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07 Download: 0

안정형 및 불안정형 협심증 환자에서 관상동맥 조영술상의 형태학적 연구

Title
안정형 및 불안정형 협심증 환자에서 관상동맥 조영술상의 형태학적 연구
Authors
전정현
Issue Date
2000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최근 관상동맥 조영술 및 관상동맥내 초음파술이 개발되고 급성 관상동맥증후군에 대한 해부병리학적 연구가 이루어지면서 죽상 동맥경화반의 형태학적 특징을 분석할 수 있게 되었다.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은 혈관내에서 천천히 진행되고 있던 죽상 동맥경화반이 갑자기 관상동맥 폐쇄를 일으켜 유발되는데 이런 죽상 동맥경화반의 형태학적 특징으로 파열, 침식(erosion), 궤양(ulceration), 경화반내 출혈등이 있다(Ambrose 등, 1986; Badimon 등, 1993;Fuster 등, 1992). 관상동맥 조영술상에서 병변의 형태학적 특징과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의 임상상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불안정형 협심증의 주병변은 불규칙한 표면을 보이는 편심적 병변이나 복잡 병변임을 보고하였다 (Ambrose등, 1985; Fuster 등, 1990; George 등, 1997). 이전에는 임상 증상을 일으키는 주된 병변으로 관상동맥의 50%이상이나 75%이상의 협착을 가진 병변만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그러나 최근에 협착 정도가 심하지 않은 경미한 병변에서도 병변의 진행이 빠르게 일어나고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을 유발시킬 수 있음이 밝혀진 이후 병변의 활응력(vulnerability)의 중요성이 대두되었으나 국내에서는 보고된 것이 별로 없는 실정이다(Ambrose 등, 1986; Ambrose 등,1988).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25%이상 50%이하의 관상동맥 협착을 보인 미세 병변까지도 포함하여 안정형 협심증과 불안정형 협심증의 임상상에 따른 관상동맥 조영술상의 형태학적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은 본원에 내원한 협심증 환자들을 대상으로 임상증상에 따라 안정형 협심증군과 불안정형 협심증군으로 나누어 관상동맥 조영술상의 병변의 형태학적 특징을 비교하였고, 위험인자로서 나이, 성별, 고혈압, 당뇨병, 고콜레스테롤혈증, 저 고밀도 콜레스테롤을 비교 분석하였다. 형태학적 특징으로 각 군간의 침범 혈관수, 석회화와 궤양의 유무를 비교하였고 혈관 조영술상보이는 협착 병변을 분석하여 각 협심증 군간 병변의 협착 정도, Ambrose 분류별에 따른 빈도수등을 분석하였다(Ambrose 등, 1986; Collins 등, 1990). 병변은 Ambrose 분류법을 이용하였고 Ambrose의 분류를 변형하여 동심형 병변과 Ⅰ형 편심형 병변을 단순 병변으로, Ⅱ형 편심형 병변과 복합 불규칙 병변, 궤양 병변을 복잡 병변으로 분리하였다. 협심증 군 및 병변의 위치 분포의 차이는 American Heart Association 분류법에 따른 각 분절별 위치분포를 비교하였다. 안정형 협심증군과 불안정형 협심증군간에 위험인자는 의의있는 차이가 없었다. 관상동맥조영술상의 형태학적 분석에서 다혈관 질환수, 혈관의 석회화 및 궤양수도 통계학적으로 의의있는 차이는 없었다. 각 병변별 협착의 정도도 두 군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58.94±23.42 % vs. 69.29±22.19 %,non-significant(NS)) 불안정형 협심증군에서 90%이상의 병변이 유의하게 많았다(22.0 % vs. 34.0 %, p<0.05). 관상동맥 협착의 형태학적 분석 결과 불안정형 협심증군에서 안정형 협심증군에 비해 복잡병변이 의의있게 많았다(33.0 % vs. 48.6 %, p<0.05). 두 협심증군간의 분절위치에 따른 형태학적 병변의 분포차이에서는 복잡 병변이 우관상동맥에서 의의있게 많은 분포를 보였다 (p<0.05). 결론적으로 불안정형 협심증군에서 관상동맥 조영술상 복잡병변과 90%이상의 협착 병변이 더 많았는데 이런 관상동맥 조영술의 형태학적 특징과 불안정형 협심증의 기전의 관련 여부는 보다 많은 연구가 있어야 할 것이다.;Background : Unlike stable angina, unstable angina is a common syndrome associated with significant morbidity and frequent progression to acute myocardial infarction. As previously reported, unstable angina is usually related to characteristic coronary artery lesion. This takes the form of an eccentrically placed convex stenosis with a narrow neck due to one or more overhanging edges or irregular, scalloped borders, or both. So we evaluated coronary artery morphology on angiography according to the type of angina. Methods : We conducted a retrospective study of 96 patients with angina pectoris (42 of stable patients and 54 of unstable patients) who underwent coronary angiography at Ewha Womans Medical Center. We studied lesion stenosis more than 25% and total lesion number was 240. Each obstruction reducing the luminal diameter of vessel by 25% or greater was categorized into simple and complex lesion such as asymmetric, eccentric, ulcerated narrowing and irregular border. Calcification of coronary artery, vessel involvement, stenosis grade and location were characterized. Lesion location was reviewed according to AHA classification. Results :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risk factors between the stable angina and unstable angina.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vessel involvement, lesion number, calcification and total obstruction. In morphologic analysis, complex lesions were more frequent in unstable angina than stable angina (49% vs 33%, p<0.05). The mean of stenosis was no signig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but more stenosis lesions than 90% were more frequent in unstable angina (34% vs 22%, p<0.05). Location of involved vessel was similar between the angina groups. Complex lesions were distributed more frequent in RCA and simple lesions were more in LAD and LCX (p<0.05). Conclusions : The complex lesion such as asymmetric, eccentric, ulcerated narrowing and irregular border and higher stenosis were most common configuration of coronary artery lesion in unstable angina.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