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8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소연-
dc.contributor.author박유진-
dc.creator박유진-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15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15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8045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477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0455-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specific measure to include some classical novels in textbooks for literacy improvement of classical novels in learner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divided factors constituting textbooks with classical novels into main texts (subject materials or works) and secondary texts (words, notes, and various references) to explore ways to include the two categories in textbooks. That is to say, by discussing primary texts along with supporting texts, which were overlooked in the existing textbook studies on classical novels, this study tried to discuss general matters in the dimension of textbook that should be provided so as to help learners reach true appreciation. This study presupposes that the spatiotemporal distance between classical novels and modern learners does not get closer even if only teaching methods and contents of activities have been changes without modification of textbook themselves. In addition, reflecting on the limitations in the existing education of classical novels, this study analyzes aspects of textbooks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Story of Hong Gil-dong(홍길동전) and A Dream of Nine Clouds(구운몽) in the existing Korean language textbooks to come up with a measure to include classical novels in textbooks based on that analysis. For this, chapter II tries to re-establish the core concepts for this study, ‘classical novel literacy’ and ‘Korean language textbooks, in the meanings to use in this study on the basis of the existing studies on them. Section A, first of all, tries to define and categorize the meaning of ‘literacy’that has been used in work on the education of classical literature into a novel concept to be used in this study. The definition of ‘classical novel literacy’ made in this study is, in a phrase, the ‘ability to deal with classical novels,’which can be categorized into the five categories of functional literacy, generic literacy, cultural literacy, critical literacy, and independent literacy. Next, section B takes a look at the closed and open views of Korean languages textbooks while comparing them, then discusses how a Korean language textbook should be composed from the open view, and suggests having an integrative and systematic view in composing a textbook with classical novels. In addition, section B also suggests that the factors to consider in the composition of a textbook with classical novels from this view be oriented toward reducing the presupposed amount of burdens required in the course of learners’reception of classical novels. The five factors for inclusion needed in this course are synopsis presentation, educational translation, linguistic context, context of production subjects, and socio-cultural context, which are used as frameworks for this study’s analysis of the textbooks while they are textbook factors for classical novels. Chapter III examines the aspects of the diachronic changes in The Story of Hong Gil-dong(홍길동전) and A Dream of Nine Clouds(구운몽), which represent the contents of textbooks in the 7th and 10th grades, and then compares and analyzes various aspects of Korean language textbook publications by individual publishers in accordance with the 2007 Revised Curriculum. Diachronically, The Story of Hong Gil-dong(홍길동전) is examined against its changes from the First to Seventh Curricula, and A Dream of Nine Clouds in the Fourth, Sixth, and Seventh Curricula. Synchronically, this study considers factors for inclusion of classical novels with the Korean language textbooks generally divided into main and supporting texts in the 2007 Revised Curriculum. In chapter IV, opinions were collected from 7 teachers in order to design a measure to include classical novels for their literacy improvement, and then the Type A test sheet that reflects the factors for inclusion of classical novels and the Type B test sheet that does not were developed. With these test sheets, two sessions of evaluation were attended by 25 seventh graders and 25 10th graders respectively. As a result of the tests, we can tell first, the role of teachers who use the textbooks is important as middle school students are not used to using the textbooks; second, efforts should be made to enhance interestingness in selecting classical novels and their scenes as learners have been shown to feel interested in content matters rather than formal matters of classical novels; third, an appropriate amount of supporting texts should be provided. In the case of the high school students, we can tell first, that they are more familiar with using textbooks than their middle school counterparts and hence show great effectiveness on the factors of inclusion of classical novels; second, interestingness is needed to be enhanced on the formal side of classical novel inclusion; third, substantial supporting texts should be provided that are helpful in understanding main texts.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the examinations, section C proposes a measure to include classical novel texts. First of all, there are four inclusion methods that should be applied in common to middle and high school textbooks: first, formation of holistic semantic networks based on presentation of synopses on the side of unity; second, formation of micro semantic networks in terms of educational translation on the side of coherence; third, formation of networks for semantic understanding in terms of lexical contextual information; and fourth, formation of shared networks in terms of contexts of production subjects, and socio-cultural contexts. In addition, the key to the measure to include classical novels in middle school textbooks is the ‘continuation of interest in classical novels,’which on the side of main texts, first, involves the selection of intellectual curiosity stimulating works and scenes, and second, the minimization of parallel notations of Chinese letters and their replacement with lexical annotations. On the side of supporting texts, a promising method is to reduce their amount and replace them teachers’ account. The key to the measure to include classical novels in high school textbooks is the ‘self-directed use of supporting texts.’The high school students had lower dependence on their teachers and higher ability to use supporting texts on their own than their middle school counterparts. As such ability is also necessary for appreciating texts of classical novels when they are adults, focus should be put on that point when classical novel texts are included in high school textbooks. supporting texts contain lexical annotations, and information of writers, and of socio-cultural backgrounds, for which some substantial and helpful information should be provided. Here, teachers should avoid the existing exegetic way of explanation, but use supporting texts to account for and exemplify ways of understanding and appreciating main text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s an integrative and systematic framework for textbook analysis by subsuming work-internal parts (main texts) and work-external parts (supporting texts) to suggest a measure to include classical novels. It is thus expected that the study contributes itself to increasing the extension of work on measures to include classical novels in textbooks, and that the framework of textbook analysis provided by this study will be helpful to the analysis of textbooks with classical novels. Moreover, it is also hoped that such recognition leads authors of Korean language textbooks to engage with their practical work so that educational practice can be supported by textbooks with classical novels that significantly lead learners engaged in literary life. Keywords: classical novel literacy, textbook inclusion, main texts, supporting texts, context, educational translation, synopsis presentation, lexical annotation, writer information, socio-cultural background, classical novel text, The Story of Hong Gil-dong(홍길동전), A Dream on Nine Clouds(구운몽), textbook evaluation, open view of textbooks, literary life, functional literacy, generic literacy, cultural literacy, critical literacy, independent literacy, classic literacy;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자의 고전소설 문식성을 신장하기 위한 구체적인 고전소설 교재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고전소설 교과서를 구성하는 요인인 주 텍스트(제재 혹은 작품)과 보조 텍스트(어휘 주석 및 각종 참고 자료) 각각의 교재화 방안을 살펴 보려 한다. 즉, 기존의 고전소설 교과서 연구에서 소홀히 여겼던 보조 텍스트와 함께 주 텍스트를 논의함으로써 학습자가 진정한 감상에 도달할 수 있도록 마련되어야 할 교과서 차원의 제반 사항에 대해 논의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고에서는 교과서 자체가 변하지 않고 교수 방법과 활동내용만 변한다고해서 고전소설과 현대 학습자의 시공간적 거리감이 좁혀지지 않는다는 입장을 전제로 한다. 그리고 이러한 기존 고전소설교육의 한계점을 반성하고 기존 국어교과서의 <홍길동전>과 <구운몽>을 중심으로 교과서 양상을 분석하여 이 분석을 토대로 고전소설 교재화의 방안에 대한 제안을 하고자 한다. 그러기 위해서 Ⅱ장에서는 본고의 핵심적인 개념인 ‘고전소설 문식성’과 ‘국어 교과서’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토대로 본고에서 사용할 의미로 재정립하고자 했다. 먼저 A절에서는 문식성(文識性 ; literacy)의 일반적 의미를 선행연구들을 통해 정리했다. 그리고 이들 중 고전소설에 적용할 수 있는 부분을 수용하여 본고에서 사용할 의미로서 ‘고전소설 문식성’을 ‘고전소설을 운용하는 능력’으로 정의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고전소설 문식성’은 기능적 문식성(functional literacy), 장르적 문식성(genreic literacy), 문화적 문식성(cultural literacy), 비판적 문식성(critical literacy), 자발적 문식성(independent literacy)의 다섯 가지로 범주화할 수 있다고 보았다. 다음으로 B절에서는 국어교과서란 무엇이고 국어교과서를 어떤 관점에서 보아야 하는지를 논의하고 고전소설 교과서 구성에서 가져야 할 관점과 교과서 분석의 틀이자 고전소설 교과서 수록의 요인을 설정했다. 먼저, 국어 교과서를 보는 닫힌 교과서관과 열린 교과서관의 비교를 통해 각각을 살펴 본 다음, 열린 교과서관의 관점에서 첫째, 학습자 중심으로 교과서를 구성할 것, 둘째, 수업으로 얻은 지식이 삶의 태도로 전이성을 갖도록 할 것, 셋째, 다양해진 교과서 시장에서 수요자인 학습자와 교수자의 자율적인 선택권을 부여할 것을 제안했다. 여기서 두 번째 삶의 태도로의 전이성은 문학생활화와 관련이 깊다. 이는 고전소설 교과서에 흥미가 있어야 가능하며 이러한 흥미는 활동으로 나아가게 하는 추진력을 갖게 한다. 이 추진력이 곧 ‘동기(motivation)’이며 삶에서 고전소설을 지속적으로 찾아 읽는 문학생활화를 가능하게 한다. 본고는 현재 학습자들이 고전소설 텍스트에 흥미가 없는 것은 고전소설 교재화 방식에도 문제가 있다고 보고 문학생활화를 가능하게끔 고전소설 교재화 방안을 논의해 보고자 하였다. 다음으로 고전소설 교과서를 구성할 때 고려해야 할 수록 요인을 학습자들의 고전소설 수용 과정에 필요한 요인으로부터 추출하였다. 일반적으로 학습자들이 고전소설을 수용할 때 (1) 텍스트에 관한 서지적(書誌的) 이해, (2) 텍스트 언어의 해독, (3) 갈래적 관습․장치․특성의 이해, (4) 작품과 관련된 사회적․문화적 요인, 환경 및 작자에 관한 이해, (5) 작품에 대한 느낌, 심미적 반응의 형성, (6) 작품 해석, (7) 작품에 대한 소감, 평가의 과정을 거친다. 고전소설의 경우 학습자들이 (5)~(7)의 단계에 이르기도 전에 (1)~(4)의 과정 중에 감상을 포기하고 만다. 따라서 학습자의 전제적 요구량을 줄여주기 위해 (1)~(4)의 과정을 고전소설 교과서에 반영하고자 하였다. 이 과정에서 필요한 수록 요인이 줄거리 제시, 교육적 번역, 언어 맥락, 생산 주체 맥락, 사회․문화적 맥락의 다섯 가지로 이 요인은 고전소설 교과서의 요인이면서 동시에 본고의 교과서 분석의 틀로 활용되었다. 그리고 이 요인들과 문식성의 상관성을 가설로 삼아 이후 Ⅳ장에서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한 평가를 통해 이 가설을 검증하였다. Ⅲ장에서는 중학교 1학년, 고등학교 1학년을 대표하는 <홍길동전>과 <구운몽>을 대상으로 하여 통시적으로 변화 양상을 살피고 이후 2007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국어교과서의 출판사별 다양한 교재화 양상을 비교 분석하였다. <홍길동전>의 경우 1차부터 7차까지 꾸준히 국어 교과서에 수록되어 왔던 제재로서 다음 세 가지의 특징을 보였다. 첫째, 고등학교에서 중학교로 학년 위계화의 조정이 이루어져 왔고 둘째, 주 텍스트의 경우 점차 현대어화와 양의 적절화의 조정이 이루어져 왔으며 셋째, 보조 텍스트의 경우 학습자의 인지적 부담과 정보량의 조정이 이루어져 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구운몽>의 경우는 학년의 이동은 일어나지 않고 꾸준히 고등학교 1학년 국어 교과서에 수록되었지만 주 텍스트의 경우 점차 현대어화와 줄거리 제시, 문단 구획에서 정돈된 모습을 갖추어 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보조 텍스트의 경우 학습자의 인지적 부담과 정보량의 조정이 이루어져 오면서 학습자를 배려하는 양상도 확인할 수 있었다. B절과 C절에서는 <홍길동전>과 <구운몽>을 Ⅱ장에서 설정한 고전소설 교과서 분석의 틀을 기준으로 출판사별 양상을 살펴 보았다. 주 텍스트의 경우 <홍길동전>은 줄거리 제시 방식에 있어 다양하게 시도하고 있지만 줄거리 표시 부재로 인한 고전소설에 대한 오해 초래, 줄거리 누락으로 인한 비약적 서사 전개, 인과관계의 비약 등의 문제도 있음을 보았다. 교육적 번역에 있어서는 호칭의 통일과 어휘 주석 정보의 보완, 윤색을 통한 작품 몰입도와 이해 증진, 주석 제공을 통해 응집성 강화의 모습 등을 볼 수 있었다. <구운몽>은 첫째, 줄거리에 사용된 어휘가 어려워 주 텍스트를 이해하기 위한 줄거리 본연의 역할에 충실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둘째, 7차 교육과정의 국어 교과서와 같은 역주본을 사용하는 교과서가 대부분이었는데 기존의 역주본을 사용하더라도 최신의 개정판을 사용하거나 집필진이 다시 학습자 수준에 맞게 현대어화하는 작업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보조 텍스트의 경우 언어맥락 차원에서 한자 풀이 정보 제공, 주석 대상 어휘와 설명 내용의 양상을 살폈다. 그리고 생산 주체 맥락 차원에서 작가 정보 제시 상황을 사회·문화적 맥락 차원에서 사회문화적 배경과 사상에 관한 양상을 살폈다. 그 결과 <홍길동전>이 <구운몽>에 비해 다양한 방식으로 다채로운 정보를 수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Ⅳ장에서는 고전소설 문식성 신장을 위한 고전소설 교재화 방안을 설계하기 위해 교사 7인의 의견을 수렴하여 고전소설 교과서 수록 요인을 반영한 A형 평가지와 그렇지 않은 B형 평가지를 개발하였다. 이 평가지를 가지고 1학년 25명과 고등학교 1학년 25명을 대상으로 2회에 걸친 평가를 실시했다. 평가 결과 중학생의 경우 첫째, 중학생들이 교과서 활용 방법이 미숙하여 교과서를 사용하는 교사의 역할이 중요하는 것, 둘째, 고전소설의 흥미를 형식적 측면보다 내용적 측면에 더 많이 받는 것으로 보아 고전소설 작품과 장면 선정에서 흥미를 강화하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 셋째, 보조 텍스트의 양을 적정량으로 제공해 주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고등학생의 경우 첫째, 중학생에 비해 교과서 활용에 능숙하여 고전소설 교과서 수록 요인에 큰 효과성을 보인다는 것, 둘째, 고전소설수록의 형식적인 측면에서 흥미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는 것, 셋째, 주 텍스트 이해에 도움이 되는 실제적인 보조 텍스트를 제공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검사 결과를 토대로 C절에서는 고전소설 텍스트 수록 방안을 제안하였다. 먼저, 중학교와 고등학교에 공통적으로 적용해야 하는 네 가지 수록 방안에는 첫째, 통일성 측면에서 줄거리 제공을 통한 전체적 의미 구조망 형성, 둘째, 응집성 측면에서 교육적 번역을 통한 미시적 의미 연결망 형성, 정보성 상호텍스트성 측면에서 셋째, 어휘 맥락 정보를 통한 의미 이해망 형성, 넷째, 생산 주체·사회·문화적 맥락을 통한 공유망 형성이 있다. 그리고 중학교 고전소설 교재화 방안의 핵심은 ‘고전소설에 대한 흥미의 지속’으로서 주 텍스트 측면에서 첫째, 지적 호기심을 자극할만한 작품과 장면의 선정, 둘째, 한자병기의 최소화와 어휘 주석으로의 대치이다. 보조 텍스트 측면에서 보조 텍스트의 양을 줄이고 교사의 설명으로 대신하는 방법이다. 고등학교 고전소설 교재화 방안의 핵심은 ‘보조 텍스트의 자기주도적 활용’이다. 고등학생들은 중학생에 비해 교사에 대한 의존도가 낮고 스스로 보조 텍스트를 활용하는 능력이 높았다. 이러한 능력은 이후 성인이 되었을 때 고전소설 텍스트를 감상할 때도 필요한 능력이기에 고등학교 고전소설 텍스트 수록 시에 여기에 초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보조 텍스트에는 어휘 주석, 작가 정보, 사회․문화적 배경에 대한 정보가 있는데 이들에 대해 실질적이고 도움이 되는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이 때 교사는 기존의 훈고 주석식 설명 방식에서 탈피해 보조 텍스트를 활용하여 주 텍스트를 이해하고 감상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과 시범의 역할을 해야 할 것이다. 본고는 고전소설 교재화 방안을 제시함에 있어 작품 내적인 부분(본문 텍스트)와 외적인 부분(보조 텍스트)를 포괄하여 통합적․유기적인 교과서 분석의 틀을 제시했다는 것에 의미가 있다. 따라서 본고를 통해서 고전소설의 교과서 수록 방안에 대한 외연이 확대되고, 고전소설 교과서를 분석함에 있어 본고의 교과서 분석 틀이 도움이 되길 바란다. 그리고 이러한 인식이 국어 교과서 집필자들의 실천으로 이어져 고전소설 교과서가 학습자의 문학생활화를 견인하는 유의미한 자료로 제공되는 교육적 실천이 뒷받침되기를 기대한다. [주요어] 고전소설 문식성, 교재화, 주 텍스트, 보조 텍스트, 맥락, 교육적 번역, 줄거리 제시, 어휘 주석, 작가 정보, 사회․문화적 배경, 교과서, 고전소설 텍스트, 홍길동전, 구운몽, 교과서 평가, 열린 교과서관, 문학 생활화, 기능적 문식성, 장르적 문식성, 문화적 문식성, 비판적 문식성, 자발적 문식성, 고전 리터러시-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연구 목적 1 B. 선행 연구 검토 4 C. 연구 대상 및 방법 9 II. 고전소설 교재화 방안의 예비적 고찰 14 A. 고전소설 문식성의 의미 규정 15 1. 고전문학교육 연구에서의 문식성의 사용역 15 2. 고전소설 문식성의 개념 정의와 범주화 16 B. 고전소설 교재화의 관점과 수록 요인의 설정 20 1. 국어교과서의 구성 원리와 역할 21 2. 고전소설 교재화를 위한 통합적유기적인 관점 26 3. 고전소설 교과서 분석의 틀과 수록 요인의 설정 28 III. 고전소설 교재화 양상 분석 33 A. <홍길동전>과 <구운몽>의 교육과정기별 변화 양상 33 1. <홍길동전> 학년 이동에 따른 변화 양상 33 2. <구운몽> 동학년 간 변화 양상 43 B. <홍길동전>과 <구운몽>의 주 텍스트 수록 양상 분석 51 1. 줄거리 제시 방식 51 2. 교육적 번역 58 C. <홍길동전>과 <구운몽>의 보조 텍스트 수록 양상 분석 70 1. 언어 맥락 70 2. 생산 주체 맥락과 사회문화적 맥락 77 IV. 고전소설 문식성 신장을 위한 고전소설 교재화 방향 설계 85 A. 연구 설계 86 1. 연구 절차 및 방법 86 2. 평가지 작성의 과정 88 B. 연구 결과 분석 103 1. <홍길동전>의 결과 분석 103 2. <구운몽>의 결과 분석 108 C. 고전소설 교재화 방안 113 1. 중-고 공통 교재화 방안 113 2. 중학교 고전소설 교재화 방안 118 3. 고등학교 고전소설 교재화 방안 120 V. 결론 122 참고문헌 127 부록 135 Abstract 17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38675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400-
dc.title고전소설 문식성 신장을 위한 고전소설 교재화 방안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a Measure to Include Some Classical Novels in Textbooks for Their Literacy Improvement-
dc.creator.othernamePark Yu Jin-
dc.format.pagexi, 18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어교육학과-
dc.date.awarded2013.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