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77 Download: 0

명시적 FonF와 암시적 FonF가 중급 한국어 학습자의 조사 학습과 사용 오류에 미치는 영향 비교

Title
명시적 FonF와 암시적 FonF가 중급 한국어 학습자의 조사 학습과 사용 오류에 미치는 영향 비교
Other Titles
A Study on Comparison of Influences of Explicit FonF and Implicit FonF on Particle Correction Drill for Intermediate Level Korean Language Learners and Ungrammatical Use of Particles
Authors
하미령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해영
Abstract
본고는 한국어 학습자들의 조사 오류율이 높고 이러한 현상이 학습자의 숙달도가 높아져도 크게 줄어들지 않는다는 사실에 주목하였다. 이에 중급 및 고급 수준의 한국어 학습자에게도 조사 교육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여 중급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명시적 FonF와 암시적 FonF를 활용하여 한국어 조사 교육을 실시하고 그 효과를 비교하는 것에 그 목적을 두었다. 본고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Ⅰ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을 밝히고 조사 오류에 관한 선행 연구를 정리하였다. 그리고 연구 문제를 기술하였다. 연구 문제 1은 FonF의 유형에 따라 학습자의 조사 학습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사후 문법성 테스트를 통해 각 집단의 조사 학습 효과를 측정하였고 맨-휘트니 검정(Mann-Whitney U test)을 통해 두 집단을 비교하였다. 연구 문제 2는 FonF의 유형에 따라 학습자의 조사 오류 감소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사전 쓰기 작문과 사후 쓰기 작문을 실시하고 각각의 조사 오류율을 조사하여 오류 감소 정도를 윌콕슨 대응 부호 순위 검정(Wilcoxen matched-pairs signed-ranks test)를 통해 비교하였다. 연구 문제 3은 학습자가 조사에 대해 가지는 정의적 태도에 긍정적인 변화가 있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사후 설문지를 작성하고 실험 참여자들과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Ⅱ장에서는 본 연구와 관련된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았다. 먼저 FonF의 개념과 유형에 대해 기술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 활용하는 FonF의 두 유형에 대해 살펴보고 조사 오류의 판단 기준을 밝혔다. Ⅲ장에서는 연구 방법에 대해 기술하였다. 먼저 실험 절차와 실험 대상이 된 참여자에 대해 기술하였다. 그리고 실험 도구와 방법을 기술하고 SPSS를 활용한 자료 분석 방법을 밝혔다. Ⅳ장에서는 연구 결과를 기술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 참여자는 모두 중급 한국어 학습자로 총 16명이었다. 참여자들을 두 집단으로 나누어 의식 상승 과제(명시적 FonF)와 입력 강화(암시적 FonF)를 통해 조사를 교수한 결과 조사 학습에 있어 유의미한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하지만 명시적 집단의 경우가 전체적으로 조금 더 높은 점수를 얻었으며 대부분의 문항에서 명시적 집단의 점수가 높았다. 하지만 ‘이/가’의 내포문 제약에 관한 문항의 경우는 암시적 집단이 더 높은 점수를 얻었다. 각 집단의 조사 오류 감소에 대해서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는 얻을 수 없었으며 집단별 차이도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작문 내용을 통해서는 참여자들이 조사의 오류를 수정하여 사용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집단마다 개인차가 존재하기는 했지만 전체적으로는 암시적 집단이 조사 오류 감소의 크기가 더 컸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설문 조사를 통해서는 본 실험이 학습자가 조사에 대해서 가지는 정의적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을 확인하였다. 전체적으로 조사에 대한 관심과 조사 사용에 대한 자신감이 높아졌고 수업에 대한 만족도도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명시적 집단에서 조금 더 높은 점수가 기록되었음을 확인하게 되었다. Ⅴ장은 결론 및 논의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론과 연구의 제한점을 기술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의 조사 오류 분석이나 교육 방안 제안이 아닌 실제 교수를 실시하였다는 점과 중급 수준의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조사 학습과 조사 오류 감소의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focuses on a fact that error rate of particle by Korean language learners is remarkably high, and it is not significantly reduced even though the they were highly proficient in Korean language. Hence it is thought that particle correction drill on intermediate and high level Korean language learner are also required to be undertak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ly explicit FonF(Focus on Form) and implicit FonF(Focus on Form) to the intermediate level Korean language learners so as to compare effects derived through two different teaching methods. In Chapter Ⅰ, necessity and purpose of this study are clarified, and preceding studies related to particle errors are summarized. Research problem 1 is aimed to examine whether any significant difference is found in particle correction drill for leaners depending on type of FonF. The effect of particle correction drill for each group was measured through post-grammaticality test, and the result is examined by comparing them on a group basis. Research problem 2 is aimed to examine whether any significant difference is found in reduction of error rate of particle for learners depending on type of FonF. Pre-writing test and post-writing test were undertaken, and error rate of individual group is drawn from the results so as to define how much or less the error rate is reduced, and the results are examined by comparing them on a group basis. Research problem 3 is aimed to examine whether any positive change is found in learners’ attitude toward particle. To find out this, a questionnaire was filled out, and interviewing with participants was undertaken. In Chapter Ⅱ, theoretical background is examined with respect to this study. First, concepts and type of FonF are described. Second, two types of FonF used for this study are examined, and criteria for determination of particle error is defined in this chapter. In Chapter Ⅲ, study method is described. First, test procedure, and participants who were chosen subjects for this study are described. Second, test instruments and methods are described, and data analysis method is defined. In Chapter Ⅳ, result of study is described. All of the participants in the test are intermediate level Korean language learners, who they are total 16 persons.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nd teaching activity was undertaken based on two different methods; One explicit group was taught though consciousness-raising tasks, and the other implicit group was taught through input enhancement. According to the result,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 found in particle correction drill. But it was found that explicit group gained relatively higher score in overall than implicit group. No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found with respect to reduction of particle errors for each group,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groups was also shown. But through their writings, it was found that all the participants of two groups tended to correct wrong example of particle to use them adequately. It was found that reduction scale of particle errors in the implicit group showed larger than that in the explicit group. Lastly, it was also found that this test had a positive impact on learners’ attitude toward particle through survey. In Chapter Ⅴ, discussion and conclusion are described. The conclusion and limitation of this study are described in this chapter.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e application of actual teaching activity instead of conventional analysis of particle errors or proposal of education plan, and examination on particle correction drill and effect of reduction of particle error occurrence aimed at the intermediate level Korean language learner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