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4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신승희-
dc.contributor.author허진-
dc.creator허진-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21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21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7258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482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2587-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 중국어 동요 교재 및 동영상을 분석하고, 분석결과를 통하여 나타난 문제점을 개선하여 적절한 활용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우선, 조기 외국어 교육의 필요성과 한국의 조기 중국어 교육현황을 조사하고, 동요와 동영상 활용의 교육적 효과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전문가들의 분석 기준을 바탕으로 재해석한 새로운 형태의 분석 기준을 원칙으로 삼아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네 권의 어린이 중국어 동요 교재와 동요 동영상을 크게 형식적 구성과 내용적 구성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동요 교재의 각 단원 주요 소재를 분석한 결과 소재가 한 번 이상 중복된 경우는 총 11가지로 정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중복 빈도가 높은 11가지 소재를 단원명으로 설정하였으며, 각 소재별 특징에 맞는 동영상을 구현하기 위해 동영상 편집 프로그램을 활용하는 방법과 동요의 노랫말을 적절하게 표현하는 동영상 활용방안을 보여주고자 하였다. 둘째, 한중 동요 동영상의 화면 구성 및 특징을 살펴본 결과 서로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한국에서는 언어 학습을 위한 도구로 동요 동영상이 제작되지만, 중국에서는 언어 학습 보다는 정서 함양을 위한 도구의 역할이 더욱 크다. 이를 비롯하여 한국과 중국의 동요 동영상은 형식적, 내용적 구성에서 차이점을 보이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한국과 중국의 동요 교재 및 동영상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개선하여 노래에 적절한 영상을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 및 활용 방안이 초등학교 저학년 수업을 진행하는 데 있어서 미약하게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本论文的研究目的主要是通过分析汉语儿歌的教材和视频,发现其存在的问题并对其进行改进,从而制定出适合韩国儿童的儿歌汉语教材。为此,本文首先阐述了早期外语教学在外语教育中的必要性以及韩国的早期汉语教学现状,并对儿歌以及儿歌视频运用的教学方法所带来的效果进行说明。 本论文以专家和学者的先行研究作为分析的基础,重新整理并以新形式的基准来分析现在被广泛使用的4本儿童汉语儿歌教材和儿歌视频的形式与内容构成。 本论文分析结果整理如下。 第一,在4本儿歌教材中,分心总结各单元主要的教学题材发现重复1次以上题材 共有11类。这样高频度重复的11种题材被重新分成11个主题单元。为了体现各题材的特征,本文特别制定了与儿歌内容和歌词相对应的视频画面并附有可灵活使用的教学方法。 第二,本文对比分析了韩中儿歌视频画面的构成和特征,还有画面布局的不同。 在韩国,虽然以语言教学为主的教学道具已经得到广泛的运用,但在中国,培养学生身心上的情操修养却更为重要。这样可以看出韩国和中国儿歌视频形式和内容上的差异。 本论文通过发现韩国和中国儿童教材与视频的问题所在,试图为儿歌汉语教学量身制定适合的教学方案。最终结合韩国的实际情况制定出适合韩国小学低年级汉语教学的灵活教学方案,希望以此来为儿童汉语教学尽自己一点绵薄之力。;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Chinese children's song textbooks and video for children and improve the problems shown through the analysis results and suggest an appropriate utilization plan. For this, first of all the necessity of early foreign language education and the educational situation of early Chinese language education in Korea were studied and the educational effects of children's songs and video utilization were examined. This research took as the principle the analysis standard of new types reinterpreted based on the analysis standards of specialists and divided the currently most used 4 volumes of Chinese children's song textbooks and videos into largely formative structure and contextual structure for analysis. The summary of the analysis results from this research is as following. Firs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main subtitles of each unit for the children's song textbooks, the cases in that one subtitle is repeated can be summarized as a total of 11 cases. 11 subtitles with a high frequency are established as the names of units and in order to implement videos in complianc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ubtitle, it tried to show a method to utilize a video editing program and a video utilization plan to appropriately express the words of the children's songs. Second, as a result of the review of the screen composition and characteristics of Chinese children's songs and videos, it was found that they have mutually different aspects. In Korea, the children's songs and videos are produced for the tools of language learning but those of China play a bigger role in emotional improvement than language learning. Besides, those of Korea and China show differences in the structures of formation and content. This research tried to understand the problems of Korean and Chinese children's song textbooks and videos and improve them and finally suggest a plan to utilize appropriate images to songs. It is expected that this kind of analysis and utilization plan will at least help the progress of lower grade classes of elementary school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B. 선행연구 2 C. 연구방법 4 Ⅱ. 이론적 배경 6 A. 조기 외국어 교육 6 1. 조기 외국어 교육의 필요성 6 2. 한국의 조기 중국어 교육 현황 11 B. 동요와 동영상 활용의 교육적 효과 15 1. 동요의 기능 및 교육적 효과 15 2. 동영상의 기능 및 교육적 효과 16 Ⅲ. 동요 및 동영상을 활용한 어린이 중국어 교재 분석 20 A. 동요를 활용한 어린이 중국어 교재 분석 20 1. 교재 분석 기준 20 2. 교재 분석 대상 25 3. 교재 구성 분석 27 B. 중국어 동요 동영상 분석 41 1. 동요 동영상 분석 기준 41 2. 동요 동영상 분석 대상 42 3. 한중 동요 동영상 구성 분석 43 Ⅳ. 동요 동영상 활용을 위한 설계 및 구현 51 A. 어린이 동요 동영상 설계 51 1. 내용 설계의 기준 51 2. 단원별 학습 내용 52 B. 어린이 중국어 동요 동영상 구현 53 1. 구현 환경 54 2. 구현의 실제 55 Ⅴ. 결론 및 제언 77 참고문헌 79 부록 82 中文摘要 86 ABSTRACT 8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68841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외국어교육특수대학원-
dc.subject.ddc400-
dc.title어린이 중국어 동요 교재 및 동영상 분석과 활용방안-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nalysis and Utilization Plan of Chinese Children's Song Textbooks and Video for Children-
dc.creator.othernameHeo, Jin-
dc.format.pagevi, 8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외국어교육특수대학원 TeCSOL학과-
dc.date.awarded2012. 8-
Appears in Collections:
외국어교육특수대학원 > 국제중국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