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80 Download: 0

직장암 환자의 배변기능, 건강통제위, 불안과 우울 간의 관계

Title
직장암 환자의 배변기능, 건강통제위, 불안과 우울 간의 관계
Other Titles
The Relationships among Bowel Function, Health Locus of Control, Anxiety, Depression in Patients with Rectal Cancer
Authors
임세미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강윤희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직장암 환자의 수술 후 배변기능, 건강통제위, 불안과 우울 간의 관계를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자는 직장암으로 저위전방절제술을 받은 후 3개월∼5년 이내에 해당되는 환자이다. 대장암센터 외래를 방문하여 연구 참여에 동의한 2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배변기능은 Temple 등(2005)이 개발한 배변기능 도구로 측정되었고 건강통제위는 Wallston, Stein과 Smith(1994)가 개발한 다차원적 건강통제위 도구로 측정되었으며, 불안과 우울은 Zigmond와 Snaith(1983)가 개발한 불안-우울 척도 도구로 측정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0.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 변수의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일반적 특성과 질병 및 치료관련의 특성에 따른 배변기능, 건강통제위, 불안과 우울의 차이는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으로 분석하였으며, 사후검정은 Scheffe test로 분석하였다. 직장암 환자의 배변기능, 건강통제위, 불안과 우울 간의 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배변기능은 평균 34.44점의 낮은 점수로 직장암 수술 후 배변기능 장애를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가지 유형의 건강통제위 중 내적건강통제위는 평균 29.06점으로 가장 높은 점수를 보여 직장암 환자는 자신의 행위가 자신의 건강을 결정한다는 신념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불안과 우울은 각각 평균 4.49점, 6.25점으로 나타나 직장암 환자의 불안과 우울은 정상범위(0-7)에 해당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2. 배변기능은 항문연(항문상피와 항문주위피부의 경계)에서 종양까지의 거리(F=3.658, p=.028), 수술 후 치료방법(F=4.534, p=.012)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우연건강통제위는 교육수준(F=4.21, p=.001), 월 소득(F=2.334, p=.044), 과거력(t=6.530, p=.011), 의사건강통제위는 교육수준(F=3.67, p=.002), 월 소득(F=2.693, p=.022), 수술 후 기간(F=4.049, p=.004), 수술 후 치료방법(F=3.901, p=.022), 암의 병기(F=3.230, p=.042), 과거력(t=6.452, p=.012)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불안은 성별(t=2.912, p=.039), 암의 병기(F=3.013, p=.050), 우울은 교육수준(F=2.72, p=.033)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배변기능은 불안(r=-.180, p=.011), 우울(r=-.267, p<.001)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나타났고, 내적건강통제위와 우울(r=-.149, p=.035)간에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우연건강통제위와 우울(r=.146, p=.039)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고, 불안과 우울(r=.651, p<.001)간에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직장암 환자의 배변기능이 양호할수록 불안과 우울이 낮았고, 내적건강통제위가 높을수록 우울이 낮았다. 반면, 우연건강통제위는 높을수록 우울이 높았고, 불안이 높을수록 우울이 높았다. 따라서 직장암 수술 후 배변기능이 낮은 환자의 불안과 우울을 사정하고, 내적건강통제위를 강화할 수 있는 간호중재 개발과 이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among bowel function, health locus of control, anxiety and depression in patient with rectal cancer. The subjects were 200 rectal cancer patients who attended out-patient clinic in colorectal cancer center at the K hospital located in K province.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31th of October in 2012 to 18th of January in 2013. The study instruments included bowel function scale developed by Temple et al. (2005), health locus of control scale developed by Wallston et al. (1994) and anxiety, depression scale by Zigmond and Snaith(1983).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using SPSS WIN 20.0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The mean score of bowel function was 34.44±5.73, that of frequency was 11.62±2.93, that of individual item was 11.22±3.34, that of urgency/soilage was 6.46±2.17, that of dietary was 5.13±1.64. The mean score of internal health locus of control was 29.06±6.81, that of chance health locus of control was 22.41±6.96, that of doctors health locus of control was 15.88±2.85, that of powerful others health locus of control was 10.72±4.68. The mean score of anxiety and depression were 4.49±3.95 and 6.25±3.98. 2.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bowel function depending on anal verge, and post op treatmen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hance health locus of control by education, income, and past medical history. Doctors health locus of control differed significantly depending on education, income, post op period, post op treatment, stage, and past medical history. Anxiety differed significantly depending on gender and stage. Depression differed significantly depending on education. 3. There were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bowel function and anxiety(r=-.180, p=.011), between bowel function and depression(r=-.267, p<.001), and between internal health locus of control and depression(r=-.149, p=.035).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chance health locus of control and depression(r=.146, p=.039), and between anxiety and depression(r=.651, p<.001). Thus, it is suggested that anxiety and depression for the patients with low bowel function after colorectal cancer surgery should be evaluated and both nursing interventions and education program to enhance internal health locus of control need to be develop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