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은주-
dc.contributor.author김윤미-
dc.creator김윤미-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07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07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7591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470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5912-
dc.description.abstractThe seventh national curriculum of South Korea emphasizes promoting learner autonomy and self-directed learning.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the learner role in foreign language learning, much effort has been expended on the empirical examination of the effects of learning strategy use and learning strategy instruction on English achievement. However, English classes in Korea less focus on strategy learning than content and language learning. Moreover, there has been a lack of successful integration of explicit learning strategy instruction into regular English classes. Therefore,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applicability of the CALLA model, which integrates content subject instruction with academic language development and explicit instruction on learning strategies, to Korean high school EFL learners. The study was undertaken with highly controlled setting. 89 Korean high school students were selected and allocated randomly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was given explicit learning strategy instruction, along with content and language instruction, by applying the CALLA model over 3-week period, while the control group was given only content and language instruction during the same period. The result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explicit strategy instruction on learners’ listening and reading abilities. Also, the effects of the explicit strategy instruction on participants’ listening and reading strategy use were examined through survey questions, and their attitude toward the instruction were examined through the learning logs and the in-depth interview.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learners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more improvement on their post-listening test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Especially, the higher-level learners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more improvement on their post-listening test than lower-level learners. As for the types of listening, both higher-level and lower-level learners in the experimental group significantly improved their bottom-up listening ability. Second, the improvement in the post-reading test resul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both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Also, there was no significant improvement in reading scores in both higher-level and lower-level learners. As for the types of reading, top-down reading ability of the learners in the experimental group significantly improved, only in the higher-level learners. Third, the data from the survey questions on listening and reading strategy use showed that the learners in the experimental group significantly improved their listening and reading strategy use in all those five areas: memory strategies, cognitive strategies, compensation strategies, metacognitive strategies, and socio-affective strategies. However, mostly the improvemen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higher-level learners, especially in the memory strategies for listening and socio-affective strategies for reading. Finally, the learning logs that the learners in the experimental group wrote during the class and the in-depth interview results implied that most participants who engaged in the explicit learning strategy instruction found learning strategies interesting and useful. They said they could use most of the strategies they had learned, and showed their willingness to transfer those strategies to a new task. However, some of the lower-level learners found learning strategies difficult and complex. They had got used to the previous way of learning and did not seem to adjust themselves to the new way of learning. A number of caveats need to be noted regarding the present study. The small size impedes the generalization of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and the 3-week treatment is insufficient length of time to suggest the effectiveness of the application of the CALLA model. However, the results of this study lead to important pedagogical implication in Korean educational setting. First, learners can improve their listening and reading skills, foster their strategy use, and develop positive attitude toward learning strategies through explicit learning strategy instruction. Also, the strategies and materials used in the study and the method of teaching strategies need to be more carefully adjusted, regarding learning contexts and learners’ language proficiency level. It is suggested that teachers and researchers should pay more attention to integrating explicit learning strategy instruction into secondary regular English classes, which can facilitate students’ learning.;제 7차 영어과 교육과정에서 강조하고 있는 학습자의 자율성과 자기주도적 학습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학습자가 사용하는 학습전략에 대한 이해와 학습자에게 학습전략을 가르칠 수 있는 보다 효율적인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수적이다. 교과의 내용과 언어에 대한 교수뿐만 아니라 명시적인 학습전략 훈련을 통해 학습자가 학습전략을 자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도록 한다면, 학습자들로 하여금 보다 성공적인 학습자로 발전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을 것이다. 명시적인 학습전략 훈련의 필요성과 명시적 학습전략 훈련이 학습자들의 영어 능력과 자기주도학습 능력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에 대한 많은 연구가 있어왔으나, 여전히 교실 현장에서는 명시적인 학습전략 훈련을 수업에 효율적으로 통합는 데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영어 학습에 있어서 명시적인 학습전략 훈련을 내용 학습과 언어 학습에 통합하는 CALLA 모델을 고등학교 영어수업에 적용하여 학습자의 영어 듣기 및 읽기 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학습자들의 듣기 및 읽기 전략에 대한 인식 및 사용 측면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연구하는 것이다. 또한, 명시적인 학습전략 훈련을 병행한 수업에 대한 학습자들의 태도는 어떠한지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자가 근무하고 있는 경기도 소재의 D외국어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 중 실험집단 두 학급과, 통제집단 두 학급을 선정하여 총 89명을 대상으로 3주 동안 8차시의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집단은 CALLA 모델을 적용하여 내용학습과 언어학습뿐만 아니라 명시적인 전략 훈련을 병행하였고, 통제집단은 이전에 해오던 수업방식 그대로 내용 학습과 언어 학습에만 초점을 두었다. 본 연구의 실험 결과를 분석하기 위해 사전·사후 읽기 및 듣기 능력 평가 점수와 전략 인식 및 사용에 대한 설문 결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학습자들이 수업시간에 직접 작성한 학습일지와 심층 인터뷰를 통하여 학습자들의 수업에 대한 태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CALLA 모델을 적용하여 명시적 학습전략 훈련을 병행한 것이 학습자들의 영어 듣기 능력에 미친 영향을 알아본 결과, 실험집단에서 사전 듣기평가보다 사후 듣기평가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음을 볼 수 있었으며, 듣기 점수의 향상도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이 증명되었다. 또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상·하위 수준별 영어 듣기 능력 향상 측면에서 볼 때, 실험 집단의 하위 집단 보다 상위 집단에서 유의미한 향상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하향식, 상향식, 추론적 듣기 문항 유형별로 보았을 때는 상위 집단과 하위 집단 모두에서 상향식 듣기 능력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을 가져왔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명시적인 학습전략 훈련이 학습자들의 듣기 능력, 특히 상위 학습자의 상향식 듣기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보여주는 결과로, 향후 명시적인 학습전략 훈련을 고등학교 영어 수업에 적용했을 때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 된다. 둘째, CALLA 모델을 적용하여 명시적인 학습전략 훈련을 병행한 것이 학습자들의 영어 읽기 능력에 미친 영향을 알아본 결과, 실험집단에서 사전 듣기평가보다 사후 듣기평가 점수가 다소 향상되었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상·하위 수준별 영어 읽기 능력 향상 측면에서 볼 때, 실험 집단에서 여전히 유의미한 차이를 볼 수 없었다. 하지만 하향식, 상향식, 추론적 읽기 문항 유형별로 보았을 때는 상위집단의 하향식 문제 유형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이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볼 때, 읽기 능력의 향상은 듣기 능력의 향상에 비해 미미하였으나, 명시적인 학습전략 훈련이 상위 집단의 하향식 읽기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보여준다. 셋째, CALLA 모델을 적용한 명시적인 전략 수업이 학습자의 전략 인식이나 사용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알아보기 위해 사전·사후 설문을 분석한 결과, 읽기와 듣기 전략 점수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상위 학습자와 하위 학습자로 나누어 분석 했을 때는 하위 학습자들에 비해서 상위학습자들이 듣기와 읽기 전략 점수에서 더 많은 향상을 보였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하였다. 특히, 듣기 영역의 기억전략과, 읽기 영역의 사회·정의적 전략 사용의 향상도가 가장 컸다. 이는 명시적인 학습전략 훈련이 학습자들의 듣기 및 읽기 전략 인식 및 사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실험집단의 학습자들이 수업 중 자기평가시간에 작성하였던 학습일지를 바탕으로 학습자들의 전략 수업에 대한 태도를 분석한 결과, 학습자들은 수업시간에 학습한 전략 중 많은 전략을 스스로 사용할 수 있다고 하였고, 어려웠던 점에 대해서 그 원인을 분석해보고 스스로 해결책을 찾고, 다음에 같은 어려움에 직면했을 때 전략을 사용하여 해결해보겠다는 의지를 보였다. 심화인터뷰를 통해 의견을 이야기한 학습자들 중, 두 명의 상위 학습자들은 전략 수업에 대해서 대부분 긍정적인 의견을 보였고, 학습전략을 흥미롭고 유익한 것으로 여겼다. 반면, 두 명의 하위 학습자들은 전략 훈련이 어렵고 복잡하다고 하였으며, 이전에 하던 수업 방식에 적응이 되어있어 새로운 수업 방식에 다소 적응하지 못하는 모습이었다. 이를 볼 때, 학습전략 훈련에 대한 학습자들의 의견에는 차이가 있었지만, 다수의 학습자들이 학습전략 훈련을 흥미롭고 유익하다고 한 것을 볼 때, 명시적인 학습전략 훈련에 대한 학습자들의 태도는 긍정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CALLA 모델의 적용을 통한 명시적인 전략 수업은 학습자의 듣기 능력과 읽기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전략 인식 및 사용을 향상시킨다는 점에서 현재 영어 교육 현장에서 다소 소홀하게 다루어지고 있는 명시적인 학습전략 훈련을 활성화 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상의 결과들은 영어 학습 상황과 학습자의 상황을 고려하여 CALLA 모델을 효율적으로 계획하고 적용하는 데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 연구 4 A. 이론적 배경 4 1. CALLA 모델 4 2. CALLA의 이론적 틀 5 3. CALLA의 구성 요소 8 4. CALLA의 수업 단계 21 B. 선행 연구 24 1. 학습 전략 및 전략 훈련 수업에 대한 해외 연구 24 2. 학습 전략 및 전략 훈련 수업에 대한 국내 연구 31 Ⅲ. 연구 방법 39 A. 연구 질문 39 B. 연구 대상 40 C. 연구 자료 41 1. 사전사후 듣기 및 읽기 능력 평가지 41 2. 전략 인식 및 사용에 관한 설문지 42 D. 연구 절차 및 자료 분석 방법 43 1. 실험 절차 44 2. 통계 처리 51 E. 연구의 제한점 52 Ⅳ. 연구 결과 논의 53 A. 영어 듣기 및 읽기 능력 변화 분석 53 1. 집단 내 영어 듣기 및 읽기 능력 변화 및 집단 간 향상도 비교 53 2. 상하위 수준별 집단 내 영어 듣기 및 읽기 능력 변화 및 집단 간 향상도 비교 55 3. 평가 영역별 영어 듣기 및 읽기 학습 효과 차이 비교 57 4. 실험집단의 듣기 점수와 읽기 점수의 상관관계 62 B. 듣기 및 읽기 학습 전략 인식 및 사용 변화 분석 66 1. 집단 내 전략 인식 및 사용 변화 66 2. 상하위 수준별 집단 내 전략 인식 및 사용 변화 67 C. 정의적 태도 분석 70 1. 학습 일지 및 심화 인터뷰를 통한 명시적인 전략 훈련에 대한 태도 분석 70 Ⅴ. 결론 및 제언 74 참고문헌 77 부록 85 ABSTRACT 10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96622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400-
dc.title명시적인 학습전략 훈련이 고등학교 학생들의 영어 듣기 및 읽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CALLA 모델 적용 효과-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the Explicit Learning Strategy Instruction on High School Students' Listening and Reading Abilities : The Applicability of the CALLA model-
dc.creator.othernameKim, Yoon Mi-
dc.format.pagexiii, 10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13.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