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7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정우-
dc.contributor.author정수민-
dc.creator정수민-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28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28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7743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489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7430-
dc.description.abstractAs modern societies applaud for the educational value of reflective self,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reate educational contents involving contemporary Korean poetry and to encourage reflective self by helping students recognize their own selves through poetry. This reflective self is aroused by students’ macroscopic and microscopic views in life created from studying contemporary poetry written after 1990. While this research continues to highlight the importance of reflective self as in other studies about Korean literature, it also proposes a new instructional method that supports the current educational trend of promoting an activ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and the world around them. The research emphasizes that individuals who are capable of being the subjects of reflective self are not only influenced by their environments but also the ones who are in control of those environments. First, this research evaluates philosophical, psychological, and sociological studies to grasp the concept of reflective self and its importance. In this research, the term ‘reflective self’ is redefined as the postmodern influence of media and capitalism play significant roles in building a concrete foundation for a successful intrapersonal relationship. Reflective self in late modern society is critically examining the world that is colonized under the influence of capitalism and acknowledging each individual’s idiosyncratic, therefore irreplaceable character by paying attention to the details of one’s daily routines, which were prone to be neglected in behalf of one’s adaptation to the automated world. It is crucial to understand that reflective self is vital for an independent and autonomous life; as the dominance principle in capitalism is profoundly affecting the mental states of the members of the postmodern society, being able to self-reflect is essential in order to have a full control in life. For this reason, young adults who struggle with their self-identities will particularly benefit from this introspective educational approach involving poetry. In order to specify the proposed poetry lesson plan that promotes reflective self, the method is broken down into three steps. First is acquiring a 3rd person point of view to be aware of the colonization of one’s daily activities; by distancing oneself from one’s own life with the 3rd person point of view, one can critically analyze the embedded system of colonization under capitalism. Second is unfamiliarizing one’s sense created by habitual behaviors; changing daily patterns can awaken one’s conscience established by individual habits. Third is promoting essence in life through reflective self. The narrator of a poem internalizes an event in order to find a meaning in life; this is the original characteristic of poetry and an epitome of reflective self. Next, by analyzing Korean poetry written after 1990, the process of reflective self is promoted. First, by visualizing capitalism and pronouncing the power of media, the system of colonization in daily life is criticized. Secondly, the inactiveness of the lifestyle of the members in the postmodern society is depicted to alert the weakness of one’s sense based on the society’s automated system. Thirdly, the authenticity of oneself is captured through the examination of the nature in the foreground in order to illustrate one’s purpose in life. Lastly, it is concluded that reflective self can be promoted by teaching poetry as students can acquire macroscopic and microscopic views in life through this particular educational approach. Experiences that help detect lyrical moments in life aid students realize that creating and accommodating poetry in life is a process that leads to reflective self, and this attitude forms educational criticism in which students discover a purpose in life. This study on lyricism based on a macroscopic view fosters education that supports the creation of various poems and the learning environments that accommodate the variety of poetry. Under this type of instruction, students are taught that they should identify themselves as the co-creators of the poems, along with the poets, and that the students as well contribute to the meanings behind each lines of the poem. Such educational guidance with poetry leading to reflective self provides an opportunity to recognize one’s authenticity in life.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is that the concept of introspection, introduced in the previous studies, is broadened to consider not only the individual self-examination but als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lf and the world. The proposed poetry education in this research can help young adults of the postmodern society find meaning in life. As a result, these youngsters finally acknowledge the irreplaceable value of their own lives. ;이 연구는 후기 현대 사회에서 성찰적 자아의 교육적 중요성을 인식하는 가운데 학습자가 일상에 대해 미시적・거시적 관점을 가짐으로써 자신의 생애 고유성을 인식하고 성찰적 자아를 형성하도록 하는 시 교육 내용을 마련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성찰적 자아의 시적 사고를 유형화하고, 1990년대 이후의 시들을 통해 성찰적 자아의 시적 사고를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이 연구는 문학교육에서 성찰적 사고의 필요성과 성찰의 구조 및 작용과 관련하여 기존의 연구 성과를 이어가되, 후기 현대라는 시대적 맥락을 반영하여 학습자가 세계와 적극적으로 관계를 맺도록 하는 현대시 교육의 방향을 설정하였다. 성찰적 자아로 명명되는 주체는 세계의 영향을 받으며, 동시에 세계를 변화시킬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먼저, 철학・심리학・사회학의 연구를 검토하여 성찰적 자아의 개념과 중요성을 도출하였다. 성찰적 자아는 주체의 시선이 분리되고, 자연적 자아에 대한 인식론적 포괄과 존재론적 초월이라는 조건을 바탕으로 세계와 상호작용을 통해 형성되는 역동적인 존재이다. 여기에 자본의 논리 및 매체의 영향으로 인해 개인의 일상이 재단되는 후기 현대라는 맥락을 고려하여 성찰적 자아의 개념을 재정의하였다. 후기 현대의 성찰적 자아란 자본에 의해 식민화된 세계를 비판적으로 바라보고, 자동화되어 의식하지 못한 일상을 주목함으로써, 대체할 수 없는 가치를 지닌 자신의 고유한 생애를 인식하고 발전시켜 나가는 자기 형성적 주체이다. 성찰적 자아는 자본주의의 지배 원리가 개인의 삶과 내면까지 파고드는 시대에 살고 있는 현대인들에게, 이들이 주체적인 삶을 영위하기 위해 형성되어야 하는 자아상이라는 점에서 중요성을 지닌다. 특히 불안정한 자아 형성의 과정을 겪고 있는 청소년들이 시를 통해 자기 삶의 가치를 인식하고 발전시켜 나가게 한다는 점을 성찰적 자아 형성을 위한 시 교육이 지니는 의의로 보았다. 시 교육의 구체적인 내용을 마련하기 위해 성찰적 자아의 시적 사고를 세 가지로 유형화하였다. 첫째, 거리두기를 통해 생활세계의 식민화를 인식하는 것이다. 생활세계의 식민화는 생활세계가 화폐와 권력을 매개로 하는 체계의 논리에 침식되어 물화되는 현상이다. 이러한 현상에 대하여 거리를 두고 바라봄으로써 이를 비판적으로 인식한다. 둘째, 낯설게 하기를 통해 습관화된 의식을 각성하는 것이다. 습관화된 의식은 일정한 행위의 반복과 지속으로 유지되는 일상에 의해 형성된다. 습관적인 사유 방식에 변형을 가하여 낯설게 함으로써 자동화된 의식을 각성할 수 있다. 셋째, 내면화를 통해 삶의 지향을 설정하는 것이다. 시적 화자가 외부의 사건을 내면화하여 자기 삶의 지향을 설정하는 것은 시의 본래적인 속성이자, 성찰적 사고의 중요한 유형이다. 다음으로 1990년대 이후의 시를 분석함으로써 성찰적 자아의 시적 사고의 유형을 구체화하였다. 첫째, 자본주의의 상업성을 가시화하고, 대중매체의 장악력을 폭로함으로써 일상을 식민화하는 원리를 비판하는 것이다. 둘째, 현대인의 타성적인 일상을 묘사하고, 견고한 일상의 질서에서 균열을 인식함으로써 일상의 자동화된 의식을 각성하는 것이다. 셋째, 삶의 진정성이 담긴 일상을 포착하고, 자연의 전경화를 통해 생애를 통찰함으로써 삶의 지향을 설정하는 것이다. 끝으로, 성찰적 자아를 형성하기 위한 시 교육의 내용은 학습자가 시를 통해 일상에 대한 미시적 탐구와 거시적 조망을 함으로써 자신의 생애 고유성을 인식하도록 하는 것이다. ‘생활의 체험에서 서정의 순간 발견’은 학습자가 시의 생산 및 수용 활동이 일상에 대한 성찰의 과정임을 인식하고, 생활 속에서 인간과 삶의 본질을 발견하는 감식안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다. ‘거시적 조망을 기반으로 한 서정성 탐구’는 학습자가 시의 생산 및 수용 활동을 시대정신의 실천으로 인식하고, 시인과 같이 시적 의미의 공동 생산자로서의 주체성을 가져야 함을 교육하는 것이다. 그리고 학습자가 대체할 수 없는 가치를 지닌 자신의 생애 고유성을 인식하고 가꾸어 가도록 생애교육으로서의 시 교육을 마련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기존 현대시 교육에서 개인적 차원으로 다루어진 ‘성찰’의 개념을 타자와 세계를 아우르는 ‘성찰적 자아’ 개념으로 확장시켰다는 점이다. 그리고 후기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 청소년들이 자신의 삶이 지니는 고유한 가치를 찾을 수 있도록 하는 현대시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연구 목적 1 B. 선행 연구 검토 4 C. 연구 대상 및 방법 8 II. 성찰적 자아 형성을 위한 시 교육의 이론적 전제 13 A. 성찰적 자아의 개념 및 중요성 14 1. 자아와 성찰 및 성찰적 자아의 개념 14 2. 후기 현대의 일상을 탐구하는 성찰적 자아의 중요성 18 3. 성찰적 자아 형성의 시 교육적 의의 22 B. 성찰적 자아의 시적 사고 유형화 27 1. 거리두기를 통한 생활세계의 식민화 인식 29 2. 낯설게 하기를 통한 습관화된 의식의 각성 30 3. 내면화를 통한 삶의 지향 설정 32 III. 후기 현대 성찰적 자아의 시적 사고 구체화 34 A. 일상의 식민화 원리 비판 35 1. 자본주의의 상업성 가시화 35 2. 대중매체의 장악력 폭로 39 B. 일상의 자동화된 의식 각성 42 1. 현대인의 타성적 일상 묘사 43 2. 일상적 질서의 균열 인식 48 C. 일상의 응시를 통한 삶의 지향 설정 50 1. 삶의 진정성이 담긴 일상 포착 50 2. 자연의 전경화를 통한 생애 통찰 52 IV. 성찰적 자아 형성을 위한 시 교육의 내용 55 A. 생활의 체험에서 서정의 순간 발견 56 1. 일상에 대한 성찰로서의 시 활동 인식 56 2. 인간과 삶의 본질을 발견하는 감식안 형성 58 B. 거시적 조망을 기반으로 한 서정성 탐구 61 1. 시대정신 실천으로서의 시 활동 인식 61 2. 시적 의미의 공동 생산자로서의 주체성 획득 63 C. 생애교육으로서의 시 교육: 생애 고유성 인식 64 V. 결론 69 참고문헌 71 Abstract 7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4274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400-
dc.title성찰적 자아 형성을 위한 현대시 교육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Formation of Reflective Self in Poetry Education-
dc.creator.othernameJeong, Su Min-
dc.format.pagevii, 7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어교육학과-
dc.date.awarded201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