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9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예상희-
dc.creator예상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30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30Z-
dc.date.issued2000-
dc.identifier.otherOAK-00000007148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491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1483-
dc.description.abstractThe clinical effects of a 0.5 % spinal isobaric bupivacaine 8 mg (n=15) and a 0.5 % spinal hyperbaric bupivacaine 8 mg(n=15) were compared following randomly subarachnoid administration in 30 patients, aged 65 years or more, undergoing orthopedic surgical operation of lower extremity. Spinal anesthesia were performed in lateral decubitus position with operating site down. We measured the maximal sensory level according to pinprick test, the time to maximal sensory block, the duration of sensory block, the time to complete motor block and the degree of motor block. And hemodynamic variables were assessed at 2 minutes for 10 minutes in lateral decubitus position and then at 5 minutes for 20 minutes in supine position after spinal anesthesia.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maximal sensory block level and the duration of sensory block were not different significantly between two groups. The time to maximal sensory block was significantly shorter in hyperbaric group than isobaric group in both lower extremities. There were two cases of inadequate sensory block in isobaric group. The time to complete motor block was significantly longer in hyperbaric group than isobaric group in the nondependent extremity. There were two cases of inadequate motor block in hyperbaric group.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decreased significantly after spinal anesthesia but the changes of blood pressure were not different significantly between two groups. The heart rates were significantly slower in hyperbaric group than isobaric group from 15 minutes to 30 minutes after spinal anesthesia.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cidence of complications including hypotension, headache, backache, urination difficulty, nausea and vomiting.;의학 발달에 따른 평균 수명의 연장은 노인 환자의 수를 증가시켰으며 하지 수술을 받는 환자 역시 증가되었다. 노인 환자에 대한 마취에 있어 전신 마취와 부위마취 중 어느 것이 더 좋다는 결론은 없으나 전신 마취는 약제의 안전 사용범위가 좁은 노인 환자에서 약제의 전신 독작용을 일으킬 수 있고 약제의 대사와 배설 감소에 따라 마취로부터의 회복이 지연될 수 있어 수술 중 환자의 의식과 호흡기능이 유지되는 부위마취를 고려할 수 있다. 부위마취 중 척추마취가 충분한 감각차단과 운동차단을 유도할 수 있으나 노인 환자는 노화에 따른 생리적 변화로 인해 척추마취시 젊은 환자에 비해 감각차단 분절범위가 넓고 혈압 감소가 현저하여 적절한 마취관리가 필요하다. 등비중 국소마취제는 고비중 국소마취제에 비해 마취시 차단범위가 높지 않고 환자의 자세에 영향을 받지 않으며 마취중 저혈압 발생이 적고 운동차단이 완전할 뿐 아니라 차단 기간이 길어 술후 통증 경감의 장점이 있어 정형외과적 하지 수술에 적합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환자마다 감각 차단 범위가 다양하며 예측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본 연구는 노인환자에서 bupivacaine hydrochloride 등비중 용액과 고비중 용액을 각각 사용하여 감각차단과 운동차단 및 심혈관계에 대한 영향과 합병증을 비교하여 노인 환자의 하지수술을 위한 척추경막외 마취 중 척추마취의 적절한 방법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하지 수술을 위한 척추마취가 예정된 65세 이상의 환자 30명을 선택하였다. 수술받는 하지가 아래인 측와위에서 제 1-2 또는 제 2-3번 요추간에 등비중군(n=15)에서 0.5 % 등비중 bupivacaine 8 mg(1.6 mℓ), 고비중군(n=15)에서 0.5 % 고비중 bupivacaine 8 mg(1.6mℓ)을 지주막하강에 주입하였다. 감각차단과 운동차단의 정도 및 혈압과 심박수를 측와위 상태에서 10분동안 2분 간격으로 측정하였다. 앙와위로 자세를 변경한후 20분동안 5분 간격으로 감각차단과 운동차단의 정도 및 혈압과 심박수를 측정하여 각 환자에서의 최대 감각차단까지 걸린 시간, 최대 감각차단 범위, 충분한 감각차단의 빈도, 전체 감각차단 기간, 완전운동 차단까지 걸린 시간, 불완전 운동차단의 빈도를 측정하였다. 수술후 3일까지 합병증 발생 여부를 관찰하였고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최고 감각차단까지 걸린 시간은 고비중군이 의존부(dependentPart)(20.5 ± 7.23분)과 비의존부(nondependent part)(22.3 ± 5.18분) 모두 등비중군(의존부: 27.5 ± 4.86분, 비의존부: 27.5 ± 4.25분)에 비해 의의있게 빨랐고 최고 감각차단 범위와 감각차단 기간은 양군간 차이가 없었다. 등비중군 환자 중 13명(86.6 %)에서 의존부 하지에서 수술에 적합한 감각차단을 얻을 수 있었고 고비중군 환자는 모두 수술에 적합한 감각차단을 얻을 수 있었다. 완전 운동차단까지 걸린 시간은 환측은 양군에서 차이가 없었으며 반대측 하지는 등비중군(8.2 ± 3.8분)이 고비중군(19.5 ± 8.8분)에 비해 빨랐고 고비중군에서만 의존부에서 2명(13.3 %), 비의존부에서 4명(26.7%)의 환자에서 불완전 운동차단이 발생하였다. 각군에서 마취후 수축기와 확장기 혈압은 마취전에 비해 감소하였으나 시간 경과에 따른 양군간 차이는 없었으며 심박수도 마취후 15분, 20분, 25분,30분 경과시에만 고비중군이 등비중군에 비해 낮았다. 저혈압을 포함한 마취후 합병증은 양군간 차이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0.5 % 등비중 bupivacaine은 0.5 % 고비중 bupivacaine에 비해 노인의 하지 수술을 위한 척추마취시 운동차단이 완전하고 빠르며 수술할 하지를 위로한 측와위 상태에서 척추마취를 시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0.5 % 등비중 bupivacaine 8mg의 용량은 감각차단이 불완전하여 감각차단을 예측하기 어려우므로 하지 수술시 충분한 용량이 아니고 0.5 % bupivacaine 8 mg은 비중에 관계없이 노인 환자에 대한 혈역학적 영향 및 합병증은 차이가 없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i I. 서론 = 1 II. 연구대상 및 방법 = 3 III. 연구결과 = 6 IV. 고찰 = 17 V. 결론 = 23 참고문헌 = 25 영문초록 = 3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8612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노인환자의 하지수술을 위한 척추마취시 0.5%등비중 bupivacaine과 0.5% 고비중 bupivacaine의 효과 비교-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vii, 3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의학과-
dc.date.awarded2000.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