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29 Download: 0

동화를 활용한 사회성 향상 프로그램이 정서·행동장애 위험아동이 포함된 일반학급 초등학생의 학교생활적응도, 정서능력,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Title
동화를 활용한 사회성 향상 프로그램이 정서·행동장애 위험아동이 포함된 일반학급 초등학생의 학교생활적응도, 정서능력,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Effects of a Social Skills Improvement Program Using Fairy Tales on the School Adjustment, Emotional Competency, and Self-esteem of Children at Risk for EBD and Their Typically Developing Peers
Authors
변미진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지연
Abstract
일반학급에서 생활하는 정서·행동장애 위험아동들은 학업준비기술의 부족과 수업 참여를 방해하는 문제행동으로 인해 학업에 어려움을 경험할 가능성이 크다. 또한 정서·행동장애 위험아동들이 보이는 공격적이고 충동적인 행동들은 함께 생활하는 일반아동들의 학습을 방해하고, 또래, 교사와의 긍정적인 관계형성을 어렵게 한다. 다양한 특성을 보이는 아동들이 포함된 학급을 운영하는 교사는 정서 및 행동상의 문제를 보이는 아동들의 문제행동과 방해행동으로 인해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또한 성장기에 학습부진으로 인한 자존감 저하, 집단 따돌림에 의한 우울 등 발달상의 부적응 문제를 경험하는 아동이 증가하고 있으며, 핵가족의 증가, 가정의 파괴 등으로 인해 사회성 기술을 자연스럽게 습득하지 못하여 타인과의 관계에 어려움을 겪는 아동의 수도 날로 늘어나고 있다. 특히 학교 내 집단 따돌림, 폭력이 증가하면서 사회성 향상을 위한 특정 학생이 아닌 모든 학생의 적절한 교육적 지원의 강화가 요구되고 있다. 사회성 기술의 부족은 외현화, 내재화된 행동문제, 낮은 자아존중감, 외로움, 적대적인 대인관계와 같은 부정적인 결과와 관련이 된다. 또한 성인기의 성공적인 삶을 영위하는데 심각한 영향을 준다. 학급은 다양한 특성과 능력을 가진 아동들로 구성된 역동적이고 상호적인 복잡한 환경으로, 아동들은 학급 내 복잡한 인간관계 속에서 상호작용하며 성장한다. 학급 구성원들은 서로에게 역할모델이 되어 사회의 질서와 규범을 배우고, 또래의 피드백을 통해 자신을 인식하고, 타인의 관점을 지각하기도 한다. 그러므로 학급 전체아동을 대상으로 한 긍정적인 관계형성을 촉진하는 사회성 향상을 위한 지원은 상호지지적이고 안정된 학급 공동체 형성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서·행동장애 위험아동이 포함된 일반학급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동화를 활용한 사회성 향상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이들의 학교생활적응도, 정서능력, 자아존중감 변화를 알아보았다. 그리고 정서·행동장애 위험아동의 경우, 학교생활적응도, 정서능력, 자아존중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와 담임교사가 평정한 ‘사회적 능력 및 학교적응행동척도’ 원점수와 백분위점수의 산술적 변화추이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서울 A초등학교 3학년 정서·행동장애 위험아동 2명과 그 아동이 속한 두 학급의 일반아동 42명이다. 실험집단은 학급의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을 이용하여 주 2회 40분씩 12회에 걸쳐 동화를 활용한 사회성 향상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은 교사재량의 창의적 체험활동으로 여가 중심의 활동을 하였다. 본 연구는 사전-사후검사 통제집단 설계를 사용하였으며, 학교생활적응도, 정서능력, 자아존중감에서 두 집단의 변화 정도 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두 독립표본 t 검정을 사용하였다. 또한 정서·행동장애 위험아동의 학교생활적응도, 정서능력, 자아존중감의 변화와 ‘사회적 능력 및 학교적응행동척도’ 원점수와 백분위점수의 산술적 변화추이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생활적응도 변화에서는 동화를 활용한 사회성 향상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과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서능력 변화에서는 동화를 활용한 사회성 향상 프로그램을 실행한 실험집단과 실시하지 않은 통제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서능력의 하위 요인별 분석 결과, 감정이입, 정서조절, 정서활용에서는 두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정서인식과 정서표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자아존중감 변화에서는 동화를 활용한 사회성 향상 프로그램을 실행한 실험집단과 실시하지 않은 통제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존중감의 하위영역별 분석 결과, 학업적 능력, 사회적 수용, 운동적 능력, 신체적 능력, 행동적 능력의 5가지 하위 영역 중 신체적 능력에서만 두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두 집단에 속한 정서·행동장애 위험아동의 변화양상을 비교한 결과, 모든 종속변인에서 사전-사후 간 향상 정도가 유사하여 두 아동 간 뚜렷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동화를 활용한 사회성 향상 프로그램은 정서·행동장애 위험아동이 포함된 일반학급전체의 정서능력과 자아존중감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학교생활적응도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정서·행동장애 위험아동의 변화는 집단에 관계없이 변화량이 미미하여 눈에 띄는 변화를 보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본 중재가 개별 정서·행동장애 위험아동의 성과를 향상시키지는 못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정서·행동장애 위험아동이 포함된 초등일반학급 전체 아동을 대상으로 실시했다는 점, 아동들에게 친밀한 동화를 활용하여 교육과정 안에서 사회성 향상 프로그램을 운영해 보았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또한 단기간의 중재를 통해 긍정적인 변화모습을 보인 일반아동과 달리 정서·행동장애 위험아동은 좀 더 강력하고 장기적인 중재를 제공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후속 연구에서는 일반아동의 사회성 향상을 통해 또래 수용도를 높이는 동시에 정서·행동장애 위험아동을 위한 개별화된 사회성 중재를 함께 실시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While many children at risk for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face difficulty in naturally acquiring social skills, children without disability also have trouble forging interpersonal relations due to maladjustment in the development cycles, family breakdowns, and the increase in nuclear families. The resulting lack of social skills not only has a negative impact on the child’s relation with peers and teachers but also leads to difficulty when the child enters adulthood. Thus, helping individuals acquire social skills to build an upright character and establish positive relationships with others during childhood is both meaningful and importa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Social Skills Improvement Program that utilizes fairy tales on children at risk of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and children without disability within same classroom with specific evaluation criteria that includes the children’s school adjustment, emotional competency, and self-esteem.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1. Are th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hange of school adjustment of children without disability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2. Are th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hange of emotional competency of children without disability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3. Are th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hange of self-esteem of children without disability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4. Are th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hange of school adjustment, emotional competency, self-esteem and social competence and school adjustment of children at risk for EBD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ird-graders in two different classrooms at an elementary school in Seoul participated in the study with each class composed of one child at risk for EBD and 20 or 22 children without disability. The experimental group children were exposed to 12 sessions of Social Skills Improvement Program Using Fairy Tales during the creativity-building time slot in their school curriculum. The routine session was held twice a week for forty minutes each.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group children participated in various leisure activities chosen by the teacher during the same time slot. With a pretest-posttest control-group experimental design, an independent t-test was used to assess wheth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hanges of school adjustment, emotional competency, and self-esteem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For children at risk for EBD, the arithmetical changes of the raw score and the percentile rank of ‘Scale of Social Competence and School Adjustment’ was examined based on the homeroom teacher’s rating. The Social Skills Improvement Program Using Fairy Tales was based on five sectors of social skills, namely cooperation, self-assertion, responsibility, empathy, and self-control. Each session of the Social Skills Improvement Program Using Fairy Tales consisted of the following activities. In the introduction stage, games and activities were utilized to arouse the interest of the children and create an accommodating atmosphere. During the development stage, the teacher read a book aloud then engaged the children to participate in activities based on the story including role play, mock interviews, and drawing mind maps. For the closing stage, the children freely exchanged their opinions about the overall program that da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hange of school adjustment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Secon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change of the emotional competency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ir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change of the self-esteem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Forth, a comparison between the child at risk for EBD in both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found that the child in the experiment group showed a slightly higher improvement in the dependent variables except self-esteem; however, because the change was insignificant, it cannot be judged as meaningful. Therefore, the implementation of the Social Skills Improvement Program Using Fairy Tales results in a positive effect on children without disability's emotional competency and self-esteem. However, in the case of children at risk for EBD, the changes were insignificant.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the study is meaningful in the following aspect: First, the effectiveness of the Social Skills Improvement Program Using Fairy Tales was evaluated in the context of the regular school curriculum, specifically during the time slot allocated for creativity-building. Second, the need to provide both intervention under an inclusive environment and a stable, long-term customized care for each child at risk for EBD was verified. Third, implementing a Social Skills Improvement Program Using Fairy Tales in a classroom composed of both children at risk for EBD and children without disability fostered a supportive mood among the childre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특수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