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2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서혁-
dc.contributor.author류수경-
dc.creator류수경-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20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20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7742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481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7421-
dc.description.abstractCritical literacy has been a particular focus in literacy education. For many reading educators, the term “critical literacy” refers to aspects of higher level of understanding. It is the logical outcome of definitions of literacy as individual skills within human subjects, rather than as social practices in communities. Students should be able to use language to question the world, to interro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language and power, to analyze popular culture and media, to understand how power relationships are socially constructed. Perhaps this use of language has been deemed ‘too hot to handle’ in relation to our school field and educational curriculum. This study focuses on understanding the difficulties that teacher and students encounter at literacy classes. To determine the aspects of critical literacy, observational research in the real field of education was performed. After examining classroom practices through participant observation and interviews with qualified teachers, surprisingly, it is found that the students could understand the social, cultural and economic power relations in the context in which people actually use language. On the contrary, textbook remained on decoding contents of materials and verifying the subjects that the writers criticized and wrote critically. For students to be critical readers, students as a group received help from the teacher should be able to create a new meaning by exploring the text and context. Critical literacies have focused on identifying literacy practices in social and cultural context. To achieve literacy practices requires metacognitive reading strategies inferring ‘authorial intent, bias or stereotypes’. Synthetically, this study proposes inquiry-based process to promote critical literacy. Inquiry is an approach to learning whereby students can find and use a variety of sources of information and ideas to increase their understanding of a problem, topic or issue of importance. Also, it enables the students to access the text and construct the meaning critically in order to understand the problems from multiple perspectives. For students to construct meaning from text “critically”, they require critical thinking and attitude. In this research, we regarded the critical thinking as ‘metalingual thinking, context-sensitive thinking, value driven thinking, reflective thinking’. And inquiry process can be regarded as ‘Focus, Explore, Analyze, Share learning’. Applying this process successfully requires acceptance of a multiplicity of interpretations, collaborative practice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to explore the meaning from text and socio-cultural context. For this purpose, this study provides strategies to help students to construct meaning critically. This paper concludes that classroom should be dynamic place in order to find the meaning of the text from multiple perspectives. ;지식 정보화 사회와 다문화 사회가 가속화됨에 따라 비판적 문식성에 대한 요구가 국어교육 안팎에서 커지고 있다. 비판적 문식성 교육은 국어과에서 오래 전부터 지속되어 왔으나 학습자의 실질적인 비판적 문식력 신장으로 이어지지 못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비판적 문식성을 사회·문화적 접근에서 재개념화하고, 비판적 의미 구성에 작용하는 비판적 사고와 태도의 성격을 분명히 하여 비판적 문식성 신장을 위한 교육의 방안을 제시하였다. 비판적 문식성은 문식성 실천 과정에서 일어나는 비판적 의미 구성으로, 독자는 개인적, 사회·문화적 배경에 근거하여 텍스트의 의미를 비판적으로 구성하고 확장할 수 있어야 한다. Ⅱ장에서는 문식성에 대한 사회·문화적 관점에서 비판적 문식성의 개념을 정리하고, 비판적 의미 구성에 작용하는 비판적 사고와 태도에 대한 연구를 검토한다. 이를 통해 비판적 사고를 논리적 사고로 귀결시키거나, 비판적 태도를 대상에 대한 무조건적인 반대로 여겨서는 안 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Ⅲ장에서는 현행 2007 교육과정에 의해 시행되고 있는 비판적 문식성 교육의 실태를 살펴 비판적 문식성 교육의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는 수업 참여 관찰과 사후 인터뷰를 통해 진행 되었다. 현행 비판적 문식성 교육의 내용은 지식 위주의 텍스트 장르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필자의 의도와 맥락에 대한 교육 내용이 마련되지 못하였다. 또한 교육의 과정에 있어서는 학습 활동이 의미 없이 반복되고 있었으며, 학습 자료가 실제 언어생활을 반영하지 못하였다. 또한 학습 활동의 질문은 필자의 비판적 쓰기 과정을 독자가 재구성하여 따라가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독자의 능동적인 비판적 의미 구성 과정이 고려되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텍스트에 대한 ‘다양한 변용을 통한 비판적 읽기, 사회적 쟁점과 숨겨진 의도를 읽기, 탐구 학습을 통한 주체 형성’ 교육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Ⅳ장에서는 다치적 탐구 중심의 비판적 문식성 교육을 설계하였다. 다치적 탐구 중심 비판적 문식성 교육은 비판적 사고와 비판적 태도를 바탕으로 하여 다치적 관점에서 텍스트의 의미를 비판적으로 구성하는 과정에 주목한다. 비판적 사고는 메타 언어적 사고, 맥락에 민감한 사고, 가치 지향적 사고, 반성적 사고로 이루어지며 비판적 태도에는 지적 호기심과 회의, 융통성, 편견 없는 마음, 다른 관점에 대한 존중, 공정성, 정직성, 결단성, 자기 반성과 타인에 대한 배려가 포함된다. 다치적 관점의 비판적 의미 구성 과정의 전략으로는 ‘문제 드러내기, 병치하기, 전환하기’가 있다. 문제 드러내기는 텍스트에 내재된 문제를 인식하고 공론화하는 것이며, 병치하기는 문제의식을 더 구체화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텍스트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는 것이다. 전환하기는 텍스트에서 소외된 목소리를 대변하는 새로운 대안적인 텍스트를 생산하는 것이다. 이러한 다치적 관점의 비판적 의미 구성은 협력적 탐구 학습을 바탕으로 교육될 수 있다. 협력적 탐구 학습은 텍스트의 의미를 탐구하는 것으로, 발견하기, 조사하기, 분석하기, 공유 및 전이하기의 단계로 이루어진다. 본고는 비판적 문식성에 대한 이론을 검토하고, 교육 실행을 분석하여 새로운 교육의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비판적 문식성 교육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심도 있게 이어지기를 기대한다. 이러한 비판적 문식성 교육을 통해 정보화 시대의 감식력 있는 주체이자, 다문화 시대의 균형적인 주체로 살아갈 수 있는 학습자를 기대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문제 제기 및 연구의 목적 1 B. 선행 연구 검토 4 1. 국내 비판적 문식성 연구 4 2. 국외 비판적 문식성 연구 7 3. 수업 참여 관찰과 질적 연구 8 C. 연구 내용 및 방법 9 II. 비판적 문식성의 이론적 배경 11 A. 비판적 문식성의 개념과 본질 11 1. 비판적 문식성과 사회·문화적 관점 11 2. 비판적 의미 구성 14 3. 학습자의 주체성 18 B. 비판적 사고 교육과 방법 20 1. 비판적 사고와 태도 20 2. 대화적 학습과 탐구 기반 학습 26 III. 비판적 문식성 교육의 실제 및 문제점 30 A. 수업 참여 관찰의 맥락 30 1. 수업 참여 관찰의 초점 30 2. 교사의 비판적 문식성 인식과 수업 맥락 32 B. 교사와 학생의 비판적 문식성 사건 양상 35 1. 텍스트 장르와 맥락의 관계 설정 35 2. 학습 활동과 비판적 의미 구성 경험 38 3. 잠재된 비판적 문식성 50 C. 문제점과 대안 모색 53 1. 교수·학습 내용의 문제 53 2. 교수·학습 과정의 문제 57 3. 비판적 문식성 신장을 위한 대안 모색 61 IV. 다치적 탐구 중심 비판적 문식성 교육 방안 64 A. 다치적 탐구 중심 비판적 문식성 교육 설계 64 1. 비판적 문식성 교육의 목표 64 2. 다치적 탐구 중심 비판적 문식성 교육의 원리 65 B. 다치적 탐구 중심 비판적 문식성 교육 모형 71 1. 다치적 관점의 비판적 의미 구성 전략 71 2. 협력적 탐구 학습의 과정 74 3. 다치적 탐구 학습의 모형과 실제 77 V. 결론 및 제언 82 A. 결론 81 B. 제언 84 참 고 문 헌 85 부 록 93 Abstract 9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7776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400-
dc.title다치적 탐구 중심 비판적 문식성 교육 방안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Multiple Inquiry-Based Teaching-Learning Model of Critical Literacy Education-
dc.creator.othernameRyu, Su-kyeong-
dc.format.pagevii, 9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어교육학과-
dc.date.awarded201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