? 셋째, 민주시민성 함양이라는 사회과 교육목표에 비추어 보았을때 통합 사회과 수업모형은 어떠한 효과성을 가지는가? 이상과 같은 연구문제에 따라 진행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민주시민성 함양이라는 사회과 교육목표와 수업모형 이론에 비추어 보았을 때 통합 사회과 수업모형은 타당하다. 사회과는 정치학, 경제학, 사회학, 역사학, 지리학 등 여러 가지 사회과학을 기초로 성립하는 것이 사실이지만, 그 근본적인 목표는 사회과학의 지식을 가르치려는 것이 아니라 훌륭한 시민으로서 필요한 사회생활에 관한 지식과 기능을 교육하고, 바람직한 가치관을 형성 하려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단일적인 사회과학 중심의 사회과 보다 여러 가지 사회과학의 지식을 기초로 하여 사회생활에 관한 문제, 주제, 아이디어, 장래의 전망 등을 종합적으로 고찰하는 통합적인 교육이 필요하게 된다. 즉, 통합형 수업과정에서 학생들은 하나의 주제를 다양한 관점에서 학문의 영역에 구애됨이 없이 학습함으로써 종합적으로 사회를 인식할 수 있는 기회를 경험하며 나아가 그 주제를 심층적으로 사고함으로써 의사결정, 비판적 사고, 창의적 사고, 자기 자신에 대한 반성과 메타인지, 가치판단, 대안모색과 예측 등의 정신적 활동을 경험하게 된다. 오늘날 급격한 사회변동이 진행되고, 다양한 가치관에 대한 이해와 개방적인 태도 등이 강조되고 있는 상황에서 민주 시민성의 핵심인 고급사고력과 가치관 확립을 위해서는 현실적인 문제와 탐구력을 중심으로 구성하는 통합 사회과 수업이 적합하다. 둘째, 통합 사회과 수업모형은 어떻게 구성될 수 있는가? 먼저 본 연구에서는 통합 사회과 교육에 대한 다양한 논의들을 선행 연구를 통해 고찰해 보았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구체적인 통합 사회과 수업모형을 설계하였는데 즉, 학습자의 민주시민성 향상을 위한 개념 발달과 고급사고력 함양을 교육목표로 두고, 주제 스트랜드를 교육목표 달성을 위한 내용조직 요소로, 통합성을 내용조직 원리로, 이슈를 내용조직 초점으로 한 수업모형이었다. 셋째, 개발된 통합 사회과 수업모형의 경험적인 유용성을 검증하기 위해 실험수업을 실시하였다. 검증해 보고자 한 연구가설은 다음과 같다. 【가설1】 수업모형에 따라 학습자의 개념 발달이 다르게 나타날 것이다. 【가설2】 통합 수업모형으로 학습한 실험집단이 전통적인 수업을 통해 학습한 집단보다 고급사고력 성취가 높게 나타날 것이다. 위의 연구문제와 연구가설에 기초하여, 본 연구는 서울에 있는 중학교 3학년 4학급 132명을 대상으로 각각 두 학급씩 짝지어 실험집단, 비교집단에 배정하였다. 실험집단은 통합 수업모형으로 수업이 이루어지고, 비교집단에는 기존 교과서를 그대로 따른 전통적인 수업이 이루어졌다. 각 집단은 일회의 사전 검사와 일회의 사후검사를 수행하였는데, 일회의 사전검사는 실험을 실시하기 전에 각 집단의 학생들에게 앞으로 배울 단원에 대한 사전 지식 정도를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복지사회'에 대한 개념도1(O1)을 작성하게 하여 학습자의 사전 개념발달 수준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사후검사는 각각의 수업모형대로 실험처치 후에 각 집단의 학생들에게 나타난 효과를 알기 위한 것이었다. 즉, 각각의 실험처치 후 '복지사회'에 대한 개념도2(O2)를 작성케 하여 수업으로 인한 학습자의 개념발달 정도를 파악하였으며, 고급사고력 성취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실험의 결과는 다음과 같은 측면에서 의미있는 시사점을 제시해 주고 있다. 가설1의 검증 결과 각각의 수업모형으로 인해 학습자의 개념발달 변화가 일어난 경우는 전통적인 수업모형 집단에서 약 64%, 통합형 수업모형 집단에서 약 62%로 두 집단 간에 차이가 그다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의 가설1은 기각되었다. 좀 더 구체적으로 학습자의 사전 개념발달 수준이 수업방식에 의해 어떻게 변화하였는가를 비교해 보았다. 그 결과 통합 수업이 이루어진 실험집단의 경우 전통적인 수업이 이루어진 비교집단에 비해 개념발달의 양적 확장이라는 측면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치를 얻지 못했지만 질적인 면에서의 개념발달을 고려해 본다면 명백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즉, 통합 수업모형으로 학습한 집단의 경우 '복지사회'에 대한 개념발달의 내용이 역사적인 관점부터 시작해서 정치적인 측면, 사회 이슈적인 내용 등에 치중되어 있는 반면 전통적인 수업모형의 학습집단의 경우에는 교과서 서술대로 사회법의 종류 및 체계 등을 위주로 개념이 확장되어 가고 있었다. 결국, 학습자의 개념발달을 논의할 때 양적인 평가에 있어서는 두 집단 간의 차이가 없었지만 학습자가 어떠한 측면을 중시해서 개념도를 발달시켜가고 있느냐 하는 부분에서는 명백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의 두 번째 가설을 검증해 본 결과 통합형 수업모형으로 학습한 실험집단이 전통적 수업모형 집단에 비해 고급사고력 성취 검사 점수가 훨씬 높았다. 즉, 통합 수업모형으로 수업이 이루어진 학생들의 평균 점수가 전통적인 수업을 받은 학생들보다 고급사고력 성취면에서는 100점으로 계산했을 때, 평균 14점 정도가 높았다. 이는 본 연구의 가설과 일치하며 사고력은 의도적이며 적절한(뚜렷한) 방법을 통해서 길러질 수 있다는 Barry K. Beyer의 연구와도 일치한다. 일상적인 사고는 자연적으로 형성되기도 하지만 보다 숙달되고 질 높은 사고는 저절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다. 사회과 학습시간에 교과서를 읽고 주요한 사실을 외우는 학습에서는 사고력의 형성을 기대할 수 없다. 보다 질 높은 사고는 체계적인 계획과 사고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뚜렷한 방법을 모색, 적용하고 학생들 스스로가 문제 상황에 몰두하여 몸소 생각할 수 있는 기회가 부여될 때 형성될 수 있다. 사회과 교육에서 강조하고 있는 고급사고력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사고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효율적인 방안은 당연히 강구되어야 한다. 요컨대, 고급사고력은 수업을 통해 성취되어질 수 있고 사회과 교육의 목표가 고급사고력을 지닌 민주시민성 함양이라면 이는 통합 사회과 수업모형이 그 길잡이가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지금까지 논의를 통하여 사회과 통합 수업모형은 교육적 유용성 측면에서 매우 효과적임이 입증되었다. 통합 사회과 수업모형을 구상하는 것은 많은 시간이 필요하고, 여러 학습자료가 구비되어 있어야 하며, 학습자의 사전 학습정도에 대한 깊이있는 고려가 필요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지원책이 어느 정도 해결될 수 있다면 앞에서 살펴본 유용성의 측면에서 통합 수업모형은 사회과 교육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tribute to improve the integrated curriculm of social studies for the middle school by suggesting the examples of the integrated unit framework focused on the strands for the social studies in the middle school. The curriculm of social studies in the middle school is facing criticisms in that the curriculm doesn't reflect the principles of integration even with the unitary subject, and it's hard to teach the subject which are mixed with different subject matters without standards as something transcendental every studies. The study by the necessity mentioned above is in contents as follows. First, I present the alternative for the genuine integrated curriculm of social studies. Second, I form the integrated unit framework for the social studies of the middle school. Third, I analyze the results of the teaching on the basis of the integrated unit framework for the social studies in the middle school. The results of the studies are as follow. First, I presented the theoretical validity on using the classroom experiments as a model of the integrated unit with 'strand' for the social studies. Second, I presented seven strands as standards - people, place and environments ; time, continuity and change ; democracy and pluralism ; power and civic participation ; culture and identity ; production and distribution ; mutual dependence and global connection - for the integrated curriculm of social studies in the middle school. Third, I found out that teaching-and-learning by the integrated unit framework is powerful to the civic education in democracy, and it will contribute to improve the teaching-and-learning metho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I. 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1 2. 연구문제 = 3 3. 용어의 정의 = 5 4. 연구의 절차와 의의 = 8 II. 왜 통합 모형인가 = 12 1. 사회과의 본질과 시민성, 통합성 원리 = 12 2. 사회과 수업 모형으로서의 통합 모형 = 14 3. 통합 수업 모형의 의의 = 17 III. 통합 수업 모형은 어떻게 구성되어지는가 = 20 1. 통합 사회과 유형에 관한 이론적 고찰 = 20 1) 교육목표에 따른 분류 = 22 2) 통합의 정도에 따른 분류 = 23 3) 내용 조직 초점에 따른 분류 = 25 2. 통합 사회과 실험수업의 개발 = 27 1) 새로운 통합 수업모형 개발의 기본 방향 = 27 2) 통합 사회과 실험수업 단원 구성의 예시 = 35 3) 통합 사회과 실험수업 실천의 예 = 38 IV. 통합 수업 모형의 효과 분석 = 39 1. 연구방법 및 절차 = 39 1) 변인 및 가설 = 39 2) 실험대상 = 40 3) 실험 설계 = 44 4) 실험 절차 = 45 5) 통계 분석의 방법 = 50 6) 본 연구에서의 개념발달·고급사고력 측정도구 = 51 7) 평정자간 신뢰도 = 59 2. 실험결과 분석 = 60 1) 개념발달 효과 분석 = 60 2) 고급사고력 성취도 분석 = 65 3. 논의 = 67 V. 결언 = 72 참고문헌 = 76 【부록목차】 = 7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9606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통합 사회과 교육 수업모형에 관한 실험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vii, 10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사회과교육전공일반사회교육분야-
dc.date.awarded2002.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일반사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