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혜원-
dc.contributor.author양정은-
dc.creator양정은-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17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17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7683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478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6837-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measure of therapeutic approach for depressed and anxiety youths who experience difficulties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 by examining mediate effects of emotional clarification for depress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mediate effects of emotional clarification for anxiet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To verify them, the survey including CES-D (The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Depression), RCMAS (Revised Child Manifest Anxiety Scale), TTMS (Trait Meta-Mood Scale), Relationship Change Scale and demographic questions for 339 first graders of some female high school located in Jeonju-si. The collected materials were verified by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by the procedure suggested bu Baron and Kenny (1986) so as to examine mediate effects of emotional clarific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satisfaction·depress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satisfaction. Through this research, main results could be obtained as follows. The first, while depression made an effect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satisfaction, emotional clarification showed mediate effects partially. Depression made a negative effect on emotional clarification and emotional clarification was the reason for interpersonal relationship dissatisfaction, so they supported results of precedent researches. Emotional clarity which is a sub-factor of emotional clarification showed mediate effects partially while depression made an effect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satisfaction. Depression made a negative effect on emotional clarity and furthermore, it was a reason for interpersonal relationship dissatisfaction, so the results were same as the results of precedent researches. Emotional attention which is a sub-factor of emotional clarification showed mediate effects partially while depression made an effect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satisfaction. Depression made a positive effect on emotional attention and it was a reason for interpersonal relationship dissatisfaction, so the results supported the results of precedent researches that female pay more attention to emotion as they depressed. The second, emotional clarification showed mediate effects partially while anxiety made a effect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satisfaction. Anxiety made a negative effect on emotional clarification and emotional clarification was a reason for interpersonal relationship dissatisfaction, so they supported the results of precedent researches. Emotional clarity which is sub-factor of emotional clarification showed mediate effects partially while anxiety made an effect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satisfaction. Anxiety made a negative effect on emotional clarity and it was a reason for interpersonal relationship difficulties, so they were same as the results of precedent researches. On the other hand, emotional attention which is a sub-factor of emotional clarification didn't show any mediate effect on anxiet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satisfaction. It's the result which shows characteristics of anxiety intending avoid emotional experiences without any attention. This research showed that emotional clarification is a variable which mediating between depress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satisfaction, anxiet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satisfaction. It means that therapeutic intervention which improves emotional clarification is necessary for improving good interpersonal relationship of youths who are depressed or anxiety. For the limitations, the subject of this research was just students in female high school located in particular region, it was conducted by cross-sectional study and self-reporting scale was used.;본 연구는 우울과 대인관계만족에 대한 정서인식명확성의 매개효과, 불안과 대인관계만족에 대한 정서인식명확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봄으로써 대인관계에 어려움을 겪는 우울·불안 청소년을 위한 치료적 접근에 대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전주시 소재의 한 여자 고등학교 1학년 학생 339명을 연구대상으로 우울척도(CES-D: The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Depression), 불안척도(RCMAS: Revised Child Manifest Anxiety Scale), 정서인식명확성척도(TTMS : Trait Meta-Mood Scale), 대인관계만족도 척도(Relationship Change Scale) 및 인구통계학적 질문을 포함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들은 빈도분석, 기술 통계 분석, 상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으며, 우울과 대인관계만족 · 불안과 대인관계만족의 관계에서 정서인식명확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Baron과 Kenny(1986)가 제시한 절차에 따른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를 통해 얻은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우울이 대인관계만족에 영향을 미치는데 정서인식명확성이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우울은 정서인식명확성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정서인식명확성은 대인관계 불만족으로 이어지는 원인이 되는 것으로 나타나 선행 연구 결과를 지지하였다. 정서인식명확성의 하위요인인 정서 명료성 역시 우울이 대인관계만족에 영향을 미치는데 부분매개작용을 하였다. 우울은 정서 명료성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나아가 대인관계 불만족의 원인이 되는 것으로 선행 연구 결과와 일치하였다. 정서인식명확성의 하위요인인 정서 주의도 우울이 대인관계만족에 영향을 미치는데 부분매개작용을 하였다. 우울은 정서 주의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대인관계 불만족의 원인으로 우울할수록 정서에 주의를 많이 기울인다는 선행 연구 결과를 지지하였다. 둘째, 불안이 대인관계만족에 영향을 미치는데 정서인식명확성이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불안은 정서인식명확성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정서인식명확성은 대인관계 불만족으로 이어지는 원인이 되는 것으로 나타나 선행 연구 결과를 지지하였다. 정서인식명확성의 하위요인인 정서 명료성 역시 불안이 대인관계만족에 영향을 미치는데 부분매개작용을 하였다. 이는 불안이 정서 명료성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며 대인관계어려움의 원인이 되는 것으로 선행 연구 결과와 일치하였다. 반면 정서인식명확성의 하위요인인 정서 주의는 불안과 대인관계만족에 대해 매개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는 정서경험에 주의를 기울이지 않고 회피하려는 불안의 특성을 나타내는 결과이다. 본 연구를 통해 정서인식명확성이 우울과 대인관계만족, 불안과 대인관계만족을 매개하는 변인이라는 점이 밝혀졌다. 이는 우울하거나 불안한 청소년의 원활한 대인관계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정서인식명확성을 향상시키는 치료적 개입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제한점으로는 본 연구의 대상자가 특정 지역의 특정 여자 고등학교의 학생만으로 한정되었으며 횡단연구로 진행되었고 자기보고식 척도를 사용하였다는 점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연구목적 1 B. 연구문제 4 II. 이론적 배경 5 A. 우울 5 B. 불안 9 C. 정서인식명확성 13 D. 대인관계만족 18 III. 연구방법 20 A. 연구대상 20 B. 측정도구 21 C. 분석방법 23 Ⅳ. 연구결과 25 A. 기술통계 검증 25 B. 우울, 불안, 대인관계만족, 정서인식명확성의 관계 26 C. 우울과 대인관계만족에 대한 정서인식명확성의 매개효과 28 D. 불안과 대인관계만족에 대한 정서인식명확성의 매개효과 31 Ⅴ. 결론 34 A. 요약 및 논의 34 B. 연구의 의의 및 제언 39 참고문헌 41 부록 59 Abstract 6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4636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100-
dc.title여고생의 우울·불안과 대인관계만족에 대한 정서인식명확성의 매개효과-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Mediating Effects of Emotional Clarification in the Relation between Depression/Anxiet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Satisfaction of female high school students-
dc.creator.othernameYang, Jung-Eun-
dc.format.pagevii, 6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dc.date.awarded2013.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