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72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성은-
dc.contributor.author우수현-
dc.creator우수현-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08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08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8094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471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0949-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17세기 프랑스 화가 니콜라 푸생(Nicolas Poussin, 1594-1665)의 <아르카디아에도 내가 있다Et in Arcadia Ego>(이하 루브르 <아르카디아>)에 대한 연구이다. 즉 푸생의 아르카디아 이미지에 내재된 전통의 계승과 동시대성의 발현을 역사적 관점에서 조명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고대 로마의 시인 베르길리우스에 의해 목가적 이상향으로 정립된 아르카디아 주제는 17세기 푸생 이전에도 즐겨 그려졌다. 푸생의 아르카디아 회화는 이러한 이상화된 목가적 풍경화 전통의 연장선상에 위치하는 동시에 당대의 시대정신 및 후원자들과 화가 사이에 존재했던 사상적 공감대였던 신 스토아철학을 반영하고 있다. 현재 루브르에 소장되어 있는 <아르카디아>와 그보다 10여 년 앞서 그려진 채즈워스 <아르카디아>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바탕으로 이 주제를 바라보는 푸생의 사상적 변화를 규명해 볼 수 있다. 전원적 이상향이라는 모티프가 본격적으로 받아들여지게 된 곳은 16세기 베네치아로, 르네상스시대 인문주의의 수용과 상류층들의 황금시대에 대한 동경과 관련이 있다. 17세기에 들어서며 이 주제는 로마로 중심을 옮겨 종교적이거나 역사적 주제와 결합하여 발전하게 되었고, 베네치아를 거쳐 1624년 로마에 도착한 푸생에게도 영향을 미쳤다. 푸생의 초기작에서 에로스와 결합되었던 자연은 이후 문학적 내러티브와 결합하여 철학적 분위기로 표현된다. 그러나 본고는 푸생의 루브르 <아르카디아>가 갖는 독창성과 미술사적 의의의 근거를 이제까지의 푸생 연구에서 상대적으로 간과되었던 동시대성에서 찾고자 한다. 푸생의 아르카디아 회화는 고전문학 및 이전 시대 회화의 전통을 토대로 한 것인 동시에, 작품이 제작된 17세기 유럽의 시대정신과 철학의 영향을 받아 완성된 것이다. 특히 루브르 <아르카디아>에서는 17세기 유럽에서 보편적으로 다루어졌던 주제인 죽음이 주요 제재로 다루어지고 있으며, 이를 바라보는 화가의 시선에서는 당시 푸생의 주요 후원자였던 프랑스의 지식인들 사이에서 유행하였던 신 스토아철학의 흔적이 발견된다. ‘죽음을 기억하라Memento Mori’라는 메시지를 나타내기 위해 그려졌던 바니타스 정물화는 풍요를 누리는 사회가 그 구성원들에게 물질만능주의에 대한 경각심을 불러일으키기 위해 유행시킨 것이었다. 푸생의 아르카디아 회화에서 가장 직접적으로 이러한 주제의식이 드러난 것은 해골과 그 대체물로서 등장하게 된 석관이다. 채즈워스 <아르카디아>에서 작게 표현된 해골은 루브르 <아르카디아>에서는 완전히 생략되며, 죽음은 화면 중앙에 위치한 거대한 석관과 사신의 낫 형태를 한 그림자, 목동들과 구별되는 여성인물의 존재로 더욱 은유적으로 드러난다. 두 점의 <아르카디아>를 비교함에 있어서 두드러지는 또 하나의 특징인 루브르 <아르카디아>의 관조적이고 명상적인 분위기는 푸생의 화업 초기부터 꾸준히 드러나는 영웅적 죽음이라는 테마와 연결되는 것이며, 이 태도의 바탕에는 화가 푸생의 스토아적 사상이 자리하고 있다. 당시 프랑스에서 일어난 프롱드의 난은 사회적 혼란을 겪고 있던 지식인들에게 스토아사상을 다시 주목하게 하는 계기가 되었다. 푸생은 약 2년 간 프랑스에 체류하는 동안 후원자들과 교류하며 당시 유행하던 신 스토아철학을 접한 것으로 추정된다. 신 스토아철학에서 죽음을 바라보는 태도가 잘 드러난 푸생의 <포시옹> 연작에서 비극적인 사건은 이상화된 자연의 일부로서 화면 전체의 고전적 질서 속에 편입되었다. 이렇듯 죽음을 삶의 일부로서 관조하는 태도가 루브르 <아르카디아>의 목동들에게도 적용된 것으로 보인다. 금욕과 평정을 중시하는 스토익한 태도는 푸생이 여성을 재현하는 방식에서도 드러난다. 루브르 <아르카디아>의 여성은 목동들과는 구별되는 옷차림을 하고 권위가 느껴지는 여신과도 같은 자세를 취하고 있다. 더불어 이 여성의 피부는 다소 부자연스러울 정도로 창백하게 표현되어 있는데 이는 여성을 초월적 존재로서 나머지 목동들과 구분지어 표현하기 위한 회화적 장치로 보인다. 결론적으로, 루브르 <아르카디아>는 그가 살았던 17세기 프랑스 지식인층 사이에서 유행하였던 신 스토아철학에서 삶과 죽음을 바라보는 태도를 반영하고 있다. 당대의 철학의 영향을 중심으로 푸생 회화의 동시대성을 조명하였다는 점에서 본 논문은 의의를 갖는다.;The study is on Et in Arcadia Ego of the 17th century French painter Nicolas Poussin, 1594-1665.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shed a light on the inheritance of tradition and realization of contemporary characteristic that are embedded in the images of Arcadia. The theme of Arcadia, the pastoral utopia pictured by the Ancient Roman poet Virgil, was a common subject of paintings before the time of Poussin. Arcadian paintings of Poussin also reflect the tradition as well as Neostoicism which was the spirit of the time and commonly shared ideology among the painter and his patrons. Both Et in Arcadia Ego, currently held at Louvre and Chatsworth describe a scene in which shepherds are discovering a sarcophagus. The Latin title of the painting Et in Arcadia Ego derived from the writing on the sarcophagus. This delivers the message that death exists even in a utopia to the shepherds and furthermore to the audiences. By comparing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paintings of Arcadia, the researcher was able to probe the ideological changes to approach the theme. In the history of western paintings, the pastoral utopia as a motif first became popular in 16th century Venice. Upon entering the 17th century, the theme was widely practiced in Rome and transformed itself after being combined with religious, historical or poetic themes. The contents and style of the new theme influenced Poussin who arrived in Rome in 1624, passing through Venice on the way. Therefore, it is fair to place the paintings of Poussin as a offspring representing idealized landscape of Venice and Rome. However, in this study the researcher emphasizes the creativity and historical significance of Louvre Arcadia by highlighting the elements of contemporary characteristics that have been overlooked in the past. The Louvre Arcadia is based on the tradition of classic literature and paintings. At the same time, it was completed under the influence of 17th European ideology and philosophy. The main theme of the Louvre Arcadia is death, the common subject of discussion in the 17th century. From the way Poussin approached it, one could trace the elements of Neostoicism which was the spirit of the time among the elites of France who were also the patrons. Vanitas still life was painted to deliver the message 'Memento Mori ; Remember you’re mortal' to arouse caution against materialism and debauchery. The most representative objects that deliver the message of Memento Mori are the skull and the sarcophagus as an alternative. Compared to the paintings of Italian painter Guerchino who also dealt with the same theme, the role of the skull in Chasworth Arcadia was greatly reduced and it was erased in Louvre Arcadia. The death in Louvre Arcadia is more subtle and metaphorical with a sarcophagus in the middle, a shadow which resembles the Grim Reaper with a deadly scythe and a female character who stands out among the shepherds. One prominent change that is witnessed between the two Arcadia is the way the shepherds approach the sarcophagus, otherwise, the way Poussin viewed death. The meditative and contemplative atmosphere of the Louvre Arcadia when facing death, in comparison to Chasworth Arcadia, is closely related to the consistent theme of Poussin’s paintings from the beginning, ‘heroic death’ reflecting the stoic philosophy. The major patronage came from the well-educated new rich of France. The Fronde led the elites who were going through social upheavals to rediscover Stoicism and they immediately found themselves seeking the Arcadia just like Virgil. Poussin encountered the Neostoicism while he was staying in France for two years. Stoicism teaches that the way for people to gain wisdom is by recognizing death and learning how to prepare for it. The elites of the 17th century France took this teaching by heart. In the Pochion series which successfully portray the attitude towards death in the perspective of Neostoicism, the human reaction to death is greatly downsized and the tragic event is well blended with the background following the traditional order by being depicted as a part of idealized nature. The attitude to consider death as part of life is clearly applied to the shepherds in Louvre Arcadia. The influence of Neostoicism which values abstinence and composer is witnessed in the way Poussin depicted women. The woman in Louvre Arcadia is neither the nymph from the paintings of 16th century Venetian Arcadian paintings nor a member of the shepherds. The woman in Chasworth Arcadia is wearing simple and comfortable garments exposing one of her bosoms, however, the woman in Louvre Arcadia is wearing a costume that differs from the rest of the shepherds and poses like a goddess with authority. In addition, compared to the shepherds’, the skin of the woman is so much paler that it looks almost unnatural. This is one of the pictorial element to differentiate her as a transcendental being. In conclusion, the images of Poussin’s Louvre Arcadia developed under various influences of the time; Virgil, Classicism of Renaissance, pastoral landscape of Venice and ideal landscape of Rome. In this paper, the researcher puts forward a new perspective that Poussisn added a new element, the attitude towards death under the influence of Neostoicism along with the idealized landscape of Arcadia, when he socialized with the French clientel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Ⅱ. 서양문화사에서 '아르카디아(Arcadia)' 9 A. 문학에서의 아르카디아 개념 탄생 9 B. 서양회화사에 나타난 아르카디아 16 Ⅲ. 고전과 목가적 이상향의 계승 26 A. 베르길리우스의 유산 26 B. 베네치아와 로마의 이상적 풍경화 34 Ⅳ. 푸생의 아르카디아와 동시대성 46 A. 바니타스(Vanitas)와 메멘토 모리(Memento Mori) 46 B. 스토아적 성격과 죽음에 대한 인식 53 Ⅴ. 결론 67 참고문헌 71 도판목록 83 도판 88 Abstract 11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28267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니콜라 푸생(Nicolas Poussin, 1594-1665) 작품에 나타난 ‘아르카디아’ 주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Arcadia' theme of Nicolas Poussin-
dc.creator.othernameWoo, Soo Hyun-
dc.format.pagev, 11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미술사학과-
dc.date.awarded2013.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