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고광석-
dc.contributor.author최정현-
dc.creator최정현-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27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27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7654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488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6547-
dc.description.abstractIn this study, we have performed surveys over the understanding of nutritional education, knowledge of nutrition-related facts, degree to which they put such knowledge to practice (fulfillment), and meal consumptions frequency so that we could accurately assess the effectiveness of dietary treatment method after nutritional education depending on the obesity level of type-2 diabetes patients. As a result, we note the following: 1. In regards to the influence on nutritional education depending on the level of obesity, for level of understanding of nutritional education, all groups responded that they gained an above-average level of understanding. While the “normal” group had a higher level of understanding compared to the “overweight” and “obese” groups,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meaningful. As for the level of knowledge perception after the education, the obese and the overweight groups had higher average levels of knowledge on dietary treatment method compared to the normal group. As for the level of putting the knowledge into practice (fulfillment), the obese group had the lowest average score, but the correlation was not statistically meaningful. For meals consumption frequency, the consumption frequency of all food group items displayed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based on both one-day and one-week intervals, with more than 50% of those in the obese group consuming less amount in a single meal compared to the normal and the overweight groups. 2. In regards to the results of influence after education depending on gender, for the level of knowledge after nutritional education, the male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er average score in the allowed food and restricted food categories. As for the degree of putting knowledge into practice (fulfillment), the males had a higher average score compared to the females, but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meaningful. As for meals consumption frequency, there was a meaningful correlation in the sugar group for one-day and one-week intervals, with both males and females consuming 3 times a day, more than 4-6 times a week having the highest frequency. 3. As for the level of understanding depending on age, all age groups responded that they gained above-average level of understanding for the education. The biggest changes were shown in decreasing the overall consumption amount and reducing the amount of snacks. As for the level of knowledge perception and degree of putting knowledge into practice (fulfillment) after the education depending on age, higher age had negative correlation with average scores after education. As for the meals consumption frequency, there have been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in all food groups with the sugar group having the difference for one-day interval and the vegetable group having the difference for one-week interval. For those over 60, the amount of food consumed at each meal was smaller in a statistically meaningful manner. Therefore, for effective diabetes education, the educations that take into consideration the level of obesity, age, and gender of those who receive the education will need to be selected. Additionally, continued and diverse education system that is focused on the patients to provide active desire to fulfill the education and motivation will need to be developed. Further, as shown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 order to bring about the effective outcome of “changes in practices,” nutritional education depending on individual level of obesity will need to be implemented to lead to appropriate level of understanding after the education, meals consumptions, knowledge level, and degree of putting the knowledge into practice (fulfillment). We believe that this will be effective in consistently assisting self-management.;본 연구는 제 2형 당뇨병 환자의 비만도에 따른 영양교육 후 식사요법에 대한 정확한 평가를 위한 영양교육에 대한 이해도, 영양지식 인지도, 실천도, 식사섭취빈도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1. 비만도에 따른 영양교육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교육 후 영양교육의 이해도는 모든 그룹에서 보통 이상으로 이해하였다고 응답하였으며 정상군이 과체중군, 비만군에 비하여 이해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교육 후 지식정도의 인지도는 비만군과 과체중군이 정상군보다 식사요법에 대한 평균지식점수가 높았고 실천도에 대해서는 비만군이 가장 평균점수가 낮게 나타났으나 유의적인 상관관계는 보이지 않았다. 식사섭취빈도에서는 하루, 일주일 기준으로 모든 식품군의 항목에서 섭취빈도가 유의적으로 차이를 보였으며 비만군 50% 이상이 1회 섭취량을 정상군, 과체중군에 비하여 적게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성별에 따른 교육 후 미치는 영향에 따른 결과를 살펴보면 영양교육 후 지식정도의 인지도는 허용식품과 제한식품의 항목에서 남자의 평균점수가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실천도의 평균점수는 남자가 여자보다 높았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식사섭취빈도는 하루, 일주일을 주기로 당류군의 식품항목에서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남,녀 모두 하루 3회 섭취, 주 4-6회 이상의 섭취빈도가 가장 많았다. 3. 연령에 따른 영양교육의 이해도는 모든 그룹에서 보통이상으로 교육을 이해하고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식사의 가장 큰 변화를 보인 것은 전반적인 섭취량을 줄이는 것과 간식섭취를 줄이는 항목이었다. 연령에 따른 교육 후 영양지식인지도와 실천도는 연령이 높을수록 교육 후 평균점수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식사섭취빈도에서는 하루를 기준으로 당류군, 채소류군에서 일주일을 기준으로 모든 식품군에서 유의적으로 섭취빈도에 차이를 보였고 60대 이상의 그룹은 섭취빈도에 있어 1회 섭취량이 유의적으로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효과적인 당뇨 교육을 위해서는 비만도를 비롯하여 연령, 성별 대상자의 수준을 고려한 당뇨 교육이 선정되어야 할 것이며 대상자에게 적극적인 실천 의욕과 동기부여를 만들어 줄 수 있는 환자 중심의 지속적이고 다양한 교육 시스템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에서도 알 수 있듯이 ‘실천변화’라는 효과적인 영양교육의 결과를 위해서는 개개인의 비만도에 따른 영양교육이 이루어져야 교육 후 올바른 영양교육의 이해도와 더불어 식사섭취상태, 지식정도, 실천도를 가지고 올 수 있으며 이것은 계속적으로 자기관리를 도울 수 있는데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1. 서론 1 1.1. 연구의 배경 1 1.1.1. 당뇨병의 유병율 1 1.1.2. 당뇨병의 병리적 특성 2 1.1.3. 당뇨병의 치료방법 5 1.1.4. 당뇨병과 비만 6 1.2.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9 1.2.1. 당뇨병의 교육의 현황 9 1.2.2. 연구의 필요성 9 1.2.3. 연구의 목적 10 2. 연구방법 및 내용 11 2.1. 연구 기간 및 대상 11 2.2. 조사 내용 및 방법 11 2.2.1. 일반 사항 조사 12 2.2.2. 신체계측 조사 12 2.2.3. 설문조사 12 2.2.4. 영양교육 및 상담 16 2.3. 자료 처리 및 통계분석 18 3. 연구 결과 19 3.1. 연구 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 및 신체계측 19 3.1.1. 연구대상자들의 일반적인 특성 19 3.1.2. 연구대상자들의 신체 계측치 21 3.2. 비만도에 따른 영양교육 후 효과 23 3.2.1. 비만도에 따른 영양교육의 이해도 23 3.2.2. 비만도에 따른 영양지식 인지도 26 3.2.3. 비만도에 따른 식사실천도 28 3.2.4. 비만도에 따른 식사섭취빈도 30 3.3. 성별에 따른 영양교육 후 효과 35 3.3.1. 성별에 따른 영양교육의 이해도 35 3.3.2. 성별에 따른 영양지식인지도 38 3.3.3. 성별에 따른 식사실천도 40 3.3.4. 성별에 따른 식사섭취빈도 42 3.4. 연령에 따른 영양교육 후 효과 47 3.4.1. 연령에 따른 영양교육의 이해도 47 3.4.2. 연령에 따른 영양지식인지도 50 3.4.3. 연령에 따른 식사실천도 52 3.4.4. 연령에 따른 식사섭취빈도 54 4. 결론 및 고찰 59 5. 요약 67 참고문헌 69 ABSTRACT 9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6653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과학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제 2형 당뇨병 환자의 비만도에 따른 영양교육의 이해도, 지식정도, 실천도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Influence of Type-2 Diabetes Patients’ Obesity Levels on Their Level of Understanding, Knowledge, and Fulfillment of Nutritional Education-
dc.creator.othernameChoi, Jung Hyun-
dc.format.pagexi, 9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임상보건과학대학원 임상영양학전공-
dc.date.awarded2013. 2-
Appears in Collections:
임상보건융합대학원 > 임상영양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