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68 Download: 0

Cone-Beam Volumetric Imaging(CBVI)과 Adjusted 2D Lateral Cephalogram의 계측점 차이에 관한 비교 연구

Title
Cone-Beam Volumetric Imaging(CBVI)과 Adjusted 2D Lateral Cephalogram의 계측점 차이에 관한 비교 연구
Other Titles
Comparison of Landmark Positions between Cone-Beam Volumetric Imaging(CBVI) and Adjusted 2D Lateral Cephalogram
Authors
손수정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임상치의학대학원 임상치의학과임상교정치의학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임상치의학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전윤식
Abstract
Conventional Lateral Cephalogram(Con-Ceph) is widely used for the orthodontic diagnosis but it has inadequacies such as distortion, exaggeration of image and measurement error. New diagnostic tool which has recently received much attention, Cone-Beam Volumetric Imaging(CBVI) is still using existing 2D analysis method instead of 3D.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if 2D analysis method is applicable to analysis of CBVI by comparing measuring points of CBVI with those of Adjusted 2D Lateral Cephalogram(Adj-Ceph) with magnification adjusted to 100% and finding out at which landmarks the difference in position appear. In this study, CBVI data and Adj-Ceph(100% magnification) data from 50 adult patients have been extracted as research objects. For CBVI, we set the landmark N(Nasion) as a datum point(0,0,0) and extracted coordinates on Y axis(horizontal) and Z axis(vertical). The same measurement was implemented for Adj-Ceph, and the gap between the landmarks from CBVI and Adj-Ceph was collected for comparison. Landmarks have been categorized into 4 groups by the position and whether they are bilaterally overlapped. We carried out paired t-test in order to check if there is an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measuring points and compared those from Adj-Ceph and CBVI. On investigation of paired t-test result, significant difference was detected at 11 landmarks including Group B(Sella, Ar, Basion, PNS), Group C(Po, Or, Hinge axis, Go)and Group D(U1RP, U6CP, L6CP) in Y axis while all landmarks in Z axi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p<0.01). As a result of landmark difference analysis, we were able to find a meaningful difference with more than 1mm at 13 landmarks including Group A(Gn, Me), Group B(Sella, Ar, Ba, PNS), Group C(Po, Or, Hinge axis, Go) and Group D(U1RP, U6CP, L6CP) in Y axis. When it comes to Z axis, significant difference over 1mm was detected from every landmark except Sella of Group B. In conclusion, it is considered we need a 3D analysis method or a modified 2D analysis method taking account of significant differences detected from multiple landmarks such as Group A (Gn, Me), Group B(Sella, Ar, Ba, PNS), Group C(Po, Or, Hinge Axis, Go)and Group D(U1RP, U6CP, L6CP)in Y axis and entire landmarks in Z axis when implementing CBVI diagnosis. ;교정 환자의 진단을 위해 측모 두부 방사선 규격사진(Conventional Lateral Cephalogram; 이하 Con-Ceph)이 매우 유용하게 쓰이고 있지만 상의 왜곡과 확대가 되며, 계측 오차가 있다는 한계가 있다. 최근에 CBVI(Cone-Beam Volumetric Imaging)가 정확한 진단을 위해 새롭게 주목을 받고 있지만, 3D 분석법 보다는 기존의 2D 분석법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CBVI와 100%로 확대율을 보정한 조절된 측모 두부 방사선 규격 계측 사진(Adjusted 2D Lateral Cephalogram; 이하Adj-Ceph)의 좌표값을 비교하여 위치의 차이가 있는 계측점들이 무엇인지 확인함으로써 기존의 2D 분석법을 CBVI 분석에 적용할 수 있는지 여부를 알아보기로 하였다. 본 연구는 18세 이상 환자 50명의 CBVI 자료 50개와 동일 환자의 Con-Ceph에서 추출하여 100% 확대율로 보정한 자료(Adj-Ceph) 50개를 대상으로 하였다. CBVI에서는 3차원 영상에서 직접 계측하는 3D 계측법으로 계측점 N(Nasion)을 기준점(0,0,0)으로 놓고 계측점의 X축(정면의 좌우축), Y축(수평축), Z축(수직축)의 좌표값을 추출하였고, Adj-Ceph에서도 N을 기준점(0,0)으로 놓고 Y축(수평축), Z축(수직축) 좌표값을 추출하였다. 추출한 CBVI와 Adj-Ceph의 Y축(수평축), Z축(수직축) 좌표값을 비교하여 그 차이를 분석하였다. 계측점들의 위치와 좌우 중첩 여부에 따라 네 그룹으로 나누어 분석 하였다. 좌표값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기 위하여 paired t-test를 시행하였고, Adj-Ceph과 CBVI의 좌표값의 차이를 구하여 비교했다. paired t-test 결과, Y축에서는 Group B(Sella, Ar, Basion, PNS), Group C(Po, Or, Hinge axis, Go), Group D(U1RP, U6CP, L6CP)등 11개의 계측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Z축에서는 전체 계측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좌표값의 차이 분석 결과 Y축에서는 Group A(Gn, Me), Group B(Sella, Ar, Ba, PNS)와 Group C(Po, Or, Hinge axis, Go), Group D(U1RP, U6CP, L6CP)등 13개의 계측점에서 1mm 이상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Z축에서는 Group B의 Sella를 제외한 전체 계측점에서 1mm 이상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CBVI 분석 시에는 3D 분석법 또는 수정된 2D 분석법(계측점의 좌표값 차이가 1mm 이상이거나 paired t-test 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인 Y축의 Group A(Gn, Me), Group B(Sella, Ar, Ba, PNS), Group C(Po, Or, Hinge Axis, Go), Group D(U1RP, U6CP, L6CP)와 Z축의 전체 계측점의 차이를 고려한 2D분석법)이 사용되어야 한다고 사료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임상치의학대학원 > 임상교정치의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