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96 Download: 0

통합어린이집 일과에 삽입된 애정활동이 장애 유아와 또래 간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Title
통합어린이집 일과에 삽입된 애정활동이 장애 유아와 또래 간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affection activities on the peer social interaction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an inclusive preschool
Authors
백미애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소현
Abstract
통합교육이란 장애 유아가 전형적인 발달의 유아와 같은 교육환경에서 지내면서 또래들과 긍정적인 상호작용과 놀이를 통하여 장애 유아의 사회성, 의사소통 기술, 인지기술, 운동기술 발달을 지원하는 환경이다. 하지만 대부분의 통합된 장애 유아들은 의사소통, 사회적 기술의 결함이나 문제행동으로 또래와 상호작용에 어려움을 가진다. 유아기의 또래 간 사회적 상호작용의 어려움은 장애 유아의 주요 발달과 또래와의 긍정적인 관계 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아동기 이후 성인기에 이르기까지 사회적 부적응의 위험을 높이기 때문에 간과할 수 없는 아주 중요한 문제이다. 특히 유아기의 발달과제 중 하나가 또래와의 긍정적인 관계형성과 사회적인 상호작용인 만큼 통합된 장애 유아의 또래 사회적 상호작용을 촉진하기 위한 지원은 반드시 필요하다. 통합 환경에서 장애 유아를 위한 지원은 분리된 교수보다 자연스러운 일과 안에서 보완적인 중재로 적용하는 것이 매일의 일과에 통합하기 쉽고 규칙적인 적용으로 반복 연습을 가능하게 하여 기대하는 아동의 발달을 보다 잘 성취하도록 돕는다.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촉진하는 자연적인 교수전략인 애정활동은 통합학급의 일과 중 노래, 율동, 게임 같은 집단 활동시간에 애정표현 및 친사회적 반응을 삽입하여 자연스럽게 여러 또래들과 모방 및 연습을 하도록 지원하는 중재이다. 본 연구에서는 통합학급의 일과에 삽입된 애정활동이 장애 유아와 또래 간 사회적 상호작용 증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실험은 경기도에 위치한 S어린이집에 통합되어 있는 장애 유아 3명을 대상으로 한 대상자간 중다 간헐 기초선 설계(multiple probe design across subjects)로 통합학급의 집단 활동과 전이 활동에 애정활동을 삽입하여 적용하였다. 애정활동중재의 실행절차는 먼저 담임교사가 중재를 직접 실행하므로 2회기의 교사오리엔테이션을 가졌고, 중재의 실행에 앞서 계획된 주간계획안을 중심으로 애정활동을 삽입하기 위해 연구자가 일일계획안을 수정하여 교사에게 제공하였다. 교사는 애정활동이 삽입된 일일계획안을 기초로 하루에 집단 활동과 전이 활동에 2회기 이상 애정활동을 삽입하여 실행하였다. 중재 실행 후 연구자와 교사는 중재실행에 대한 평가를 통해 다음 중재에 반영하도록 하였으며, 이와 같은 과정은 반복적으로 이루어졌다. 중재의 종료시점은 또래 규준(peer norm)을 기준으로 결정하였고, 중재 종료 4주 후 4-5회기의 중재 유지를 관찰하였다. 기초선, 중재, 유지기간의 모든 자료 수집은 자유선택활동시간에 이루어졌으며, 자유선택활동 시작 10분 후부터 10분간 관찰한 모든 자료는 비디오로 녹화하였다. 자료 분석은 녹화된 자료를 보면서 사회적 시작행동, 사회적 반응행동, 사회적 상화작용의 조작적 정의에 따라 10초씩 총 60구간으로 나누어 부분 간격 기록법(partial interval recording)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 어린이집 일과에 삽입된 애정활동중재는 장애 유아와 또래 간 사회적 상호작용을 증가시켰다. 둘째, 통합 어린이집 일과에 삽입된 애정활동중재로 증가된 대상 유아들과 또래 간 사회적 상호작용은 중재 종료 4주 후에도 유지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해 보면, 통합어린이집 일과에 삽입된 애정활동중재는 장애 유아와 또래 간 사회적 상호작용 발생률을 증가시키고 유지시키는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통합학급의 계획된 일과 활동 안에 애정활동을 삽입하여 담임교사가 직접 실행한 것으로 일반교육과정으로 접근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며, 일반교육과정 안에서 장애 유아의 개별적인 요구를 지원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함으로서 통합 환경에서 장애 유아들을 책임지고 있는 일반 교사와 통합 교사들에게 실제적인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ffection activities on the peer social interaction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on an inclusive preschool. The affection activities are conducted by the teacher during regularly scheduled large group times and include typical preschool song, game activities that have been modified to prompts for interaction. Using a multiple probe design, classroom teachers implemented affection activities with three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heir classmates across three classrooms. Initially, baseline data were collected simultaneously for peer social interactions of 10-minutes during free play time. During intervention sessions, the teacher orientation of two sessions implemented in their classroom and then affection activities was implemented two times in a day, almost 4 times a week in the context of ongoing large group activities and routines inclusive classroom. Data were collected using partial interval recording method for 10 minutes in the free play time according to the definition of social interaction targets. After the intervention was completed, after 4 weeks, maintenance effects were evaluated in the setting as the baseline condition. These are results from this study. First, affection activities increased the peer social interactions of all three participants during free play in an inclusive setting. Second, the increased peer social interactions of all three participants were maintained after withdrawal of the interven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prove that affection activities is affective for increasing peer social interaction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an inclusive preschool.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on proving the effectiveness and provision procedure of affection activities on peer social interaction a natural inclusive setting.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특수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