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8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임동선-
dc.contributor.author현승희-
dc.creator현승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28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28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7623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489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6236-
dc.description.abstract고심도 청각장애 아동은 인공와우이식 수술의 발전과 청각 및 언어 재활로 말·언어 발달이 정상 수준까지 다다르게 되었다. 그러나 인공와우이식 수술 후 말·언어 능력의 개인차가 크며, 이러한 결과는 임상과 연구 현장에서 중요한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언어 능력의 큰 개인차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지금까지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말·언어 능력을 예측해주는 변인으로 인공와우이식을 한 연령, 인공와우 사용기간, 의사소통 유형, 부모의 경제력과 교육력 등이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변인들로는 인공와우이식 아동 집단에 나타나는 큰 개인차의 일부분만을 예측할 뿐이다. 최근에 부각되는 언어 능력의 예측요인으로 신경인지적인 요인으로 암묵적 학습 능력이 있다. 암묵적 학습 능력은 사전에 명시적 지식을 먼저 습득하지 않아도 절차적 기억을 통해 학습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이러한 암묵적 학습 능력이 언어 능력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다수의 연구들이 있다. 영유아에게서 암묵적 학습 능력이 발견된다는 연구는 다수가 보고되고 있으며, 영유아에게서 뿐만 아니라 학령기 아동과 성인에게서도 암묵적 학습 능력이 발견된다는 연구도 보고되고 있다. 암묵적 학습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다양한 감각 양식을 사용할 수 있다. 시각자극을 사용한 암묵적 학습을 살펴본 연구와 청각 자극을 사용한 암묵적 학습을 살펴본 연구가 많은데, 이러한 연구들을 종합해보면, 어떠한 감각 영역에서도 암묵적 학습 능력이 나타난 것으로 보고되었다. 그러므로 암묵적 학습 능력은 연령대와 감각 영역에 상관없이 나타나는 근본적인 학습 기제라고 할 수 있다. 암묵적 학습 능력이 언어의 다양한 언어 능력과 관련이 있다는 연구가 많은데, 암묵적 학습 능력과 관련이 있다고 밝혀진 것은 단어 분절, 단어 학습, 음소배열학습, 구문 학습 등이 있다. 지금까지 인공와우이식 아동에 대상으로 암묵적 학습 능력을 살펴본 연구는 거의 없지만, 의사소통 장애를 가진 아동(단순언어장애, 읽기 장애)이 보여주는 암묵적 학습 능력의 결함은 그들이 보이는 낮은 언어 수행력의 기저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주장이 있다.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있지 않지만, 인공와우이식 아동은 암묵적 학습 능력에 결함을 나타내며,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암묵적 학습 능력은 CELF-Ⅲ(Clinical Evaluation of Language Fundamentals-Third Edition)의 하위검사인 문장 만들기, 문장 따라말하기, 개념과 지시따르기와 관련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또한 최근에는 언어처리능력에까지 관련이 있다는 주장이 있다. 이러한 결과는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청각 박탈 기간이 청각뿐만 아니라, 그들의 근본적인 학습 체계에도 영향을 미치고, 결국에는 말·언어 발달에 부차적인 문제를 가져온다는 점을 시사한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주장하고 있는 암묵적 학습 능력이 인공와우이식 아동에게 결함이 나타나는지 알아보고, 암묵적 학습 능력이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언어 능력, 즉 수용어휘력과 소음상황듣기 과제와 어떤 관계가 있는지 살펴보고, 언어 능력을 예측해줄 수 있는 변인은 어떠한 변인인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아동은 비언어성 지능이 정상이고,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만 4-10세의 인공와우이식 아동과 건청 아동 각 15명씩, 총 30명이었다. 모든 아동은 감각 제시 양식(청각과 시각)에 따른 암묵적 학습 능력 과제를 수행하였고, 언어과제로는 수용어휘력 검사와 일상생활의 언어처리능력을 측정하는 과제로 소음상황듣기 검사를 수행하였다. 두 집단의 청각·시각 암묵적 학습 능력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지 알아보기 위해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두 집단에 따른 암묵적 학습 능력과 언어 능력간의 상관관계를 보기 위해 Pearson의 단순적률상관계수(Pearson's simple correlation)을 측정하였으며, 인공와우이식 연령과 인공와우 사용기간을 통제하여도 두 변인 간에 상관이 나타나는지 알아보기 위해 편상관관계 분석(partial correlation)을 실시하였다. 두 집단에 따라 언어능력을 예측해줄 수 있는 변인을 알아보기 위해, 단계적 중다회귀분석(stepwis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각 및 시각 암묵적 학습 능력은 인공와우이식 아동이 건청 아동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낮은 수행력을 나타냈다. 둘째, 건청 아동의 암묵적 학습 능력과 언어 능력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암묵적 학습 능력과 언어 능력간의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생활 연령과 소음상황듣기 중에 높은 예측성 문장과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암묵적 학습 능력과 언어 능력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시각 암묵적 학습 능력과 소음상황듣기 중에 낮은 예측성 문장과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이 두 변수간의 상관은 인공와우이식 연령과 인공와우 사용기간을 통제하고도 여전히 강한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그러나 시각 암묵적 학습 능력과 수용 어휘력 및 소음상황듣기 중에 높은 예측성 문장과는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청각 암묵적 학습 능력과 수용 어휘력 및 두 유형의 소음상황듣기(높은 예측성, 낮은 예측성 문장)간에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다. 인공와우 관련 변인인 인공와우이식 연령과 시각 암묵적 학습 능력간의 정적 상관이 나타났으며, 인공와우이식 연령과 소음상황듣기 중에 높은 예측성 문장 간의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셋째, 언어 능력을 예측해줄 수 있는 변인을 살펴보았다. 건청 아동의 경우, 생활연령이 수용 어휘력과 소음상황듣기 중에 높은 예측성 문장 점수를 유의하게 예측해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경우, 인공와우 사용기간이 수용 어휘력을 유의하게 예측해주고, 인공와우이식 연령이 소음상황듣기 중에 높은 예측성 문장 점수를 유의하게 예측해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시각 암묵적 학습 능력과 인공와우이식 연령이 소음상황듣기 중에 낮은 예측성 문장 점수를 유의하게 예측해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청각 및 시각 암묵적 학습 능력의 결함을 발견했다.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암묵적 학습 능력의 결함은 결정적 시기에 경험했던 청각 박탈 기간에 의해 영향을 받았을 수 있다는 추측을 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선행연구에서 암묵적 학습 능력의 일반 영역론을 뒷받침한다. 시각 암묵적 학습 능력은 낮은 예측성 문장을 예측할 수 있었지만, 청각 암묵적 학습 능력은 어떠한 언어과제와도 관련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다른 언어장애군의 결과와 다르며, 인공와우이식 아동은 제시 양식(modality)에 따라 제한을 받는다는 점을 추측할 수 있다. 또한 그 외 변인 중 인공와우이식 연령이 언어처리능력을 예측해줄 수 있었다. 즉,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언어처리능력 가운데 하향적 지식을 활용하는 능력(높은 예측성 문장)과 음향-음소 정보를 활용하는 능력(낮은 예측성 문장)은 좀 더 이른 연령에 소리에 노출되는 것이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언어처리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또한 인공와우 사용기간은 수용 어휘력에 주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도 밝혀졌다. 그러므로 본 연구 결과는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언어처리능력에 시각 암묵적 학습이 주요한 역할을 하며,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언어처리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인공와우이식 시기를 좀 더 어린 연령으로 앞당기는 것이 좋으며, '결정적 시기'를 놓치지 않고 구어에 빨리 노출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시사한다.;The purposes of the curr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of auditory and visual implicit learning and language performance(receptive vocabulary and degraded listening task) in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s. Specific aims of the study were (1) to investigate auditory and visual implicit learning performance of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s(CIs) compared to children with normal hearing(NH), (2)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implicit learning and language performance(receptive vocabulary and degraded listening task) in the two groups, and (3) to explore whether implicit learning performance significantly predict language performance in the two groups. Fifteen children with normal hearing and fifteen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two groups, showing that the NH children had higher performance than the CI children in both of implicit learning tasks, (2) In the NH children, there were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implicit learning and language performance, but chronological age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high predictability sentence scores of degraded listening task. In the CI children, there was positive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visual implicit learning performance and low predictability sentence scores of degraded listening task. However, auditory implicit learning performance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none of the language performances. Furthermore, the age of implantation was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visual implicit learning performance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high predictability sentence scores of degraded listening task, (3) In the NH children, the receptive vocabulary score and high predictability score were significantly explained by chronological age. In the CI children, the receptive vocabulary score was significantly predicted by duration of implant use, the high predictability score was significantly predicted by age of implantation and the low predictability score was significantly predicted by age of implantation and visual implicit learning ability. These findings suggested that the deficits of implicit learning performance regardless of auditory and visual modalities could be affected by the period of auditory deprivation in the CI children. Also sensory modality constraints could affect implicit learning performance in the CI children unlike the other communication disorders groups. Furthermore the CI children who were exposed to the sounds earlier had a better language processing skills that is associated with the ability of using top-down knowledge and the ability of using acoustic-phonetic knowledge. Therefore, the results from the current study suggested that implicit learning performance could be a fundamental learning mechanism that may influence language processing skills in the CI childre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5 C. 용어정의 6 Ⅱ. 이론적 배경 8 A.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언어 능력 8 B.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언어 능력의 예측인자 10 C. 건청 아동의 암묵적 학습 능력과 언어 능력 14 D. 의사소통장애 아동의 암묵적 학습 능력과 언어 능력 19 E.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암묵적 학습 능력과 언어 능력 20 Ⅲ. 연구 방법 25 A. 연구 대상 25 B. 실험 과제 28 C. 연구 절차 37 D. 자료 분석 39 E. 청각 및 시각 암묵적 학습 능력의 역균형화 39 F. 자료의 통계적 처리 41 G. 신뢰도 41 Ⅳ. 연구 결과 42 A. 집단 간 언어능력(수용 어휘력, 소음상황듣기)의 차이 42 B. 집단 간 청각 및 시각 암묵적 학습 능력의 차이 46 C. 집단에 따른 암묵적 학습 능력과 언어 능력의 상관관계 49 D. 각 집단의 언어 능력을 예측해줄 수 있는 변인 54 Ⅴ. 결론 및 논의 56 A. 집단 간 암묵적 학습 능력과 언어 능력의 차이 58 B. 집단에 따른 언어 능력을 예측해줄 수 있는 변인 61 C.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69 참고문헌 71 부록 81 Abstract 8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6801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000-
dc.title인공와우이식 아동의 청각 및 시각 암묵적 학습 능력과 언어 능력의 관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Relationship of Auditory and Visual Implicit Learning and Language Performance in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s-
dc.creator.othernameHyun, Seung Hee-
dc.format.pagexii, 8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언어병리학과-
dc.date.awarded201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