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7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미혜-
dc.contributor.author남미정-
dc.creator남미정-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22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22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7572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483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5728-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학문 목적 학습자에게 요약문 쓰기 지도가 중요하다고 판단하여 학문 목적 한국어 요약문 쓰기의 효과적인 지도 방안으로 ‘사고 지도(Thinking maps)’를 제안하고 ‘사고 지도 활용 전략’이 한국어 요약문 쓰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 연구이다. 설명적 텍스트는 학문 목적 학습자들이 대학에서 전공 서적 등을 통해 수업의 주요 자료로서 자주 접하게 되는 텍스트 유형이다. 또한 대학에서 주요 평가 자료로 사용되는 보고서나 시험 답안 작성은 이러한 설명적 텍스트를 읽고 이해해 자신의 언어로 환언하는 쓰기로 학습자의 요약문 쓰기 능력이 요구된다. 요약문 쓰기는 이처럼 학문 목적 학습자가 대학에서 학업을 수행하는 데 꼭 필요한 능력임에도 불구하고 아직 요약문 쓰기에 대한 체계적인 교수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사고 지도는 학습자들이 텍스트 구조를 명시적으로 확인하고 이를 통해 이해한 내용을 스스로 정리하여 쓸 수 있도록 도와주는 의미 시각화 도구이다. 따라서 주어진 텍스트의 이해는 물론, 이를 바탕으로 한 체계적이고 자기 주도적 글쓰기를 돕는다는 점에서 학문 목적 학습자의 한국어 요약문 쓰기에 효과적인 전략이 될 수 있다. 사고 지도가 요약문 쓰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사고 지도를 활용한 요약문 쓰기 수업이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요약문 쓰기 능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것인가? 연구문제 2. 사고 지도를 활용한 요약문 쓰기 수업이 학문 목적 학습자의 요약문 쓰기 능력에 영향을 미칠 경우, 텍스트 구조 유형별(나열 구조, 비교-대조 구조, 문제-해결 구조, 원인-결과 구조)로 차이가 있을 것인가? 연구문제 3. 사고 지도를 활용한 요약문 쓰기 수업이 학문 목적 학습자의 요약문 쓰기에 대한 정의적 측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인가? 본 연구를 위해 서울 소재 대학교에 재학 중인 다양한 국적의 중급(4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실험 집단 및 통제 집단을 구성하였다. 동질성 검사를 통해 두 집단의 쓰기 능력이 동질함을 검증하였고 요약문 쓰기 수업 전에 사전 요약문 쓰기 검사 및 사전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업은 총 4회로 8시간의 요약문 쓰기 수업을 실시하였다. 실험 집단은 사고 지도를 활용한 요약문 쓰기 수업을 실시하였고 통제 집단은 읽은 내용을 바탕으로 중심내용을 찾는 일반적인 요약문 쓰기 수업을 실시하였다. 그 후 사후 요약문 쓰기 검사 및 실험 집단을 대상으로 사후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9.0 프로그램과 Excel 2010을 사용하여 비모수 통계인 Mann-Whitney 검정과 Kruskal-Wallis, 빈도 분석 등의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경우 효과크기도 계산하여 함께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고 지도를 활용한 요약문 쓰기 수업을 한 실험 집단이 통제 집단에 비해 사후 요약문 쓰기 검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나타냈으며 효과크기도 큰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사고 지도를 활용한 요약문 쓰기 수업이 요약문 쓰기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실험 집단의 텍스트 구조 유형별로 요약문 쓰기 수업 효과를 살펴본 결과 텍스트 구조 유형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를 통해 사고 지도를 활용한 요약문 쓰기 수업이 모든 유형의 텍스트 구조에 효과적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사후 설문 조사의 응답을 빈도 분석으로 분석한 결과 사고 지도를 활용한 수업이 요약문 쓰기의 정의적 측면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왔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사후 설문 조사 응답 분석에서 사고 지도를 활용한 요약문 쓰기 수업이 텍스트 구조를 이해하고 자기 주도적이고 체계적으로 요약문을 쓰는 데 도움을 주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학문 목적 학습자에게 유용한 한국어 요약문 쓰기 지도 방안으로 사고 지도를 활용한 요약문 쓰기 수업을 구상하는 데에서 그치지 않고 이를 실제 한국어 요약문 쓰기 수업을 통해 효과를 검증해 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uggest ‘Thinking maps’ as the effective teaching method of Korean summary writing for academic purpose considering that summary writing guidance is important for the Korean learners in academic purpose, and finding how ‘strategy applied thinking maps’ effects on Korean summary writing. The explanatory text is a familiar text type for the Korean learners of academic purpose frequently confronting in university through majored publication as a major material of the class. Also, the writing of the report and exam answer sheet which is used as a major evaluation material in university is required the ability for the learners to read these explanatory texts and write with stating in other ways by understanding the text. Even though the summary writing is indispensible ability for the academic purposed learners to perform the learning in university, it is a situation that the systematic teaching about the summary writing is not accomplished yet. Thinking maps is a visual tool to help the learners to confirm the text structure explicitly and compose and write the content what they understand through this. Thus, it can be effective strategy for the academic purposed learners to write Korean summary in the aspect of helping systematic and initiative writing in addition to understand the given text based on this. For verifying how the thinking maps effects on summary writing, the research Question setting up in this research is as followings. 1. Does summary writing class applied to thinking maps effect significantly on summary writing ability of korean learners in academic purpose? 2. In case that summary writing class applied to thinking maps effects on summary writing ability of the learners in academic purpose, is it different by text structure type (enumerated structure, comparison-contrast structure, problem-solution structure, cause-result structure)? 3. Does summary writing class applied to thinking maps effect positively on the affective aspect about summary writing of the learners in academic purpose? For this research, experiment group and control group is composed as objected to medium (4th class) learners of various nationality who are studied in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Writing ability of two groups was verified through homogeneity test, and prerequisite summary writing test and questionnaire test was performed before summary writing class. The class was total 4 times, and performed 8 hours of summary writing class. The experiment group was performed summary writing class applied to thinking maps, and control group was performed general summary writing class finding the core content based on the reading. After that, after summary writing test and post-questionnaire test was performed as objected to experiment group.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the methods such as Mann-Whitney test which is non-parametric statistics, Kruskal-Wallis, and frequency analysis using SPSS 19.0 program and Excel 2010. Also the size of the effect was analyzed by calculation in case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xperiment group and control group in statistics. The summary of the analysis result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ings. First, the experiment group who participated a summary writing class applied to thinking maps was indicated high grade significantly in statistics in after summary writing test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nd the effect size was greatly indicated. It was known that summary writing class applied to thinking maps effected on the summary writing ability positively through this. Second, as a result of summary writing class effected by text structure type of experiment group, it was not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ext structure type. It was confirmed through this that summary writing class applied to thinking maps was effective for all kinds of text structure. Third, as a result of analysis with frequency analysis for the response of post-questionnaire test, it was confirmed that summary writing class applied to thinking maps brought positive change in affective perspective of summary writing. Also, it was confirmed that summary writing class applied to thinking maps in post-questionnaire response analysis helped to understand the text structure and to write summary initially and systematically. This research has a meaning that it is not just designing summary writing class applied to thinking maps as writing guidance measures for Korean summary which is available for the academic purposed learners, but it is verified the effect through writing class of korean summary practicall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B. 연구의 내용 및 방법 4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고찰 6 A. 요약문 6 1. 요약문의 개념과 요약 규칙 6 2. 텍스트 구조와 요약문 쓰기 10 B. 설명적 텍스트 11 1. 설명적 텍스트의 개념과 구조 11 C. 사고 지도 14 1. 의미 시각화 도구와 사고 지도 15 2. 사고 지도의 개념 및 유형 16 D. 선행연구 고찰 28 1. 요약문 쓰기에 관한 연구 28 2. 설명적 텍스트 구조에 관한 연구 31 3. 의미 시각화 및 사고 지도에 관한 연구 32 E. 연구 문제 및 연구 가설 35 Ⅲ. 연구 방법 37 A. 연구 설계 37 B. 실험 참여자 37 C. 연구 도구 39 1. 실험 도구 39 가. 요약문 쓰기 검사용 읽기 텍스트 선정 39 나. 사고 지도를 활용한 요약문 쓰기 수업 방안 40 다. 사고 지도를 활용한 요약문 쓰기 수업의 실례 44 2. 측정 도구 49 가. 동질성 검사지 49 나. 사전 및 사후 요약문 쓰기 검사지 49 다. 요약문 쓰기 평가 기준 50 라. 사전 및 사후 설문지 53 D. 연구 절차 53 1. 실험 도구 및 측정 도구 제작 55 2. 사전 검사 및 조사 실시 55 3. 실험 처치 55 4. 사후 검사 및 조사 실시 56 E. 분석 방법 56 1. 동질성 검사 56 2. 사전 및 사후 요약문 쓰기 검사 57 3. 사후 설문 조사 57 Ⅳ. 결과 및 논의 58 A. 사고 지도 활용 수업이 한국어 요약문 쓰기에 미치는 영향 58 1. 결과 분석 및 기술 58 2. 결과 해석 및 논의 60 B. 사고 지도 활용 수업 효과의 텍스트 구조 유형별 차이 61 1. 결과 분석 및 기술 61 2. 결과 해석 및 논의 62 C. 사고 지도 활용 수업이 정의적 측면에 미치는 영향 63 1. 결과 분석 및 기술 63 2. 결과 해석 및 논의 66 D. 사후 설문 조사 결과 67 E. 채점자 신뢰도 70 Ⅴ. 결론 73 A. 연구 결과의 요약 및 시사점 73 B.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 제언 75 참고문헌 77 부록 83 ABSTRACT 12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51479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400-
dc.title사고 지도(Thinking Maps)를 활용한 한국어 요약문 쓰기 수업 효과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설명적 텍스트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effects of strategy applied thinking maps on Korean summary writing-
dc.creator.othernameNam, Mijung-
dc.format.pagexiii, 12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13.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