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328 Download: 0

브루스 나우만(Bruce Nauman)의 작품에 나타난 ‘신체’의 의미

Title
브루스 나우만(Bruce Nauman)의 작품에 나타난 ‘신체’의 의미
Other Titles
A Study on the Meanings of the "Body" in the Works of Bruce Nauman: With a focus on his video works
Authors
김진아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윤난지
Abstract
This study presents an investigation into the meanings of the body in the works of Bruce Nauman1941~. Raising a fundamental question "What is art?" against the conventional art works, Nauman has rejected the traditional sculpture materials and employed a variety of media including neon, film, and media to create a colorful selection of works. There is one common feature penetrating this vast spectrum of his works; it is the human body. Therefore, in this Thesis I set out to investigate the meanings of the body consistently exhibited in his works and discuss how he embodied them through the video media effectively by looking into his works from the early days to nowadays. The changes to the philosophical concepts of the body were prominent in the West in the 1960s when he started career as an artist. In the West, they used to regard the body as an opposite concept to the mind and place the mind over the body according to the early modern view of the world. A new concept of the body emerged as an alternative to break down the binomial opposition between the body and mind. A human being is the body itself and able to perceive the world through it according to the phenomenological perspective of a French philosopher Maurice Merleau-Ponty1908-1961. In other words, the body is not just the container of the mind but the subject of the senses and actions, becoming a channel to understand others as well as oneself through body experiences. The French philosophy began to be introduced in American art in the early 1960s with the American artists starting to use the body as the direct instrument and material of their works. Nauman proposed a new concept of the body through video, which started to attract interest as a new medium those days. Video was appropriate to record the body and its acts based on its essential nature of time. It began to come into notice as an instrument to dismantle the concept of work as a finished objet in modernism. Its feedback feature, which allows one to watch the recorded image on the monitor right after recording, especially enabled artists to induce the acts and experiences of viewers into their works. Artists explored the fluid concept of the subject with a blurry boundary between others and ego and between the body and environment through video. Nauman's early works were based on the immaterial, process-centric sculpture concept that was actively developed those days. As a matter of fact, the concept became the basis of all of his works. He created sculpture works revealing their creation processes as a challenge against the traditional solid and complete concept of sculpture and destroyed the completeness of his works by using materials that would disappear or break after the operation was over. In that sense, his interest in the body is considered as a reaction against the conventional concept of sculpture. He created some body parts in casting, from which point the body had become a major motif in his entire works. With those backgrounds behind him, Nauman recorded his performance in video since the middle 1960s. His clips are characterized by the body looking like an object just like physical materials. He treated his body as a prop in his works and manipulated his video camera to reveal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body. In those works,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body that has become anonymous with the lost subjecthood are highlighted. Based on the concept of the body that had become an object, he included mental reactions as well as physical ones in his works through body experiences in the 1970s, during which he usually created installation works that viewers would experience first-hand. In those works, video was used as a device to cause perceptual confusion in viewers. He created works to expose the absurdity of human society directly based on the body that went through reification and fragmentation since 1985. The body has been a major topic as a sort of alternative opportunity at the starting point of post-modernism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modernism. The study paid attention to Nauman's diverse experiments with the concept of the body in his video works. The study analyzed his entire collection of video works, finding out that there was a common motif called the body across the vast range of his works and delving into its meanings in the history of art.;본 논문은 브루스 나우만(Bruce Nauman, 1941~)의 작품에 나타난 신체의 의미를 살펴본 연구이다. 나우만은 관습적인 미술작품에 대해 ‘예술이란 무엇인가’라는 본질적인 질문을 던지면서 전통조각의 재료를 거부하고 네온, 필름, 비디오와 같은 매체들로 다양한 작업을 전개해온 작가이다. 이러한 넓은 작업의 스펙트럼 속에서도 신체는 이를 관통하는 일관된 특징이다. 필자는 나우만의 초기작부터 최근작까지 살펴봄으로써 그의 전 작품에 걸쳐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신체의 의미를 규명하고 작가가 어떻게 영상 매체를 통해 이를 효과적으로 구현하였는지에 대해 논의하고자 하였다. 나우만이 활동을 시작한 1960년대 서양에서는 신체에 대한 철학적 관념의 변화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서양의 근대적 세계관에서 신체는 정신과 대립되는 개념으로 정신을 신체보다 우위에 두어왔다. 그러나 신체와 정신의 이항 대립을 와해시키는 대안적 계기로서 새로운 신체 개념이 제시되기 시작한 것이다. 특히 프랑스의 철학가 모리스 메를로퐁티(Maurice Merleau-Ponty, 1908-1961)의 현상학적 관점에 의하면 인간은 신체 그 자체이며 신체를 통해서 세계를 인식할 수 있다. 즉, 신체는 단지 정신의 담지체가 아니라 감각과 행위의 주체로서 신체적 경험을 통해 타자와 자아를 이해하는 통로가 되는 것이다. 이러한 프랑스 철학은 1960년대 초부터 미국의 미술에도 수용되기 시작하였고 이에 따라 미술가들은 신체를 작업의 직접적인 도구이자 재료로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나우만은 당시 새로운 매체로 관심을 받기 시작한 비디오를 통해 신체의 새로운 개념을 제시했다. 본질적으로 시간의 속성을 가진 비디오는 신체와 그 행위를 기록하는데 적합하였으며 모더니즘의 완결된 오브제로서의 작품 개념을 해체하기 위한 도구로 주목받기 시작했다. 특히 녹화를 하고 즉시 모니터를 통해 이미지를 볼 수 있는 피드백적 특성은 관람자의 행위와 경험을 작품으로 끌어들이는 것을 가능하게 했다. 미술가들은 이를 통해 타자와 자아, 신체와 환경의 경계가 모호한 유동적 주체 개념을 탐구했다. 한편, 나우만의 초기 작업은 당시 활발히 진행되었던 비물질적이고 과정중심적인 조각 개념에 기인한 것으로, 그의 전 작업의 근간이 된다. 그는 전통적으로 견고하고 완전한 조각개념에 대한 도전으로 작품의 제작 과정을 드러내는 조각 작품을 만들었으며, 작업이 끝나면 사라지거나 부서지는 재료를 사용하여 작품의 완전성을 파괴했다. 이러한 견지에서 신체에 대한 관심 역시 기존의 조각 개념에 대한 반동으로 볼 수 있다. 그는 주조법 작업을 하면서 신체의 일부분을 주물로 뜨기도 했는데 이로 부터 신체는 그의 전 작업을 통해 주요 모티프로 나타났다.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나우만은 1960년대 중반부터 자신의 퍼포먼스를 비디오로 기록했는데, 신체가 물질적인 재료와 같이 사물화된 형태를 보이는 것이 특징이다. 그는 자신의 신체를 작품을 이루는 소도구와 같이 다루고 신체의 물성을 드러내기 위해 비디오 카메라를 조작하였다. 여기서 나타나는 신체는 주체성을 잃어버린 익명적인 신체로 물성이 강조되는 것이다. 이러한 사물화된 신체 개념을 바탕으로 1970년대 나우만은 신체 경험을 통해 신체의 생리적 반응 뿐 아니라 정신적 반응을 작품으로 끌어들이기도 하였다. 이 시기의 작품은 주로 설치 작품으로 관람자가 직접 체험을 하는 것이며, 여기서 비디오는 지각적 혼란을 주는 장치로 사용된다. 또한 1985년 이후에는 물화되고 파편화된 신체를 기반으로 인간 사회의 부조리함을 직접 제시하는 작품을 시도했다. 신체는 모더니즘의 한계를 극복하고자한 포스트모더니즘의 시작점에서 일종의 대안적 계기로 주요한 화두가 되어왔다. 본 논문은 나우만의 비디오 작품을 중심으로 신체 개념이 다양하게 실험되는 점에 주목하였다. 따라서 본고는 나우만의 전 비디오 작업을 분석함으로써 그의 넓은 작업 영역 속에서 신체라는 공통된 모티프 등장함을 발견하고 그 미술사적 의미를 밝혔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