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95 Download: 0

UCC 제작활동이 유아의 디지털 리터러시와 정보윤리의식에 미치는 영향

Title
UCC 제작활동이 유아의 디지털 리터러시와 정보윤리의식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An Influence of UCC Making Activities on Young Children's Digital Literacy and Information Ethics Consciousness
Authors
정봄마지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승연
Abstract
This research is focused on studying the influence of UCC (User Created Contents) making activities on the young children's digital literacy and information ethics consciousness and meant to provide fundamentals to properly institute it to the field of kindergarten education. The following are the subjects for inquiry associated with the issues: 1. Does participation in UCC making activities affect change in digital literacy (media literacy, attitude towards media) of five-year-old children? 2. Does participation in UCC making activities affect change in information ethics consciousness (malfeasance prohibition, justice, respect, moderation) of five-year-old children? In terms of research design, an experimental study is conducted to learn how UCC making activities change digital literacy and information ethics consciousness of five-year-old children. The subjects were 25 five-year-old children in D Kindergarten and 20 children of the same age in S Kindergarten, 40 children total. D Kindergarten was assigned as an experimental group, and S as a compared group. The treatment lasted for 7 weeks total from Sep. 11 to Oct. 26, 2012. In the experimental group, children played a leading role in making UCC while the teacher proceeded subject-oriented integrated education and made use of computer softwares for computer-related activities during the elective activity time. Based on the philosophical principles and utilization plans of digital technology proposed by Lim Eun-mi (2012), the UCC making activities were proceeded for as short as 2-3 days and as long as 2 weeks to provide the children enough time to actively produce digital contents without interfering the education process of the kindergarten. In order to measure digital literacy of the children, I implemented a revised tool for kindergarten children. based on the 'Digital Literacy Measurement Tool' developed by Han, Oh, Lim, and Jeon (2006) and referring to Kim (2007), and Hong and Jeong (2005). In order to examine the children's information ethics consciousness, I modified and used ‘A Child's Information Ethics Consciousness Test Tool' developed by Cho, Choi, and Hwang (2012).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experiment,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ed group were tested before and after the treatment, and the difference was compared and analyzed with the t-test. The following are the summarized outcomes of this research. First, UCC making activities turned out to improve children's digital literacy. In particular, in both ‘media literacy' and ‘attitude towards media', the sub-domains of digital literacy, the experimental group indicated an evidently greater change than the compared group did. This result can be interpreted that the experience of the active and meaningful use of digital media through UCC making activities helped the children improve media literacy and positive attitude towards media. Second, UCC making activities were proved to improve children's information ethics consciousness. In particular, for all of sub-domains of information ethics consciousness except for ‘justice', the experimental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UCC making activities indicated an greater change than the compared group did. This result can be interpreted that the experience of information ethical conflict situations during the UCC making process and of solving such problems helped the children improve their information ethics consciousness. In conclusion, young children's experience to actively and meaningfully use digital media through UCC making activities clearly exerted a positive influence upon children's digital literacy and information ethics consciousness. Such a result implies that digital media is worthy of use as an education means when we thoroughly consider the intention and need of digital media and apply it to our children in a suitable fashion.;본 연구는 UCC 제작활동이 유아의 디지털 리터러시와 정보윤리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으며, 유아에게 적합한 디지털 매체를 선별하여 활용하는 방법을 이해하고 올바르게 유아교육현장에 도입하는 기초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UCC 제작활동 참여 여부에 따라 만 5세반 유아의 디지털 리터러시(매체활용능력, 매체에 대한 태도) 변화에 차이가 있는가? 2. UCC 제작활동 참여 여부에 따라 만 5세반 유아의 정보윤리의식(해악금지, 정의, 존중, 절제) 변화에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는 UCC 제작활동이 만 5세반 유아의 디지털 리터러시와 정보윤리의식에 어떠한 변화를 가져오는지 알아보고자 실험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부천시에 위치한 D병설유치원의 만 5세반 유아 25명과 S병설유치원 만 5세반 유아 20명, 총 45명이었다. 이 중 D병설유치원을 실험집단, S병설유치원을 비교집단으로 배정하였다. 실험처치는 2012년 9월 11일부터 10월 26일까지 총 7주간에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에게는 유아들이 주도적으로 UCC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하였고, 비교집단은 기존의 방식대로 담임교사에 의해 주제중심의 통합교육과정을 진행하였으며, 컴퓨터 관련활동은 자유선택활동 시간에 컴퓨터영역에서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였다. UCC제작활동은 임은미(2012)가 제시한 유아교육에서의 디지털 기술 활용에 관한 철학적 원칙과 활용방안에 근거하여, 유치원 교육과정에 방해되지 않으면서 유아가 주도적으로 제작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적 여유를 두어 짧게는 2~3일, 길게는 2주일에 걸쳐 진행하였다. 유아의 디지털 리터러시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한정선․오정숙․임현정․전주성(2006)이 개발한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 측정도구’의 분류를 기초로 하고, 김혜림(2007), 홍혜경․정용은(2005)이 제작한 도구의 내용을 참고로 하여 본 연구자가 유아에게 적합한 수준으로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또한 유아의 정보윤리의식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조준오․최중근․황해익(2012)이 제작한 ‘유아 정보윤리의식검사도구’를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실험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을 대상으로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차이에 대해 t 검정으로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UCC 제작활동은 유아의 디지털 리터러시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디지털 리러터시의 하위영역인 ‘매체활용능력’과 ‘매체에 대한 태도’ 모두에서 UCC 제작활동에 참여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간의 변화량 차이에서 유의하게 높은 결과가 나타났다. 이는 유아들이 UCC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디지털 매체를 주도적으로 의미있게 활용한 경험이 매체를 활용하는 능력과 매체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 향상에 도움이 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둘째, UCC 제작활동은 유아의 정보윤리의식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정보윤리의식의 하위영역 중 ‘정의’를 제외한 모든 하위영역(‘해악금지’, ‘존중’, ‘절제’)에서 UCC 제작활동에 참여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간의 변화량 차이에서 유의하게 높은 결과가 나타났다. 이는 유아들이 UCC를 제작하며 겪게 되는 정보윤리 갈등 상황과 이를 해결하는 경험이 유아의 정보윤리의식 향상에 도움이 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UCC 제작활동을 통해 유아들이 주도적으로 의미있게 디지털 매체를 활용하는 경험이 유아의 디지털 리터러시와 정보윤리의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디지털 매체를 유아교육기관에 활용하는 목적과 필요성에 대해 충분히 고찰하고, 유아에게 적합한 바람직한 방법으로 활용하였을 때 디지털 매체가 교육매체로써 가치가 있음을 시사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