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은주-
dc.contributor.author임지연-
dc.creator임지연-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10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10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7593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472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5935-
dc.description.abstract21세기 세계화·정보화 시대에 우리에게 그 어느 때보다 시급하고 중요한 능력은 바로 다양한 분야에서 영어로 실질적으로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능력이다. 이에 학교 안 읽기, 듣기 위주의 영어교육 현실과 학교 밖 실용영어 중심의 의사소통능력이 절실하게 필요한 현실간의 현격한 격차는 지금의 학교 영어교육현장에 큰 변화를 끊임없이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요구와 변화의 필요성에 따라 최근 우리나라의 영어교육 정책은 실질적인 영어 사용 능력 즉, 영어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목표로 실용영어교육 활성화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를 위한 첫 단추로 국가영어능력평가 시험 즉, NEAT(National English Ability Test)의 도입으로 듣기, 읽기와 같은 이해영역 뿐 만 아니라 말하기, 쓰기의 표현 영역까지도 함께 평가하게 되어 그동안 등한시 되어왔던 말하기와 쓰기 영역의 강화는 필수적인 사항이 되었다. 이러한 현실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영어의 표현기능 중 영어 말하기 능력을 향상시키는 한 방법으로 ‘소리내어 읽기 활동(Reading aloud)’을 다루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의 영어교육현장에서 ‘소리내어 읽기 활동’(Reading aloud)이 EFL 상황에 있는 우리나라 중학생들이 의사소통 능력을 기르는데 필요한 말하기 능력 및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지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파주시 탄현면에 위치한 T중학교 2학년 40명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험집단 20명 통제집단 20명으로 각각의 집단은 상위집단 10명 하위 집단 10명으로 구성하여 주당 2회 실시하는 영어 방과후 수업 시간에 6주 동안 12차시에 걸쳐 소리내어 읽기 활동을 시행하였으며 활동 전·후에 말하기 능력 평가, 정의적 영역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소리내어 읽기 활동 사전·사후 말하기 능력 평가, 정의적 영역 설문지, 심화 인터뷰를 자료를 분석하여 학습자의 말하기 능력 및 정의적 태도가 어떻게 변화되었는지를 살펴보았다. 본 실험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리내어 읽기 활동이 학습자들의 영어 말하기 능력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면, 1) 소리내어 읽기 활동은 영어 말하기 능력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리내어 읽기 활동에 따른 두 집단 간 사전 사후 영어말하기 능력 평가 점수 차이에 대한 유의도 검정 및 향상도 비교 결과, 실험집단은 영어 말하기 능력 사전 점수보다 사후 점수가 크게 향상되었다. 실험집단에서는 사전·사후 점수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나 통제집단의 경우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또한 소리내어 읽기 활동이 영어 말하기 능력 점수의 향상도에 체계적 효과를 갖는다. 2) 소리내어 읽기 활동은 수준별 하위그룹의 영어 말하기 능력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리내어 읽기 활동에 따른 상·하위 수준별 영어 말하기 능력 변화 및 향상도 비교를 한 결과, 각 집단의 수준별 상위집단의 말하기 능력에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 반면 하위집단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다. 또한 영어 말하기 능력 점수의 향상도는 집단의 수준과 소리내어 읽기 활동의 시행 여부에 따라 체계적인 차이를 보인다. 3) 소리내어 읽기 활동은 발음, 유창성, 언어형식 및 과제 완성도 모든 영역에서 유의미한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집단의 평가 영역별 사전·사후 영어 말하기 능력 평가 점수 향상을 비교한 결과, 실험집단 내의 각 영역 즉 발음, 유창성, 언어형식 및 과제 완성도 모두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다. 4) 소리내어 읽기 활동은 수준별 하위그룹의 언어형식 영역을 제외한 발음, 과제완성도, 유창성 세 영역에서 유의미한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집단의 상·하위 학습자간 평가 영역별 말하기 능력 평가 점수 향상을 비교한 결과, 수준별 상위집단의 경우 각각의 말하기 영역에 대하여 말하기 능력 사전·사후 점수의 차이가 유의미하지 않으나. 하위집단의 경우 발음 및 과제완성도, 유창성 영역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언어형식 영역에서만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둘째, 소리내어 읽기 활동이 영어말하기 전반 및 영어말하기 학습법에 대한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1) 소리내어 읽기 활동은 말하기 전반 및 말하기 학습법 태도에 있어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리내어 읽기 활동 시행에 따른 실험집단의 사전·사후 정의적 태도를 비교해 본 결과, 말하기 전반 및 말하기 학습법 두 영역 모두에서 사전·사후 점수 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2) 소리내어 읽기는 수준별 하위집단에 대하여 말하기 전반 및 말하기 학습법 태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집단의 상·하위 수준별 집단구분에 따른 사전·사후 정의적 태도 비교해 본 결과, 상위집단은 소리내어 읽기 시행 전과 후의 정의적 태도 점수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지만, 하위집단의 경우 말하기 전반 및 말하기 학습법 영역 모두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에 본 연구 결과가 우리나라 영어 교육 현장에 주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소리내어 읽기 활동을 읽기 뿐 아니라 말하기 능력 향상을 위한 방법으로서 적용하고 그 활동시간을 확보해야 한다. 소리내어 읽기 활동은 발음, 언어형식, 유창성, 과제수행의 말하기 능력 향상에 의미 있는 효과를 가져오며 태도, 자신감등의 정의적 영역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교실 수업 현장에서 적극적으로 적용하는 것을 제언한다. 둘째, 소리내어 읽기 활동은 수준별 하위그룹의 학생들에게 특히 효과적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를 적용할 때는 상위그룹학생들과의 협동학습의 형태로 실시하는 것을 제언한다. 셋째, 본 연구에서 제시된 소리내어 읽기 활동 수업모형을 교육현장에 적용할 때는 각자의 상황과 학습자의 수준에 맞게 수정·보완되어 사용되어져야 할 것이며 소리내어 읽기 활동의 다양한 수업모형 개발 및 수업 적용 방안, 효과에 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The primary aim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s of reading aloud on students' speaking ability and their attitudes towards speaking. Forty students from a middle school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experimental class of second graders taught by the researcher have reading aloud classes twice a week for 45 minutes a period for six weeks, respectively. The control class was excluded from reading aloud activities. To investigate the research question, pre and post-speaking tests in the form of the NEAT speaking exam, pre and post student attitude surveys and in-depth interviews were used. The pretest was administered a week before the onset of the experiment. Post tests were conducted after the experiment was complet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Research found that reading aloud activities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students' speaking ability. Reading aloud has a meaningful effect especially on speaking ability of the low level students. Also, reading aloud has a meaningful effect on pronunciation, fluency, language form and task completion. Finally, reading aloud has a meaningful effect on pronunciation, fluency and tasks except language form in low level students. Other findings are that reading aloud has a positive effect on students' attitude towards speaking. It has a meaningful effect on students' attitude towards speaking and learning methods of speaking. Reading aloud also has a meaningful effect on students' attitudes in low-level students. The study also revealed some limitations of reading aloud. First of all,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middle school students in a rural area of Korea in Paju City, Gyeonggido, so their English ability is low compared to that of other areas. It means that this study's results can't be generalized with other classes. The study period was six weeks consisting of 12 classes, which is not long, and the number of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students was just forty. Due to these factors, if you perform an experiment with a longer time period and more students, the results would be more accurate. Also, to measure student's speaking ability, this study used only two types of the NEAT speaking test among 4 types measuring pronunciation, fluency, language form and task completion. If all the types of the NEAT speaking test were used, the test results would be different. It was assumed that reading aloud to foreign language learners improves their speaking ability and their attitudes towards speaking. These study results give some implications in English education. First, reading aloud should be used as a way of speaking ability improvement, not only just for reading. Secondly, the research suggests that collaborative learning of high-level students and low-level students is better when reading aloud activities are applied in class. Finally, the reading aloud activity model used in this study should be used with revision and complemented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students and situation when reading aloud is applied in class. Further study on the various types of reading aloud activity models, the application plans of teaching and the effects of them should be carried ou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Ⅱ. 이론적 배경 4 A. 영어 말하기 4 1. 말하기의 중요성 및 정의 4 2. 출력가설 11 B. 영어 말하기 능력 신장 방안 15 1. 말하기 교수 이론 15 2. 말하기 능력의 구성요소 16 3. 말하기 교수법 18 C. 소리내어 읽기 23 1. 소리내어 읽기의 정의 23 2. 소리내어 읽기의 효과 26 3. 말하기 평가과제로서의 소리내어 읽기 27 D. 선행연구 29 1. 소리내어 읽기 활동에 관한 해외 연구 29 2. 소리내어 읽기 활동에 관한 국내 연구 34 Ⅲ. 연구방법 37 A. 연구 질문 37 B. 연구 대상 37 C. 연구 자료 38 1. 사전·사후 영어 말하기 능력 평가지 38 2. 소리내어 읽기 활동 실험자료 40 3. 사전·사후 정의적 영역 설문지 41 4. 사후 심화 인터뷰 42 D. 연구 절차 및 자료 분석 방법 42 1. 실험 절차 42 2. 통계 처리 48 E. 연구의 제한점 49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50 A. 영어 말하기 능력 변화 분석 50 1. 영어 말하기 능력 변화 및 집단 간 향상도 비교 50 2. 상·하위 수준별 집단 내 영어 말하기 능력 변화 및 집단 간 향상도 비교 52 3. 평가 영역별 영어 말하기 능력 향상 비교 54 B. 정의적 태도 변화 분석 56 1. 사전·사후 정의적 태도 변화 비교 56 2. 상·하위 수준별 집단 구분에 따른 정의적 태도 변화 비교 57 3. 심화인터뷰 60 Ⅴ. 결론 및 제언 66 참고문헌 69 부록 73 ABSTRACT 8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42247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400-
dc.title소리내어 읽기 활동이 한국 중학생의 영어 말하기 능력 및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Reading Aloud to Middle School Students on English Speaking Ability and Attitudes towards Speaking-
dc.creator.othernameLim, Ji Yeon-
dc.format.pagexii, 8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13.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