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1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소희-
dc.contributor.author김다솜-
dc.creator김다솜-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26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26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7630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487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6304-
dc.description.abstract현시대는 창조 산업의 시대로, 저작권을 필두로 창작의 영역에 대한 가치가 증가하고 있다. 이로 인해 정부와 민간의 공연예술 창작 지원 프로그램은 그 규모와 종류가 날로 다양해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공연예술 창작에 대한 지원의 배경과 그 필요성을 바탕으로, 다양하게 실현되고 있는 창작에 대한 지원을 유형화하여 효율적인 지원방향을 제시하기 위함이다. 창조산업 시대에 공연예술은 고부가 가치의 영역으로, 산업 수단으로서 가치를 가지며 사회의 다양한 갈등을 완화하고 청소년들의 인성함양에 기여하는 교육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예술의 본질적인 심미적 가치를 통해 국민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한다. 따라서 예술은 시장실패의 특성이 있지만, 다양한 외부편익을 창출하며 사회에 기여하는 바가 크기 때문에 사회적 합의에 따른 지원의 영역이 활성화되어있다. 연구자는 공연예술 창작에 대한 공공지원의 현황을 살펴보기 위하여 공공지원의 주체를 문화체육관광부,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서울문화재단으로 한정하였다.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시행하는 지원에는 크게 창작팩토리 사업과 국립예술단체의 운영이 있다. 창작팩토리 사업은 기존의 정부 지원 방식이었던 일시적인 제작비 지원 형식에서 탈피한 새로운 전략적 지원사업이다. 국립예술단체는 문화체육관광부의 지원으로 운영되며 해당 예술 장르의 발전과 보급을 위한 창작품 발표 및 예술가 양성을 돕고 있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이외에도 법률제정을 통해 예술가들의 권리보호와 복지문제의 해결에 힘쓰고 있다. 한국문화예술위원회는 문예진흥기금을 통한 문예진흥기금공모사업 중 창작에 대한 직접적이고 간접적인 여러 지원사업과 온라인을 통한 소액기부를 유도하는 크라우드 펀딩, 지원정보제공 및 창작공간을 지원하는 예술가의 집, 신진예술가를 육성하는 아르코공연예술인큐베이션 운영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공연예술 창작 진흥에 힘쓰고 있다. 서울문화재단은 지역문화재단을 대표하는 의미로 공공지원의 현황을 살피기 위한 주체로 분류하였는데, 정기공모 사업과 유망예술육성지원사업(NArT)으로 우수 작품을 발굴하고 예술가의 육성을 지원한다. 또한 창작공간 및 공연장 상주예술단체 육성지원사업을 운영하며 한국문화예술위원회에 버금가는 공연예술 창작의 활성화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연구자는 이와 같은 공연예술 창작에 대한 공공지원을 직접지원과 간접지원으로 구분하여 지원목적을 기준으로 유형화를 시도하였다. 공연예술 창작을 위한 공공지원 사업 중 직접적인 방식에 의해 지원되는 유형으로는 우수작품 발굴을 목적으로 하는 ‘작품발굴형’이 있다. 또한 직접적이고 간접적인 지원이 융합된 유형으로는 예술가들의 창작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역량강화형’이 있다. 간접적인 지원으로는 창작자의 권리를 보호하여 올바른 예술생태계를 조성하고 창작 활성화를 유도하는 ‘창작자보호형’, 공간지원 및 예술가 국외파견을 통해 창작환경을 조성하는 ‘환경지원형’이 있다. 마지막으로 기부활동을 유도하고 예술가에게 지원정보를 제공하며 예술지원에 대한 원조와 수혜의 측면 모두를 유도하는 ‘지원유도형’이 있다. 이러한 유형 정리를 통해 오늘날 공연예술 창작에 대한 공공지원의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공지원으로만 실현이 가능한 지원유형이 존재한다. 이것은 ‘창작자보호형’같이 제도적인 장치에 기반을 두어 시행될 수 있는 유형에 해당하는 것이다. 또한 ‘지원유도형’은 비영리적인 성격의 공공지원으로 실현될 때, 예술가들에게 창작 방향의 자주성을 보장하고 기부자들의 신뢰를 얻을 수 있다. 둘째, ‘작품발굴형’은 민간지원에서도 활발히 행해지고 있는 지원유형으로, 민간지원과 비교하였을 때 차별성이 부족하다. 불필요한 행정절차를 요구하는 공공지원은 그 위상이 떨어질 위험이 있기 때문에 공공지원만의 이점을 강화해야 할 필요가 있다. 셋째, 지원 주체별 정체성이 부족한 방대한 공공지원은 정보력이 매우 취약한 예술가들에게 그 실효성이 떨어진다. 뚜렷한 정체성을 확보하였을 때보다 효율적으로 예술가들에게 영향력을 발휘할 것이다. 공공지원은 모범적인 사례를 제시하며 문화예술의 위상을 높이고 발전에 기여할 책임이 있다. 공공지원은 민간지원과 비교하여 차별적이고 정체성이 확실해야 하며, 민간지원이 한계를 갖는 유형을 강화함으로써 예술가들의 창작 활동을 개선하고 활성화해야 한다. 위와 같이 효율적인 공공지원을 통해 국내의 공연예술시장이 풍부한 콘텐츠를 확보하면 국민의 예술 향유 기회가 상승할 것이다. 또한 창작된 작품을 통한 경제적 이익이 기대되며 교육적, 예술적 역량 강화를 통해 국가의 위엄과 신망이 향상될 것이다.;The arrival of the creation industrial era brings along the increasing values of creation area, for example the rise of copyright. Therefore, the governmental and non-governmental supporting programs for performing arts creation grow in many various forms each day.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categorize each performing arts creation support based on the background and needs of them, and finally propose the effective method for the performing arts support. In the creation industrial era, as the performing arts is a higher value added business, it has a means of business. In addition to that, it takes the social responsibility by releasing the society’s conflict and the educational role by developing youth’s good personality. And through the aesthetic appreciation value of the art, it contributes toward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for people. Therefore, the support based on social consultation are well invigorated because the art has a characteristic of market down but socially contributable by creating external benefit.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governmental support for performing art creation, this research examines supporting programs in Ministry of Culture, Korean Culture and Arts Committee and Seoul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The major supports from Ministry of Culture are ‘Creation Factory Project’ and the operation of National Art Organizations. Creation Factory is a new strategic supporting project taking a break from the temporary payment for production cost that used to be a traditional governmental support. The national art organizations governed by Ministry of Culture support the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of its arts genre by cultivating the artist and by presenting the creation outcomes. Above this, this organization tries to help the artists protect rights and sustainable welfare by legislation. Korean Culture and Arts Committee support the following performing arts creation supporting project: direct and indirect way of various supporting project, ‘Crowd funding’ that promotes rather small on-line donation, ‘The Artist House’ that supports space and information for creation activity and ‘Arko Performing Arts Incubation’ that foster the rising young artist. Seoul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supports ‘The Regular Public Contest Project’ and ‘NArT(New Art Trend)Project’ to help discover great artwork and raise new artists. And this foundation takes a role of promoting performing arts creation by operating several projects for ‘Creation Space’ and ‘Art Center Resident’ organization as much as Korean Culture and Arts Committee do. This researcher categorizes each governmental support for the performing arts creation by direct and indirect support and group them based on supporting objective. Direct supporting program from the government is the “Artwork Contest” whose objective is to select the excellent artworks. And both direct and indirect support is “Reinforcement of the Capability” which strengthens the artist’s ability. Indirect support programs are “Creator Protection” which helps artists by securing their rights and producing proper art eco-system and enabling a creation invigoration. “Environment Setup” is also indirect support which provides a space for artwork and an opportunity for oversea posting. At last, “Support Inducement” is a donation program for artists or information providing for supporting program so that all supports can be led to the artists. According to the category arrangement, today’s governmental supports for performing art creation have characteristics as follows. Firstly, there is a supporting category only be implemented by the governmental support. This, for example “Artist Protection”, can be operated based on the institutional policy. “Support Inducement” is the category that can be trusted by the donators only if implemented by the non-profitable governmental support. With this condition, this support can guarantee freedom of expression. Secondly, “Artwork Contest” is the category that has no considerable differentiation compared to non-governmental support. However, governmental supports always need to have a long administrative procedure that risks a bad impression to its dignity. Therefore, this support requires overcoming this disadvantage. Thirdly, unclear and massive governmental support regarding support beneficiaries is not particularly effective because artists tend to lack in information gathering. Only when the support program has a clear objectives and identities, it will be helpful to the artists. Governmental support has responsibility in developing the national culture status by proposing exemplary role model. Governmental support should be differentiated and identified compared to non-governmental support and by strengthening the supports that the non-governmental activities certainly have a limitation, it can improve the artist’s working conditions and develop the creation vitalization. With the effective governmental supporting plan, the domestic performing arts market will have rich contents that can increase for people to have opportunities of art experience. And it is expected that it brings the economical profit and the growth in national status and trust by strengthen the educational and artistic capabilit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 1 B. 연구의 방법 및 범위 3 C. 선행연구의 검토 5 Ⅱ. 공연예술 지원의 이론적 배경 8 A. 공연예술의 공급과 수요 8 B. 공연예술의 사회적 기여 14 C. 공연예술 지원의 유형 19 D. 공연예술 창작 공공지원의 의의 및 한계 22 Ⅲ. 국내 공연예술 창작의 공공지원 현황 27 A. 공연예술 창작 환경의 실태와 예술지원 27 B. 공연예술 창작의 공공지원 현황 32 Ⅳ. 국내 공연예술 창작의 공공지원 유형 51 A. 공연예술 창작에 관한 공공지원의 유형 및 특성 51 B. 유형화에 따른 공연예술 창작 공공지원의 특징 64 Ⅴ. 결론 66 A. 연구의 요약 및 한계 66 B.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 67 참고문헌 69 ABSTRACT 7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2743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공연예술대학원-
dc.subject.ddc706.8-
dc.title국내 공연예술 창작 지원의 유형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공공지원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Supporting Pattern of Performing Arts Creation : Focusing on the Governmental Support-
dc.creator.othernameKim, Da Som-
dc.format.pagevii, 7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공연예술대학원 음악예술경영전공-
dc.date.awarded2013. 2-
Appears in Collections:
공연예술대학원 > 음악예술경영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