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0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한유경-
dc.contributor.author신정은-
dc.creator신정은-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16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16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7656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478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6566-
dc.description.abstract인권은 인간이 가져야 하는 당연한 권리를 표현한 것으로 일상적인 관심을 뛰어 넘어 중요한 삶의 조건으로 이야기 되고 있다. 더구나 다문화 시대의 현대 사회에서 다양한 문화와 가치가 공존하며 서로의 인권을 존중하며 살아가기 위해서는 인권교육을 통한 바람직한 인권의식 형성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고등학생 인권의식의 구성요소를 실증적으로 조사하여 확인하고, 고등학생의 인권의식 수준 차이를 분석하여 고등학생의 균형적인 인권의식 함양을 위한 인권교육의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인권의식 실태와 인권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라는 두 가지 관점에서 논의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조사는 서울 잠실지역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고등학생 28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 중에서 분석에 적합한 268명의 설문응답에 대하여 기술통계(descriptive statistics), 신뢰도 검증(reliability analysis), T-검정(T-test),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고등학생의 인권의식 실태와 인권의식 수준 차이에 대한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전반적인 고등학생의 인권의식은 인권판단력과 인권감수성은 높은 관망형과 인권판단력만 높은 무감각형에 가깝다고 볼 수 있다. 인권판단력 영역에서 인권과 관련된 지식과 인권의 옳음에 대한 신념이 높은 편이며, 인권감수성 영역의 사례 속 인물에 대한 공감과 사례에 대한 응답자의 정서는 중간정도 수준을 보인다. 인권행동의사 영역은 인권판단력과 인권감수성 영역보다 상대적으로 평균이 낮게 나타나고, 특히 집단적 차원의 행동의사는 가장 낮은 평균을 보인다. 학생들은 인권과 관련하여 적극적으로 옹호하는 행동을 보이려는 의지가 높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고등학생의 인권의식 수준 차이를 살펴보면,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높고, 2학년보다 1학년이 높은 것으로 나타난다. 그리고 부모의 양육태도와 교실문화에 따라 인권판단력, 인권감수성, 인권행동의사 등 세 영역에서 모두 차이가 나타난다. 가정에서 부모의 민주적 태도와 학교에서 교사가 학생들을 대하는 태도에 따라 학생들의 인권의식 수준 차이가 크게 난다고 볼 수 있다. 자아존중감에 따라서도 인권감수성이 차이가 나는데, 자신을 신뢰하고 존중할수록 타인의 인권침해에 대한 공감과 정서적 반응이 증가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고등학생의 균형 있는 인권의식 함양을 위해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균형 있는 인권의식 함양을 위해서 인권판단력, 인권감수성, 인권행동의사를 포함하는 체계적인 인권교육 교육과정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각 교과목에서 기능, 가치‧태도, 실천과 참여 등 균형 있는 인권교육 내용을 포함하도록 하여야 한다. 둘째, 학부모와 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통합적인 인권교육 가이드라인 개발이 필요하다. 부모의 민주적 양육태도와 교사의 민주적 지도태도가 고등학생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공유하고 고등학생들의 인권판단력과 인권감수성 발달과 더불어 실생활에서 실천하는 인권행동의사까지 함양할 수 있도록 부모와 교사를 대상으로 가이드라인을 제공해야 한다. 셋째, 실생활에 밀접한 인권교육 사례 개발을 통해 학교 인권교육의 유용성이 증대되어야 한다. 일상에서 경험할 수 있는 구체적이고 다양한 인권 침해 사례를 통해 인권에 대한 올바른 가치관을 형성하는 인권교육을 제공해야 할 것이다.;Human right, which expresses the fair right of people, is defined as an important life condition over the ordinary interest. Moreover, various culture and value are coexisted in a modern society of multicultural age, and a desirable consciousness of human right is required to have mutual respect of human right and to live together. This research intended to make a practical inquire and identification of components of high school students' awareness of human rights, to analyze any effect upon high school students' awareness of human rights, and to find the implications of address of human rights education for fostering teenager's balanced awareness of human rights. This research was discussed at two points of view of the actual awareness of human rights and its effect upon awareness of human rights. The practical inquiry of this research was targeted to 280 students from Seoul Jamsil high schools. The question answers of 268 students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findings of the actual awareness of high school students' human rights and its effect upon the awareness of human rights are as following: First, high school students' awareness of human rights appears to be close to watching type with high judgment and sensitivity of human rights and insensible type with high judgment of human rights. In general, for a judgment of human rights a knowledge related to human rights and a conviction of fairness of human rights tend to be high, and sympathy of case character in sensitivity to human rights and respondent's emotion of case appear to be at the intermediate level. A human rights behavior & will had relatively lower average than human rights judgment and sensitivity, specially collective behavior and will had the lowest average. Students do not have the high will to show an active support in relation to human rights. Next, observing effect upon teenager's awareness of human rights, parents' rearing attitude and classroom culture appear to have effect upon all human rights judgment, sensitivity and behavior & will. Parents' democratic attitude at home and school teachers' attitude teaching students appear to have an important effect upon students' awareness of human rights. Also, educational experience of human rights have effect upon human rights judgment and sensitivity. It means that human rights education is made from knowledge communication and sympathy. Finally, self esteem have effect upon human rights sensitivity. It shows that having more self esteem and respect the more sympathy and emotional reaction against other's violation of human rights. Based on this research, for fostering the balanced awareness of teenager's human rights, the following suggestion will be given. First, for fostering the balanced awareness of human righ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ystematic curriculum of human rights including human rights judgment, sensitivity and behavior & will. Also, every subject should be included the balanced contents of human rights education such as function, value‧attitude, practice and participation. Seco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integrated guideline of human rights education for parents and teachers. It is necessary to share the effect of parents' democratic rearing attitude and teachers' democratic leading attitude upon teenagers, and to provide parents and teachers with guideline so they teenagers could develop human rights judgment and sensitivity and foster the human rights behavior & will practiced in a real life. Third,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y case of human rights education related to a real life and to increase the usability of school's human rights education. It should be provided by the detailed and various cases of human rights violation experienced in an ordinary life human rights education that forms the correct value of human right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B. 연구 문제 3 C. 연구 방법과 제한점 3 Ⅱ. 이론적 배경 4 A. 인권의 의미와 개념 4 B. 인권교육 13 C. 인권의식 20 D. 선행연구 분석 26 Ⅲ. 연구방법 28 A. 연구가설 28 B. 조사대상 28 C. 설문지의 구성 및 신뢰도 분석 30 D. 분석방법 32 Ⅳ. 연구결과 34 A. 인권의식의 전반적 실태 34 1. 인권판단력 34 2. 인권감수성 36 3. 인권행동의사 37 B. 인권의식 수준 차이 분석 결과 39 1. 학년에 따른 인권의식 수준 차이 39 2. 성별에 따른 인권의식 수준 차이 40 3. 자아존중감에 따른 인권의식 수준차이 40 4. 부모의 양육태도에 따른 인권의식 수준 차이 42 5. 교실문화에 따른 인권의식 수준 차이 44 6. 인권교육 경험에 따른 인권의식 수준 차이 47 Ⅴ. 요약 및 결론 48 A. 요약 및 논의 48 B. 제언 49 참고문헌 52 부록 55 ABSTRACT 6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4846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고등학생의 인권의식 수준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 of Youth's Human Rights Consciousness-
dc.creator.othernameShin, Jeong Eun-
dc.format.pageviii, 6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행정전공-
dc.date.awarded2013.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행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