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23 Download: 0

소화기 내시경실 간호사의 직무, 직무 스트레스와 직무 만족

Title
소화기 내시경실 간호사의 직무, 직무 스트레스와 직무 만족
Other Titles
Jobs, Job associated stress, and satisfaction levels among gastrointestinal endoscopy unit nurses
Authors
손승숙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임상보건과학대학원 임상간호학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과학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양숙자
Abstract
본 연구는 소화기 내시경실 간호사의 직무에 대해 파악하고 직무 스트레스와 직무 만족의 정도를 확인하여 직무 스트레스를 완화하고 직무 만족을 높일 수 있는 중재 방안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서울·경기도 소재 11개 종합병원의 소화기 내시경실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수집 기간은 2012년 2월 28일부터 2012년 3월 5일까지였으며 구조화된 설문지를 대상자가 직접 기록하게 하였다. 설문지는 총 154부를 배포하여 모두 회수하였으나 부적절한 응답 1부를 제외한 153부(99%)가 자료로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8.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으로 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내시경과 관련된 간호 업무를 접수·상담·전처치·회복 간호의 시술 전후 간호 업무와 위·대장 내시경 진단 및 시술 관련 간호 업무, 췌담도 내시경 진단 및 시술 관련 간호 업무라는 3가지 영역의 업무로 구분하였을 때 2가지 이상의 간호 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대상자가 80.4%였으며 가장 많은 수행 빈도를 가진 간호 업무는 위·대장 내시경 진단 및 시술 관련 간호 업무(62.7%)였다. 이 중 췌담도 내시경 진단 및 시술 관련 간호 업무는 대상자의 56.6%에서 스트레스가 가장 높다고 느끼는 간호 업무였으며 다수(85.4%)에서 전문 교육이 필요한 업무라고 응답하였다. 대상자 직무 스트레스의 평균 점수는 5점 만점에 3.67이었으며 임금(p=.018), 고용 형태(p=.003), 내시경실 근무 경력(p=.010), 주관적 작업 강도(p<.001), 부서 이동 희망 여부(p=.014)에 따라 직무 스트레스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대상자의 직무 만족 평균 점수는 5점 만점에 2.90이었으며 주관적 건강 상태(p=.004), 고용 형태(p=.019), 주관적 작업 강도(p<.001), 주관적 적성(p=.001), 내시경실에서 담당하는 간호 업무의 수(p=.006), 췌담도 내시경 진단 및 시술 관련 간호 업무(p=.034)에 따라 직무 만족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대상자의 직무 스트레스와 직무 만족은 음의 상관관계(r=-.275, p<.01)를 나타냈다.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소화기 내시경실 간호사의 직무는 3가지 분야의 간호 업무로 구분할 수 있었다. 또한 경력이 높고 임금이 많은 간호사가 직무 스트레스가 높게 나타났으므로 업무의 명확한 정의와 기준을 제시하여 적절한 대우와 보상 체계를 통해 스트레스를 감소시킬 필요가 있으며 각 분야의 간호 업무에 대한 작업 강도와 간호사들의 적성을 고려한 업무 배치를 하여 직무 만족을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The purpose of this descriptive survey was to identify the job of gastrointestinal endoscopy unit nurses and to understand their job-associated stress and satisfaction levels, thereby presenting preliminary data for plans to alleviate such stress and improve satisfaction levels. The study participants were selected from nurses working in gastrointestinal endoscopy units at eleven general hospitals in Seoul and Gyeonggi-do, with structured questionnaires issued to them for response. One hundred and fifty four questionnaires were issued and retrieve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Win 18.0 to calculate t-test,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The survey results were as follows: The most frequent nursing task was assisting with gastrointestinal endoscopic diagnosis and procedures (62.7%). Fifty six point six percent of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 most stressful nursing job was assisting in pancreas and biliary tract endoscopic diagnosis and procedures, and 85.4% of respondents answered that specialized training is necessary for assisting with pancreas and biliary tract endoscopic diagnosis and procedures. The average job-associated stress value was 3.67 points out of 5, and the average job-associated satisfaction value was 2.90 points out of 5.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gree of job-associated stress according to: pay grade (p=.018), endoscopy unit experience (p=.010), whether or not the respondent plans to change their position (p=.014), subjective work intensity (p<.001), and employment type (p=.003).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gree of job-associated satisfaction according to subjective health status (p=.004), subjective work intensity (p<.001), subjective aptitude (p=.001), number of nursing jobs in charge (p=.006), assisting with pancreas biliary tract endoscopic diagnosis and procedures (p=.034). Job-associated stress and satisfaction level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r=-.275, p<.01) We could classify jobs of gastrointestinal endoscopy unit nurses into 3 parts, and we could find out that the more payed and experienced, the more stressed they are. Hence it is necessary to alleviate such stress with proper treatment and payment system by presenting clear definition and standard of the jobs. And to improve satisfaction level of the nurses, it is necessary to assign proper jobs to them considering work intensity of each job and aptitude of the nurs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임상보건융합대학원 > 임상간호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