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66 Download: 0

정상 임신에서 초음파를 이용해 측정한 임신주수에 따른 태아 간길이 및 간용적의 변화에 관한 연구

Title
정상 임신에서 초음파를 이용해 측정한 임신주수에 따른 태아 간길이 및 간용적의 변화에 관한 연구
Authors
오관영
Issue Date
2000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태아의 간은 태아의 성장상태와 영양상태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 기관으로 알려져 왔다. 따라서 태아의 간크기를 측정하여 태아의 성장 상태를 예측하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태아 성장 이상의 진단에 이용될 수 있다. 태아 간의 이런 성질로 태아 성장 이상이나 태아 질병의 조기발견을 위해 간크기에 대해 많은 연구가 있어 왔다. 기존의 연구는 주로 간크기를 간길이로 측정하였는데, 최근 3차원 초음파가 도입됨에 따라 간용적에 대한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1999년 4월부터 11월까지 인하대 부속병원을 방문하여 산전관리를 받은 산모 중 최종월경일이 정확하고, 임신초기에 초음파로 임신주수를 확진한, 태아나 산모 모두에서 합병증이 없는, 임신 20주에서 36주 사이의 정상 단태 임산부를 대상으로, 태아의 간크기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초음파를 이용하여 간길이와 간용적을 측정하여 임신주수와의 관계를 고찰하고, 그 상관관계를 밝히고자 하였으며, 또한 간길이와 간용적의 비례정도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간크기를 보는 지수로 간길이와 간용적을 선택하였고, 간길이는 Vintziloes 방법을 이용하였고, 간용적은 3차원 초음파를 이용하여 초음파안내서에 따라 간의 첨단부터 말단까지 2mm간격으로 나누어 면적을 측정후 초음파 내의 자동 프로그램으로 간용적을 계산하는 방법을 취하였다. 이에 연구자는 아래와 같은 연구 결과를 얻었다. 1. 연구대상은 모두 정상 임신군으로 간길이는 54명에서 간길이 값을 얻을 수 있어 88.5%에서 성공하였고, 간용적은 57명에서 간용적 값을 얻을 수 있어 87.7%에서 성공하였다. 간크기의 측정에서 가장 많은 실패원인은 태동이었고, 그 마음은 태아 호흡이었으며, 그외에 등 상위의 태위(back up position)와 산모 비만 등이었다. 2. 임신주수에 따른 간길이의 변화는 y(간길이)=2.028X(임신주수)-16.882의 선형의 회귀 방정식을 얻었으며, 비례관계가 성립함을 알 수 있었다(r=0.78, p<0.0001). 3. 임신주수에 따른 간용적의 변화는 비선형 회귀식을 구하였는데, Y =0.0003X^3.5099로 임신주수에 비례관계를 보였다(r=0.93, p<0.0001). 이상의 결과로 간크기는 임신주수에 따라 비례하여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간크기를 나타내는 간길이와 간용적 중에 특히 간용적의 상관계수는 0.93으로 간길이의 상관계수 0.78 보다 높은 비례관계를 보였다. 따라서 간길이 측청으로만 시행되었던 태아 성장 상태의 평가나 태아 간비대질환의 조기진단에, 간용적 측정이 더 좋은 예측지표로 사용될 수 있음을 알수 있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몇가지 제한점이 있었는데, 첫째는 대상군이 적었고, 둘째는 각 주수별 대상군이 고르지 못하였으며, 셋째는 간크기의 값의 표준편차가 큰 것이었다. 앞으로 간크기 특히 간용적의 임상적 응용을 위해서는, 보다 많은 대상군에서 간용적이 측정되어, 임신주수별 정상 간용적 범위가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태아 성장 이상과 간비대 등이 나타나는 질환을 가진 대상군을 선정하여 간용적에 대한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The fetal liver has been known to be one of the most sensitive organs for the indication of fetal growth and nutritional status. The characteristics of the fetal liver are associated with the function of the liver. Isoimmunized pregnancy and congenital infections such as CMV infection and syphilis, are some of the conditions associated with hepatomegaly in the fetus. Thus, the measurement of liver size can be used for the diagnosis of the fetal growth abnormalities (fetal growth restriction, macrosomia etc.) and fetal disease with hepatomegaly. Until now, liver length has been applicated to the estimation of liver size. However, with recent development of 3-dimensional ultrasonography, researches are being actively pursued in the measurement of liver volume. In this study, fetal liver size was measured in women with normal, singleton pregnancies at Inha University Hospital from April 1999 to November 1999. They had regular menstruations, and accurately known last menstrual periods. Gestational ages were confirmed by ultrasonography during early pregnancy. The pregnancies were free from complica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mathemat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fetal liver size (liver length or volume) and the gestational age in normal pregnancies. Brief comparisons were also attempted between liver length and liver volume, in order to determine if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the two. We collected data on 54 singleton pregnancies from 20 to 36 weeks of gestation for measuring fetal liver length and 57 singleton pregnancies for measuring fetal liver volume. All images were obtained using a Combison 530 ultrasonic machine (Kreztechnik AG, Zipf, Austria). The liver length was estimated using the Ventzileos' method. The liver volume was estimated using 3-dimensional ultrasonography as a guide.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1. The liver length were measurable in 54 cases(88.5%) and the liver volume were measurable in 57 cases(87.7%). Fetal movement was the most common cause of unmeasurable cases in estimating fetal liver size. Other causes were fetal breathing, unfavorable fetal position and maternal obesity. 2.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liver length and gestational age by linear regression analysis. The linear regression equation was Y(liver length)=2.028X (gestational age)-16.882( r=0.78, p<0.0001). 3. There was a high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liver volume and gestational age by non-linear regression analysis. The non-linear regression equation was Y=0.003X^3.5099(r=0.93, p<0.0001). Liver volume was better correlated with gestational age than was liver length(r=0.78 : r=0.93). Ultrasonic measurement of fetal liver size, especially liver volume, is a reliable indicator of fetal growth. Therefore, these data suggested that liver size measured by ultrasonography can be valuable for the prediction of abnormal fetal growth (fetal growth restriction, macrosomia) and fetal disease with hepatomegal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