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6 Download: 0

초등학교 교육서비스에 대한 다문화가정 아동과 학부모의 인식 조사

Title
초등학교 교육서비스에 대한 다문화가정 아동과 학부모의 인식 조사
Other Titles
A study of the multi-cultural children/parents' perception about the elementary school education service
Authors
이현자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초등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조연순
Abstract
Korea, in which foreigners over a million stay for a long time, has been becoming a multi-cultural country. In 2011, 38,678 among them were in school age. The total schoolchildren number in Korea has been decreasing, while the percentage of school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has stably been increasing. Following these current, the Korean government has also been providing several state level policies for them. However, practically looking into the schools, the educational supports for the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depend much on each situation and each school. Also, the service supports are based on the perspective of suppliers who plan and execute the policies, instead of the perspective of consumers. Therefore, this study has purpose on analyzing the perspective of consumers, the parents and the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bout the educational services currently carried out at school and providing educational suggestions with which the school education may reflect their actual demands. With the purpose, in this study, we've conducted Focus Group Inverview (FGI) of 27 children and parents from the multi-cultural families in the capital area. The questions for the interview were composed on the basis, such as other research based on PZB educational service measurement model and pre-interviews. The contents of the interviews were transmitted and analyzed with the program 'NVivo 10'. Among sectional categories, the first section 'the quality of the educational process' contains results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provision of educational opportunity, the supports need to be provided differently by types classified by the children's learning ability including his social background, cultural background, and ex-educational experience, etc. In particular, for immigrants, the institutional support for entrance and transference needs to be strengthened. For the parents, it is considered helpful to provide a service to translate introductions or others, which lightens their burden in language. Second, regarding evaluation and support for study, it is showed up that both the students and the parents felt that teaching, evaluating, and giving a feedback from teachers were well. However, it seems there is not an individual support for study. The higher the school year of the students goes, the more necessary the individual support becomes. Therefore, a systematic and individual support system for study needs at school, and the support for study may become more effective through the connection with a mentoring system outside school. Third, in terms of extracurricular educational activities, the parents and the children participated in well and were satisfied with the activities. About educational activities after school, they wanted more opportunity for various activities including activities to experience something. Also, regarding multi-cultural program, they wished that Korean culture contents would be more intensified. A continuous and systematic operation with the teacher taking charge of multi-cultural issue needs. Forth, as to multi-cultural education process, followings were suggested; putting more multi-cultural education contents into the regular school curriculum, widening the opportunity to receive a multi-cultural education, aiming at also a majority of people, not only at a minority of people, for a multi-cultural education, and helping the children and the par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participate in a multi-cultural education as main agents. In interaction section, the study reports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teacher's interest and treatment, the parents and the children felt the teachers accept the fact that they are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treat well and naturally. However, regarding teacher's reaction to their demands, most of the parents were satisfied, but many students expressed that the teachers deal with the demands not enough, because they should also do other works. It needs to be improved. Second, concerning self-expression and use of consultation, it needs to build deep rapport between the children and the teachers, because the children have emotional burden in communication with the teachers, although they have a little burden in language skill. However, the parents felt hard to communicate with the teachers, because of language skill, although mentally the parents depend on the teachers much. With that reason, the parents use the regular consultation actively. Third, regarding reflection of the interest of each student, the children were able to choose programs according to their preferences, especially in extracurricular education activities. The satisfaction and the participation were improved with analyzing and reflecting the satisfaction of children before and after the programs. Forth, in terms of activities of the parents in school, the parents said that through participating in activities they could understand their children's school life better, they got an opportunity to communicate with the teachers, and they could build a relationship and a communion with other parents. Lastly, the study shows that the parents facing many problem in educational support for their children have not received supports from the schools about those problems. Particularly, the parents have had problems such as language problem, emotional burden in guiding study, and hardness to achieve educational information. To solve these problems, the parents expect several supports ; financial support for extracurricular activities of the children, educational support and information provision by the teacher taking charge of multi-cultural issue, and a parent education helpful for educating the children. The research on reliability says followings. First, concerning the reliability to the teachers, generally the children and the parents trusted teaching ability and fairness in reward and punishment. Second, regarding the safety in the school, the children asked to improve the safety of the facilities in the school, although they have a little anxiety. Whereas the parents worried that the children would be intimidated in the school due to the fact that they are from multi-cultural families, rather than the safety of the school facilities. According to these research on the perception and the demands, this study suggests seven improvements in elementary educational service for the parents and the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supporting by types of the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strengthening the individual support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 of the children, cultivating teachers who take charge of multi-cultural issue and disposing to schools, building up the system, based on schools, enabling to support continuously and systematically, providing a multi-cultural education under multiculturalism, providing a parent education to support more the parents to educate their children, and keeping the existing effec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school and the outside support. It's thought that schools and educational officials may provide the children and the par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ith more effectual education service, if they build an educational support system for elementary school on these suggestions. ;한국은 최근 들어 외국인이 100만 명 넘게 장기 체류하는 다문화적 사회로 변화해가고 있다. 이중 취학연령에 해당하는 대상은 2011년 기준 38,678명으로 우리나라의 전체 취학 아동 수는 감소하고 있으나 다문화가정 아동의 비중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따라 정부도 국가적 차원에서 이들을 위한 정책적 방안을 다양하게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 학교 현장에서 다문화가정 아동에 대한 교육적 지원은 상황별 학교별로 차이를 보이는 실정이다. 또한 서비스 지원 방향이 수요자 중심으로 이루어지기보다는 정책을 수립하고 지원하는 공급자 중심에서 이루어져 실질적으로 학교 교육에 대한 다문화가정 아동·학부모의 요구를 반영하지 못하는 문제점도 발생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특히 개인별 요구를 반영하는 수요자 중심 시각에서 학교 내에서 이뤄지는 교육서비스에 대한 다문화가정 아동·학부모의 인식을 분석하여 이들의 실제적인 요구를 학교 현장에 반영할 수 있는 교육적 제안을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수도권 지역에 거주하는 다문화가정 아동과 학부모 27명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FGI)를 진행하였다. 인터뷰 질문은 PZB의 교육서비스 측정 모형을 기반으로 타 연구와 사전 인터뷰를 통해 재구성했으며, 인터뷰 내용은 전사하여 NVivo 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영역별로 정리하면 우선 교육과정의 질 영역에서의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 기회의 제공 측면에서 다문화가정 아동의 공교육 진입을 원활히 하기 위해서는 아동의 사회적 배경, 문화적 배경, 사전 교육 경험 등을 포함한 학습 능력을 고려해 유형별로 지원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동반·중도입국자를 위한 제도적 차원의 입학·편입 지원 시스템을 강화해야 할 필요가 있다. 학부모의 경우는 언어적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안내문 번역 서비스 등을 시행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둘째, 학습 지원 및 평가 측면에서 학생과 학부모 모두 교사의 학습 지도와 그에 따른 평가 및 피드백이 잘 이루어지고 있다고 느끼는 편이었다. 그러나 그 이후에 개별적인 학습 지원은 따르지 않는 것으로 보이며, 고학년으로 갈 수 록 개별적 학습 지원의 요구는 더 커진다. 따라서 학교에서는 체계적이고 개별적인 학습 지원 시스템이 필요하며, 교외 멘토링 시스템과의 연계를 통해 학습 지원 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셋째, 교과 외 교육활동의 측면에서 아동과 학부모의 활동에 대한 참여도 및 만족도는 높은 편이었다. 방과 후 교육활동에서는 체험활동을 비롯해 좀 더 다양한 활동 기회가 제공되기를 원했고, 다문화 프로그램에서는 한국 문화 관련 내용이 더욱 강화되기를 희망했다. 또한 다문화 담당 교사를 중심으로 한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운영이 필요하다. 넷째, 다문화 교육과정 측면에서는 학교 정규 교육 과정에 다문화교육 내용을 더 포함시킬 것과 다문화 교육을 접할 수 있는 기회가 확대될 것, 또한 다문화 교육의 대상이 소수자를 포함한 다수가 되는 방향으로 전개되어야 하며, 다문화가정 아동·학부모가 다문화 교육의 주체로 참여하는 방식이 제안되었다. 상호작용성 영역에서의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관심 및 대응 측면에서 아동과 학부모는 교사가 자신들이 다문화가정임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이고 대응한다고 인식했다. 그러나 요구에 대한 대응면에서 학부모는 대부분 만족한다는 반응이었으나, 학생들은 교사가 타 업무 처리 문제로 대응에 소홀하다는 의견이 많이 나와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둘째, 의사 표현 및 상담의 활용 측면에서 아동은 교사와의 소통에 언어적 부담은 적지만 심리적 부담은 커 깊이 있는 래포 형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달리 학부모는 교사에 대한 심리적 의존도는 크나 언어적 부담으로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느끼며, 이러한 이유로 정기적인 상담 시간을 적극 활용하는 편이었다. 셋째, 학생의 개별 흥미 반영 측면에서 아동은 특히 교과 외 교육활동에서 본인들의 선호도에 따라 프로그램을 결정할 수 있었다. 프로그램 전후로 아동의 만족도를 조사해 반영한 경우 더욱 만족도와 참여도가 높아진다. 넷째, 학교에서의 학부모 활동 측면은 자녀의 학교생활에 대한 이해를 돕고, 교사와의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 기회가 생기며, 다른 학부모와의 교감과 관계 형성의 장이 마련되는 면에서 도움이 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학부모의 자녀 교육 지원 측면에서 여러 가지 어려움을 겪고 있으나 학교 차원에서의 지원은 받고 있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학부모들은 언어 문제, 학습 지도의 심리적 부담 그리고 교육 관련 정보 습득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 자녀의 교과 외 교육 활동을 위한 경제적 지원, 학교 내 다문화 담당 교사를 통해 학습 지원 및 교육 정보를 제공받는 것 그리고 자녀의 교육에 도움이 되는 부모 교육을 받기를 원하고 있다. 신뢰성 영역의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에 대한 신뢰 측면에서 아동과 학부모 모두 교수 능력과 포상·처벌의 공정성 부분에 전반적으로 신뢰감을 표시하였다. 둘째, 교내에서의 안전도 측면에서 아동은 심리적 불안감은 적은 대신 실제로 사용하는 학교 시설의 안전도 면에서 개선을 요구하였으나, 학부모는 시설면에서의 안전보다는 자녀가 다문화가정이라는 이유로 심리적으로 위축될까 우려를 갖고 있는 편이었다. 이러한 인식 및 요구 조사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가정 아동·학부모를 위한 초등학교 교육서비스 개선 방안을 다음과 같이 7가지로 제안한다. 다문화가정 아동의 유형별 분류 지원, 대상 아동의 특성별 개별 학습 지원 강화, 다문화 가정 아동·학부모 관련 업무를 전담할 수 있는 다문화 담당 교사 양성 및 학교 배치, 학교를 거점으로 한 체계적이고 지속 가능한 지원 시스템 구축, 다문화주의에 입각한 다문화 교육 실시, 학부모의 자녀 교육 지원 강화를 위한 부모 교육 실시, 기존에 이루어지고 있는 외부 지원과의 효율적 연계가 그것이다. 이러한 방안들을 토대로 초등학교 교육 지원 시스템을 구축하면, 학교 및 교육관계자들이 다문화가정 아동·학부모에게 보다 효과적으로 교육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초등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