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44 Download: 0

한국 근·현대 사경산수화 연구

Title
한국 근·현대 사경산수화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Modern Korean Real-Scenic Landscape Paintings : Focus on the entries of Joseon arts exhibitions and the Korean art exhibitions
Authors
조은진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홍선표
Abstract
This paper is the study on the current and the categorization of the real-scenic landscape painting (寫景山水畵) with focus on the entries of Joseon arts exhibitions and the Korean art exhibitions. As an improved style of Korean traditional landscape paintings beginning in modern time, the real-scenic landscape painting (寫景山水畵) was pioneered by the first generation of Oriental painters, who freed themselves from the existed old abstract style landscape paintings and began to make sketches of the ordinary Korean natural surroundings. The modern traditional art circles in Korea were reshuffling the system and introducing the new notions under the direct and indirect influence of Japanese and the West. In view of this, from the contrasting point of view of their counterpart, the western paintings, traditional paintings demanded the incorporation of Japanese painters in Korea with Korean ones, reorganized into the Oriental paintings and then came to be established through Joseon art exhibitions, the national key art system, through which the first Korean painters played active roles, who were called the first generation of Korean Oriental paintings. They learned how to paint landscape through art books under the masters, Seokjin Cho and Joongsik Ahn at the close of the Joseon Dynasty and, with continuous spirit of the times and in line with the demand for revolution of art circle then, improved the traditional landscape and established a typical style by executing this through Joseon art exhibitions, the government-sponsored exhibition. Also this genre was reconstructed and carried over into the Korean art exhibitions, and reviewed by later generations with the advancement toward a variety of styles. The real-scenic landscape paintings (寫景山水畵) by Joseon art exhibitions, which were shaped under the Japanese colonial ruling, used the local landscapes and showed the paragon representing lonesome fields and paddies with no person and little dynamics, which implied the limit of government- sponsored exhibitions due to Japanese imperialism and the unruly pressures by Japanese judges. With the founding of Korean government, the real-scenic landscape painters (寫景山水畵) who had emerged through Joseon art exhibitions came to obtain the authority in the art circles playing as judges for the Korean art exhibitions and recommended artists. Their such holding on the Korean art exhibitions contributed to the production of the second and third generations in a row and the expansion of this genre, but became criticized for the uniformity of landscapes at the section of oriental paintings in the Korean art exhibitions. Meanwhile, the spread of the real-scenic landscape paintings (寫景山水畵) played a positive role as the medium of more various topics, which can be categorized into a hill style, a mountain style and a scenic spot style respectively. With gradual decrease of the landscapes focusing on local scenery represented by farmlands as bleak space for the revelation of characteristics of Joseon Dynasty at Joseon arts exhibitions, those dealing with ordinary hills such as forests, slopes and streams were on the increase. Such an increase of hill style landscapes was interlinked with the finding of national identity by Korean government and the love for local landscapes due to the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The mountain style of real-landscape paintings (寫景山水畵) which rose sharply during this period pursued the spirit and beauty of the beautiful land intensively depicting relayed peaks or rocks and the scenic spot-type ones expressed intensively the spirit in the landscape and buildings like temples, through which they tried to reveal the nature of Korean national characteristics. At the end of 1960’s, due to the governmental policies for national restoration in connection with orientalism of the West, much more discourse were formed into traditional modern paintings and new lights were shedded on the ink-and water landscape painters and popularity was added to the real-scenic landscapes as the extension of beautiful nature landscape by ‘Jeongseon’, the master of late Joseon Dynasty. Also, the expansion of art market thanks to economic growth enabled these landscapes to appeal to the public and form an ever-greater part of the market. Reviewing both the progress by period and classification of styles by topic of the real-landscape paintings (寫景山水畵) through the Joseon art exhibitions and the Korean art exhibitions is very useful for the understanding of main tendency and stream of those periods and closely related to the needs of the times as the genre emerged and obtained its authority through the national exhibitions. Exhibitions, the art system beginning in the early modern times, led the tendency of arts circles of modern times and played not only as the passage of new painters entrance into the arts world and acquisition of authority by active painters but also as the introducing and educational tool for the public. Since the national exhibitions led by the government, especially, have enormous effect on the arts circles, the evaluations of the landscape genre through the national exhibitions are significant as the major way to grasp the main current and tendency of then art circles. In this thesis, the study on the national exhibitions was conducted by examining criticisms and retrospection at those times along with the check of entries through the pictures at the Korean art exhibitions. Through such courses, the features of popularization was able to be understood by peiod―the appearance of the landscapes in 1920’s, the establishment of farmland real-scenic landscape paintings (田畓式寫景山水畵) in 1930’s, the restructuring of the genre through the Korean art exhibitions and the diversification of styles from 1950’s through the middle of 1960’s. Along with the current of genre, the entries to Joseon exhibitions and the Korean art exhibitions were categorized into real styles by topic such as a farmland, a hill, mountain and scenic spot and followed by the examination of the adoption of the topics and the causes of their change. Since Joseon art exhibitions and the Korean art exhibitions both took place for the purpose of the unsound governments, they had inherent limits and subsequent criticism. For example, while Joseon art exhibitions which were sponsored by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were swayed by the ruling ideology, showing the big problem like the close connection with the Japanese art exhibitions, the Korean ones by the government followed the same systems of Joseon art exhibit without the eradication of vestiges of Japanese imperialism and were in the continuos swirl of arguments and fights around the Korean art exhibitions caused by the conflicts among the schools. Furthermore, since Korean governments’ pursuit for the racial characters and national identity to meet the needs by the times were carried out as the extension of the discussion about the orientalism and the colors of Joseon which was talked about during Japanese imperialism,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aintings borrowed the topics and styles of landscapes made by Japanese painters. However, by investigating the current of the real-scenic landscape paintings (寫景山水畵) of the modern and present times centering around the entries to the Korean art exhibitions, periodic and stylistic agony of the traditional landscape school can be understood through the change of styles and currents of landscapes.;본 논문은 한국 근대기 등장한 사경산수화의 조선미전과 국전 출품작을 중심으로 살펴본 흐름과 양식 분류에 관한 연구이다. 사경산수화는 근대기에 처음 시작된 전통산수화의 개량양식으로 종래의 관념적 방고산수화에서 벗어나 평범한 조선의 산천을 사생적으로 표현한 동양화 1세대 작가인 이상범, 변관식, 노수현, 등에 의해 개척되었다. 근대 한국의 전통화단은 일제 강점이라는 상황 속에서 일본과 서양의 직・간접적 영향을 통한 제도의 재편과 새로운 개념의 도입 등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전통화는 서양화와 대비되는 관점에서 당시 재조선 일본인 화가들과 조선인 화가들을 통합해야 했으므로 동양화라는 이름으로 재편되었으며 이러한 재편이 조선미전이라는 국가의 핵심 미술 제도를 통해 정착되면서 근대 관전에서 최초로 활약했던 한국인 화가들이 동양화 1세대로서 새롭게 등장한다. 이들은 조선 말기의 대가인 조석진・안중식 등의 문하에서 화보를 통해 산수화법을 익히던 이들로 당시 끊임없는 시대정신과 미술계 변혁의 요구에 발맞춰 전통산수화의 개량을 이루고 당시의 관전이었던 조선미전을 통해 이를 전개시켜 전형적인 양식을 확립 하였다. 일제 강점기 하에서 형성된 조선미전의 사경산수화는 주로 한국의 田畓으로 대표되는 향토경을 제재로 인물이 없고 운동감이 적은 적막한 분위기의 田畓式 사경산수화라는 전형을 보이는데 이는 다분히 일제치하라는 시대적 상황과 일본인 심사위원들의 요구에 따를 수밖에 없었던 관전의 한계성 또한 내포하고 있다. 해방공간을 지나며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되고 조선미전을 통해 등장했던 사경산수화가들은 국전의 심사위원과 추천작가 등으로 활약하며 미술계에서 권위를 획득하게 된다. 이들의 이러한 국전 장악은 사경산수화를 구사하는 2세대와 3세대 작가군을 배출하며 이 장르를 확산시키기는 데 큰 기여를 하기는 했으나 국전의 동양화부를 비슷한 산수화 일색으로 만드는 원인으로 지적되며 비판의 대상이 되기도 했다. 또한 국전을 통한 사경산수화의 확산은 한편으로는 이전 시기보다 더욱 다양한 제재의 등장을 보이며 어느 정도 긍정적인 기능을 보이기도 하는데 제재별로 야산형 사경산수화, 산악형 사경산수화, 고적형 사경산수화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조선의 특색을 드러낼 목적으로 조선미전에서 주로 황량한 공간으로서 田畓으로 대표되는 향토경을 다루었던 산수화가 점차 줄고 수풀, 언덕, 개울 등의 평범한 야산을 다룬 산수화의 작품 수가 늘어난다. 이러한 야산형 사경산수화의 증가는 대한민국 정부의 주체성 찾기와 도시화・산업화로 인한 향토경의 애호와도 맞물려 있는 것이었다. 또한 이 시기 매우 증가하였던 산악형 사경산수화는 연속된 산봉우리나 바위 등을 집중적으로 묘사하면서 절경을 통해 국토의 氣와 美의 추구에 목적이 있었고 고적형 사경산수화는 산수 속에서 기와, 사찰 등의 건물을 집중적으로 표현한 산수화들로 이러한 고적을 통한 한국성과 민족성의 표현에 목적이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제재의 차용 모두 과거 청산이 완료된 기반 위에서 새로운 시대적 요구에 부응한 변혁이었다기보다 새로운 대안이 없이 과거의 제재를 시대적 맥락에 맞게 재차용한 문제점을 안고 있다. 1960년대 말 이후에는 서구의 오리엔탈리즘과 결합된 대한민국 정부의 민족중흥 정책으로 인해 미술계에서 전통의 현대화에 더욱 많은 담론이 형성되었으며 수묵산수화가들이 재조명되고 사경산수화는 조선 후기 정선의 진경산수화의 연장선상에서 해석되어지며 대중적으로 큰 인기를 끌었다. 또한 당시 경제성장에 따른 미술시장의 확대는 사경산수화들이 대중들에게 확산되어 미술시장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을 가능케 했다. 이처럼 조선미전과 국전을 통해 사경산수화의 시기별 전개와 제재별 양식분류에 대해 살펴보는 것은 관전을 통한 연구가 당시의 주요 경향과 흐름을 파악하는데 매우 유용하고 사경산수화라는 장르가 관전을 통해 등장하여 관전에서 그 권위를 획득한 만큼 시대적 요구와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었기 때문이다. 한국 근대기를 통해 시작된 전람회라는 미술제도는 이후 근・현대기 미술계의 경향을 주도하고 신진 미술인들의 데뷔와 기존 인사들의 권위획득의 중요한 통로로서 기능하였으며 미술을 대중에게 소개하고 교육하는 역할을 담당했다. 특히 정부 주도의 관전은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며 미술계의 경향을 좌우했던 만큼 관전을 통한 산수화 장르의 고찰은 당시 화단의 주요 경향과 흐름을 파악하는 중요한 방법으로서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본 논문은 조선미전과 국전 도록의 사진을 통한 출품작 확인과 당시 함께 등장한 비평과 회고를 통해 관전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사경산수화를 1920년대 등장과 1930년대 田畓式 사경산수화의 확립, 그리고 1950년대 초 국전을 통한 장르의 재구축과 1950년대 중반부터 1960년대 중반까지 양식적으로 다양화를 이루고 1960년대 말 이후 장르적으로 진경산수화의 연장선상에서 재조명되며 대중화되는 특징을 시기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또한 이러한 장르의 흐름과 함께 조선미전과 국전의 출품작의 제재에 따라 田畓式, 야산형, 산악형, 고적형으로 그 양식을 나누고 이러한 제재의 차용과 변화의 원인에 대해 고찰하였다. 조선미전과 국전 모두 혼란한 시대의 변화 상황에서 온전치 못한 정부의 목적성에 의해 개최되었던 관전인 만큼 여러 한계와 비판이 있다. 조선미전은 일제 강점기 동안 조선총독부에 의해 개최되었던 관전인 만큼 식민지의 지배이념이 들어가고 일본 관전과의 밀접한 연관성을 지니는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정부의 국전은 일제 잔재를 제대로 청산하지 못하고 조선미전의 체제를 그대로 답습하고 유파간의 갈등에 의해 끊임없이 국전을 둘러싼 논쟁과 싸움을 행했던 문제가 있었다. 또한 대한민국 정부에서의 시대적 요구에 따른 민족성과 한국성의 추구를 일제 강점기를 통해 행해졌던 동양성과 조선색 등에 대한 논의의 연장선상에서 행했기 때문에 일본작가들에 의해 제작되었던 산수화의 제재와 형식을 그대로 차용하였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그러나 한국 근・현대 사경산수화의 흐름을 관전 출품작을 중심으로 살펴봄으로써 이러한 산수화의 양식 변화와 흐름을 통해 한국사의 격변기에 전통 산수화단의 시대적이고 양식적인 고민을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