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3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조일현-
dc.contributor.author최정임-
dc.creator최정임-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20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20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7653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481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6535-
dc.description.abstract정보가 넘쳐나고 급변하고 있는 세계 경쟁의 시대에서 보다 경쟁력 있는 인적자원의 육성을 위해서 교육 개혁이 추진되고 이 과정에서 우수한 교원 양성이 그 무엇보다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다. 우수한 교원의 양성에 대한 필요성이 높아지고, 공교육 변화에 대한 높아지는 요구의 대안으로 교원의 자질 향상을 위한 주요한 요소로 교원연수가 부각되고 있다. 집합 교육 형태의 교원 연수는 시간과 공간적 제약이 따랐었다. 정보통신기술이 발전하면서 인터넷을 이용한 원격연수가 교원연수의 새로운 대안으로 떠오르면서 그 수요는 점점 증가하고 있다. 교원 원격교육연수에 대한 수요는 증가하는데 그에 관련된 연구 보다는 기업에서 이루어지는 E-learning이나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사이버 대학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어 교원만의 특성에 맞는 연구가 필요하다. 교육학 대사전(1996)에 따르면 교원연수는 ‘현직에 임용된 교원들이 그들의 직무를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하고 전문적인 성장을 가져오기 위해 받는 교육’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이는 교사의 여러 변인들 중 교사효능감을 높이기 위한 활동이기도 하다. 교사효능감이란 Bandura(1977)의 자기효능감의 개념을 교사라는 대상에 적용하여 발생된 개념으로, Baerman(1977)은 교사가 학생의 성취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고 믿는 정도라고 하였다. 즉, 교사 자신의 수행 능력에 대한 믿음과 학생의 학업성취에 대해 어느 정도의 영향을 미칠 수 있을지에 대한 교사의 내적인 신념을 뜻한다. 교사효능감과 관련된 연구들에 의하면(전인옥, 1996; 황희숙, 2007; Ashton, 1984; Gibson & Dembo, 1984 등) 교사 효능감이 높은 교사일수록 쉽게 포기하지 않고, 학생들의 과제수행에 적극적이고, 따뜻한 교실 환경을 개발하는 경향 등이 나타난다고 한다. 이에 교사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요인들을 탐색하고 이를 촉진 시킬 수 있는 전략을 모색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온라인의 환경에서 진행되는 연수이기 때문에 교사의 ICT활용능력이 하나의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 하지만 ICT활용능력이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 결과는 일치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 이러닝 학습과정에서 학습내용을 이해하고 학습자 스스로 그 내용에 맞는 지식을 창출해 나갈 수 있는 능력에 대한 인식인 인지적 실재감 (Kang 외, 2007)을 매개로 하여 교사 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 연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원격교육연수에서 교사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중 교사의 ICT활용능력이 교사 교능감을 예측하는데 인지적실재감이 매개역할을 하는지를 검증하여 원격교원연수 환경에서의 학습 효과를 증진하기 위해 고려해야 할 요인과 지원 방안 마련의 기초를 수립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이에 따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교원 원격교육연수에서 ICT활용능력, 인지적 실재감과 교사효능감 간에는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가? 2. 교원 원격연수에서 인지적 실재감을 매개로 ICT활용능력이 교사효능감을 유의미하게 예측하는가? 본 연구를 위해 T 연수원에서 원격연수를 받은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을 통해 수집한 118명의 응답 자료를 기반으로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고 Baron& Kenny(1986)가 제안한 매개 분석 방법을 통해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독립변인, 매개변인, 종속변인간의 유의한 상관관계가 검증되었으며, ICT활용능력은 교사효능감을 설명하는 예측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인지적 실재감의 매개역할을 검증한 결과 ICT활용능력과 교사효능감 간에 인지적 실재감은 부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 연구 분석을 통해 교원 원격교육연수에서 ICT활용능력은 교사효능감을 예측하고 이들의 사이에서 인지적 실재감이 매개역할을 수행할 것이라는 본 연구의 연구모형은 그 적합성이 확인되었다. 면대면 학습이 아닌 온라인 환경에서 이루어지는 교원들의 연수에서 학습자인 교원들이 자신이 필요한 정보를 수집, 분석, 가공할 수 있는 ICT활용능력이 높을수록, 연수과정에서 그 학습상황이나 내용에 대해 더 잘 이해하게 되고 자신이 그 지식을 얼마나 창출하고 관리할 수 있는지를 인식하게 되면 이러한 인식인 인지적 실재감이 궁극적으로 교사 자신의 수행능력에 대한 믿음인 교사효능감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이다.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T연수원에서 실시하는 직무연수를 수강한 교사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웹 설문을 진행하여 118명의 응답 자료를 수집하였다. 대상 선정은 편의표집으로 진행하였기 때문에 연구결과를 일반화 하는데 제한이 있다. 다양한 연수원에서 다양한 과정에 서도 본 연구와 같은 결과를 얻게 되는지 연구를 확장할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에서 사용된 ICT활용능력, 인지적 실재감, 교사효능감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들을 모두 자기보고 방식인 설문 방식으로 측정되었기 때문에 주관적일 수 있다. 이러한 설문지는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법이지만 연구 대상의 주관적인 판단에 의존하므로 설문결과가 갖는 한계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검사 방법을 통한 심층적 후속 연구의 필요가 있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연구의 대상이 되었던 과목의 특성상 학습자들이 개인학습을 하기 때문에 학습 실재감의 인지적 실재감만을 살펴보았다. 후속 연구에서는 교수자와의 활발한 상호작용이나 토론과 같은 학습이 이루어지는 원격교육환경에서 사회적 실재감과 감성적 실재감을 포함한 학습실재감들과 같은 다양한 변수를 바탕으로 다각도로 교사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 관계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In our information-overflowing, rapidly changing age of global competition, further reforms are being initiated in the field of education to develop more competitive human resources. Also, raising competent and capable teachers are regarded with greater emphasis. There is a greater demand for developing such resources, and as an alternative to introducing radical changes to public education that is being demanded more vigorously than ever, teacher training to enhance the quality of teachers is given more significance as the determining factor. Whereas there existed time and spatial restrictions in the traditional group training format, the online teacher training utilizing the internet has emerged as a new alternative for teachers' training, and its demand is increasingly growing. Yet, while its number is increasing, currently such online training is largely focused on E-learnings taking place at corporations or on cyber colleges rather than on online teacher training, resulting in a need for researches that are specific to teachers and educators. Teachers' training is the training that currently employed teachers receive so that they can fulfill their assigned tasks more effectively and develop further professionally (Education Encyclopedia, 1996). This is also an activity to raise Teacher Efficacy, among several other variables related to teachers. Teach Efficacy is a concept that was generated by applying the concept of Self-efficacy by Bandura on teachers. Baerman (1977) defined as the degree of belief that a teacher has over his or her capacity to influence the achievement of students. Therefore, it means the internal belief of the teacher over his or her own ability to fulfill the assigned roles and impact the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by the students. According to researches related to teacher efficacy (Ashton, 1984; Gibson & Dembo, 1984; Cheon, In-ok, 1996, Hwang, Hee-sook, 2007, etc), teachers with higher teacher efficacy tended to be more resilient, more proactive in fulfilling student assignments, and develop warmer classroom environments. As such, studies to investigate factors that can enhance teacher efficacy as well as to identify strategies that can stimulate teacher efficacy are needed. Considering that the training is performed in the online environment, teachers ICT utilization ability can work as one variable. However, the research results over whether the ICT utilization ability influences the level of teacher efficacy tend to be inconsistent. In this study, we attempt to assess the level of influence that cognitive presence, which is the ability to understand the training contents during the course of E-learning and create appropriate knowledge consistent with its contents for the person undertaking the training (Kang et al, 2007) as the mediation, can have over teacher efficacy. Therefore, in this study, we plan to assess whether, among other factors influencing teacher efficacy in online teacher training, the teacher's ICT utilization ability can work as a mediation for cognitive presence to predict teacher efficacy. This will assist in establishing the basis for factors to be considered in improving the training effects in online teacher training environment as well as support plans. Accordingly,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have been presented. [Issue] 1. Are there any statistically meaningful relationships among theICT utilization ability, cognitive presence, and teacher efficacy in online teacher training? 2. Does the ICT utilization ability predict teacher efficacy with cognitive presence as the mediation in a statistically significant manner in online teacher training? For this study, we have used response data obtained from 118 participants through the survey subjecting teachers who have completed training at T Training Center to carry out technical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over the data, and also employed the mediation analysis method as suggested by Baron & Kenny (1986) to assess the mediation effects. From the research results, we were able to verify statistically meaningful correlation between the independent variable, the mediation variable, and the dependent variable, and the ICT utilization ability was deemed a predictive factor that can explain teacher efficacy. Based on this, we have assessed the mediation function of cognitive presence, and noted that between the ICT utilization ability and teacher efficacy, cognitive presence served the role of partial mediation. Therefore, from this research analysis, the appropriateness of this research model, which stated that the ICT utilization ability in online teacher training can predict teacher efficacy and cognitive presence will serve the mediation role, has been verified. The implications are as follows: During the training for teachers that take place in an online environment, not through face-to-face training, if the teachers have a greater ICT utilization ability which enables them to collect, analyze, and process information that they need, they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e training situation or contents better. Moreover, as they can recognize how much they can generate and manage such knowledge, cognitive presence which is related to such perception can ultimately improve the teacher efficacy, as it reflects the confidence that the teacher has over his or her own capacity to fulfill the tasks. The below are suggestions for subsequent studies: First, this research subjected teachers who have completed assignment training as provided by T Training Center to respond to web questionnaires, and collected responses from 118 individuals. As a homogeneous population was used for sample collection for convenience purposes, there are limitations in generalizing the research results. There is a need to expand the research and assess whether different courses at other training centers will generate similar results as this study. Second, the tool used to assess the ICT utilization ability, cognitive presence, and teacher efficacy was the survey questionnaire which is self-reporting, so it can be subjective. While such survey questionnaire are most widely used, they depend on subjective judgment of the research subjects, and are prone to limitations inherent to survey questionnaires.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perform a subsequent in-depth research utilizing diverse test methods. Third,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class that was subjected for this research, only cognitive presence was reviewed among other academic presence because the trainees undertook individual training only. In subsequent studies, the relationships and influences on teacher efficacy for several other variables such as academic presence including social presence and emotional presence should be assessed at teacher training environments where active mutual interaction with the instructor and debate take plac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 1 B. 연구문제 4 C. 용어의 정의 5 1. 교원 원격교육연수 5 2. ICT활용능력 5 3. 인지적 실재감 6 4. 교사효능감 6 Ⅱ. 이론적 배경 7 A. 교원 원격교육연수 7 1. 교원 원격교육연수의 개념 및 운영목적 7 2. 교원 원격교육연수 현황 8 B. 인지적 실재감 13 1. 인지적 실재감의 개념 13 2. 인지적 실재감의 구성요소 15 C. 교사효능감 16 1. 교사효능감의 정의 16 2. 교사효능감의 효과 18 D. ICT활용능력 20 1. ICT활용능력의 개념 20 2. 교원 ICT활용능력과 기준 22 E. 선행연구 24 1. ICT활용능력과 학습성과 24 2. 인지적 실재감과 학습성과 25 3.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6 가. 교원연수와 교사효능감 27 나. 인지적 실재감과 교사효능감 28 다. ICT활용능력과 교사효능감 29 Ⅲ. 연구방법 31 A. 연구대상 31 B. 연구도구 32 1. ICT활용능력 측정도구 33 2. 인지적 실재감 측정도구 34 3. 교사효능감 측정도구 35 C. 연구절차 36 1. 선행연구 분석 및 측정도구 개발 37 2. 선행 설문조사를 통한 파일럿 테스트 37 3. 설문조사 실시 37 4. 결과분석 38 D. 자료분석 38 1. 상관분석 38 2. 매개분석 39 Ⅳ. 연구결과 41 A. 기술통계 41 B. 상관분석 42 C. 매개분석 43 1. ICT활용능력의 인지적 실재감 예측에 대한 검증 43 2. ICT활용능력의 교사효능감 예측에 대한 검증 44 3. 인지적 실재감의 교사효능감 예측에 대한 검증 45 4. ICT활용능력의 교사효능감 예측에 대한 인지적 실재감의 매개효과 검증 45 Ⅴ. 결론 및 제언 48 A. 결론 및 논의 49 1. ICT활용능력, 인지적 실재감, 교사효능감 간의 상관관계 49 2. ICT활용능력의 교사효능감 예측에 대한 인지적 실재감의 매개효과 50 B. 제한점 및 제언 52 참고문헌 54 부록 60 <부록 1> 설문지 60 ABSTRACT 6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7160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교원 원격교육연수에서 교사의 ICT활용능력이 인지적 실재감을 매개로 하여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Influence of Teachers' ICT utilization ability on Teacher Efficacy with Cognitive Presence as the Mediation in Online Teacher Training-
dc.creator.othernameChoi, Jung Im-
dc.format.pagexi, 6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공학전공-
dc.date.awarded2013.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공학·HRD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