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7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임동선-
dc.contributor.author이하나-
dc.creator이하나-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16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16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8038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477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0387-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tory composition(the percent of proposition recall, the number of complete episode composition, the rate of story grammar) and syntax expression(the number of C-unit, MLC-w, the number of clause expression). Participants were 30 school-age children aged from 6;0 to 12;11 composed of children with high functioning autism(n=15) and typically developing age matched children(n=15). Story retelling tasks were ‘The mole & TV’ and ‘The mole & gardner’ Story(Lee, 2008). All children listened to the story from both types (robot vs. PC) and participants were semi-randomly assigned. The child was instructed to listen to the story and to retell the story. Two way-mixed measures ANOVA was used to investigate the group difference in the narratitve assessment tool(robot vs PC).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For the syntax expression of the number of C-unit, there was no siginificant main effect between groups. But there was significant greater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robot than PC, indicating that HFA children showed differentially higher performance in robot than control group compared to the PC. For the syntax expression of MLC-w and the number of clause expression, there were siginificant main effect between group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the narratitve assessment tool(robot vs PC). (2) For the story composition(the percent of proposition recall, the number of complete episode composition), there were significant main effect between groups. There were also significant main effect between the narratitve assessment tool(robot vs PC). There were significant greater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robot than PC. For the story composition in the rate of story grammar ‘setting’ and ‘internal respons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the groups and the narratitve assessment tool(robot vs PC). But for the story composition in the rate of story grammar(initiation response, attempt, direct consequence), there were significant greater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in robot than PC. These results imply that HFA children less dependent on the narrative assessment tool(robot vs PC) in syntax expression(MLC-w, the number of clause expression). However, HFA children showed higher performance in robot than PC in story length and story composition. In light of this research, robot could be utilized in clinical setting. Also robot may potential assessment and therapeutic tools.;IT기술의 발달로 현대의 의사소통장애 아동들은 다양한 미디어 매체에 노출되어 있다. 자폐아동들에 대한 의사소통중재방법도 스마트 매체를 활용하여 다양해지고 있다. 특히, 로봇기술의 발달로 멀티미디어 기능을 가진 지능형 교육로봇들이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에 보급되고 있는 실정이다. 언어병리학, 특수교육 등에서도 자폐아동들을 대상으로 다양한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중재방법은 다양한 자극과 구조화된 환경을 쉽게 제공해줄 수 있다는 장점이 부각되고 있다. 현재 컴퓨터를 활용한 자폐범주성 장애 아동의 평가와 중재에 관한 연구들은 있지만 읽기와 어휘습득에 관한 연구가 많이 있지만 실제 아동의 언어능력을 평가 할 때 구문적인 능력과 하나의 주제를 유지하고 표현해야하는 담화상황에서의 이야기 평가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로봇과 PC를 통하여 이야기를 들려주고 일반아동과 비교하여 고기능자폐 아동의 구문능력과 이야기 능력의 특성을 살펴보고, 로봇과 PC가 이야기를 들려주었을 때 고기능자폐 아동과 일반 아동이 자극제시 매체에 따라 구문능력과 이야기 구성력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고찰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아동은 만 6세~만12세의 고기능자폐 아동 15명, 일반 아동 15명, 총 30명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기능 자폐아동과 일반아동은 이야기 평가매체에 따라 구문표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C-unit 수를 분석한 결과,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로봇과 PC 매체 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고기능자폐 아동 및 일반 아동 집단과 이야기평가 매체에 관한 이원상호작용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즉, 고기능자폐아동의 자극제시 매체 간 차이가 일반 아동의 자극제시 매체 간 차이보다 유의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다. 구문복잡성(C-unit 당 평균낱말길이)을 분석한 결과,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즉, 일반 아동의 C-unit 당 평균낱말길이(MLC-w)는 고기능자폐 아동보다 길었다. 하지만 로봇과 PC에 따라 구문복잡성(C-unit 당 평균낱말길이)의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또한, 집단과 이야기평가 매체인 로봇과 PC에 관한 상호작용도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야기에서 사용된 총 종속절 수를 분석한 결과,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로봇과 PC에 따라 총 종속절 수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집단과 스마트 미디어 매체인 로봇과 PC에 관한 상호작용도 유의미한 차이가 나지 않았다. 둘째, 고기능 자폐아동과 일반아동은 이야기 평가매체에 따라 이야기 구성력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명제회상율에 대한 집단 간 주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아동의 명제회상율이 고기능자폐 아동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이야기 평가 매체에 대한 주효과도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로봇이 아동에게 이야기를 들려주었을 때 명제회상율이 PC보다 더 높았다. 또한, 이야기 평가 매체와 집단에 관한 이원상호작용도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즉, 고기능자폐아동의 이야기평가 매체 간 차이가 일반 아동의 평가 매체 간 차이보다 유의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다. 완전한 일화 수를 분석한 결과, 고기능자폐 아동 및 일반 아동 집단 간 주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일반 아동의 완전한 일화 수에 대한 평균은 고기능자폐 아동의 평균보다 통계적으로 높았다. 이야기 평가 매체에 따른 주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는 로봇이 이야기를 들려줄 때가 PC에서 이야기를 들려줄 때보다 아동이 산출한 완전한 일화 수에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이야기 평가 매체와 집단에 관한 이원상호작용도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즉, 고기능자폐아동의 이야기 평가 매체 간 차이가 일반 아동의 이야기 평가 매체 간 차이보다 유의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야기 평가 매체에 따라 산출한 문법범주 별 사용율을 분석한 결과, ‘배경’, ‘내적반응’은 집단 간 주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며 이야기 평가 매체에 따른 주효과도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이야기 평가 매체와 집단에 관한 이원상호작용도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하지만 문법범주 중 ‘사건’, ‘시도’, ‘결과’ 사용율을 분석한 결과, 고기능자폐 아동 및 일반 아동 집단 간 주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야기 평가 매체에 따른 주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이야기 평가 매체와 집단에 관한 이원상호작용도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즉, 고기능자폐 아동의 이야기 평가 매체 간 차이가 일반 아동의 이야기 평가 매체 간 차이보다 유의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본 연구에서 고기능자폐 아동 및 일반아동의 이야기평가 매체인 로봇과 PC에 따른 이야기 다시 말하기 양상을 비교 분석한 결과, 구문표현능력에 대한 본 연구의 결과는 권유진(2010)의 결과와 일치하였다. 이야기 전체길이는 일반아동과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나 양적으로 유창한 발화를 산출하였으나 질적인 면으로 해석할 수 있는 구문 복잡성측면에서는 일반아동에 비해 복잡한 구문을 사용하지 않았으며 이는 PC와 로봇 매체 간에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양상은 고기능자폐아동의 언어적 결함의 질은 신경생물학적인 특징(Goldstein, Minshew, & Siegel, 1995)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야기 구성력을 분석한 결과, 고기능자폐아동과 일반아동의 이야기 구성력의 차이는 회상 산출하는 기억력과 주의집중력의 저하로 해석할 수 있다. 하지만 이야기 평가 매체인 로봇으로 이야기를 들려주었을 때 고기능자폐 아동은 PC로 이야기를 들려주었을 때보다 이야기 구성력의 수행도가 높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로봇매체가 의사소통기술을 촉진하는데 재미있고 촉각적인 호기심을 자극하며, 평가와 치료적인 도구로 잠재성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Robins et al., 2004; Scassellati, 2005).-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3 C. 용어정의 4 Ⅱ. 이론적 배경 6 A. 고기능자폐 아동의 진단기준 6 B. 고기능자폐 아동의 언어적 특징 7 C. 자폐 범주성아동의 언어중재와 보조공학 10 D. 자극제시 매체 비교에 관한 선행연구 16 Ⅲ. 연구 방법 19 A. 연구대상 19 B. 실험환경 20 C. 연구도구 21 D. 연구절차 24 E. 자료분석 35 F. 자료의 통계적 처리 39 G. 신뢰도 40 Ⅳ. 연구 결과 41 A. 고기능자폐 및 일반 아동의 이야기평가 매체(Robot vs PC)에 따른 구문표현능력 41 B. 고기능자폐 및 일반 아동의 이야기평가 매체(Robot vs PC)에 따른 이야기 구성력 48 Ⅴ. 결론 및 논의 66 A. 고기능자폐 및 일반 아동의 이야기평가 매체(Robot vs PC)에 따른 구문표현능력 66 B. 고기능자폐 및 일반 아동의 이야기평가 매체(Robot vs PC)에 따른 이야기 구성력 69 C.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74 참고문헌 75 부록 92 Abstract 10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1491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000-
dc.title지능형 로봇을 활용한 고기능자폐아동의 이야기 다시 말하기 양상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Story-retelling Performance for Children with High-functioning Autism via Intelligent Robot-
dc.creator.othernameLee, Ha Na-
dc.format.pagexii, 10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언어병리학과-
dc.date.awarded2013.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