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39 Download: 0

초등학교 6학년의 전통적인 음악수업과 ICT를 활용한 음악수업에서의 학습자 비교

Title
초등학교 6학년의 전통적인 음악수업과 ICT를 활용한 음악수업에서의 학습자 비교
Other Titles
An Inquiry into The Comparison of Two 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 Groups Between a Traditional Music Class Based on Three Factors And ICT-applied Music Class : Interest, Absorption and Satisfaction
Authors
이유나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염현경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6학년 음악수업의 교수·학습에 관한 학습자 태도를 조사하여 보다 효율적이고 창의성을 기르는 초등 음악교육의 교수·학습방법을 적용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사용한 교수·학습방법은 ‘전통적인 교수법’과 ‘ICT 활용 교수법’이다. 두 가지의 교수·학습방법을 실제 수업에 적용하고 교수법의 변화에 따라서 학습자의 흥미도, 몰입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및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에 소재한 초등학교 6학년이며, 전통적인 음악수업을 적용한 22명의 집단과 ICT 활용 음악수업을 적용한 22명의 집단으로 구성하였다. 현직 교사 전문가의 조언을 바탕으로 6학년 음악과 수업 지도안을 작성하여 A집단에서는 ‘전통적인 음악수업’을 2회 적용하였고, B집단에서는 ‘ICT 활용 음악수업’을 2회 적용하였다. 그리고, 수업의 제재곡으로는 현재 연구대상 학교에서 수업교재로 사용하는 6학년 교과서 수록곡을 선택하였다. 1회차는 기악, 가창 영역을 중심으로 한 ‘풍년가’, 2회차는 감상, 신체활동 영역을 중심으로 한 ‘극음악의 세계’로 구성하였다. 연구도구인 설문지는 매회 수업 시작 전에 학습자의 배경질문 및 음악의 선호도, 레슨 유무 등과 같은 일반적 사항을 묻는 질문지를 배포하였다. 수업 후에는 집단별 학습자의 수업 태도를 조사하는 설문지 22부를 배포하고 회수하였다. 설문지의 구성은 수업에 대한 학습자의 ‘흥미도, 몰입도, 만족도’를 알아볼 수 있는 리커트 5점 척도와 개방문항 3문항으로 하였다. 그리고, 설문지의 자료 처리 방법으로는 SPSS Ver 19.0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연구 문제에 따라 기술통계분석, 내적 일관성 검사, t-test, paired t-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도구의 신뢰도를 검증한 Cronbach’s α 계수는 .970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집단에 따른 수업 태도의 차이를 살펴보면, 1회차 ‘풍년가’ 수업은 A, B집단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2회차 ‘극음악의 세계’ 수업은 두 집단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전통적인 교수법을 적용한 A집단의 ‘흥미도, 몰입도,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p<.01). A집단의 하위영역 응답이 높게 나온 이유는 개방형 문항의 응답을 통해서 알 수 있는데 ‘뮤지컬을 직접 해보고 친구들과 활동해서 좋았다’와 같이 학습자의 참여도가 높은 모둠활동은 수업의 ‘흥미도, 몰입도,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ICT 활용 수업을 적용한 B집단의 경우, 개방형 문항 중 아쉬웠던 점이 ‘발표를 많이 하지 못해서 아쉽다’가 가장 많았다. 각 집단별로 제재곡에 따른 흥미도, 몰입도, 만족도를 비교하였을 때, ICT 활용 수업을 적용한 B집단은 1회차 ‘풍년가’와 2회차 ‘극음악의 세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전통적인 교수법을 적용한 A집단은 1회차 ‘풍년가’와 2회차 ‘극음악의 세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1회차 ‘풍년가’에 비해서 2회차 ‘극음악의 세계’의 몰입도와 만족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이것은 설문지의 개방형 문항의 응답을 통해서 알 수 있는데, 학습자가 능동적으로 창작 뮤지컬 공연에 참여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현행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학습자의 적극적, 능동적 참여를 이끌어 낼 수 있는 다양한 교수·학습방법 개발의 필요성에 대해 제언하고자 한다. 또한, 연구대상을 전국적인 초등학생으로 확대하여, 많은 차시의 수업으로 초등 음악교과의 교수·학습에 관한 보다 객관적이고 다양한 타당도를 바탕으로 한 측정도구의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이를 통해 초등 음악교과 교수·학습의 발전과 더불어 학습자의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참여를 유발할 수 있는 교육과정의 개발에 기여하기를 기대한다.;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6th grade students’ attitudes towards teaching and learning a music class. The purpose is to teach resources for primary music education to encourage more creativity. ‘Teaching and learning’ was categorized into two methods: ‘traditional teaching method’ and ‘ICT-used teaching method’. Each method was applied to classes to measure the differences in interest, absorption and satisfaction of the learner groups.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are among 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Seoul. Group A and B consisted of 22 students who were proved to have similar age homogeneity. A class lesson plan was made based on the advice from an expert teacher. The ‘traditional teaching method’ was administered twice to group A, and ‘music lesson using ICT’ also twice to group B. For the experiment, I chose songs from the 6th grade level music textbook used in the school. The first lesson was about folk song through musical instruments and singing, while the second one was about drama music based on physical activities and appreciation. A survey was carried out in the beginning of each lesson to figure out the subjects’ backgrounds, music tastes and previous educational history. After the class, the survey questions were given to 22 participants to investigate learning attitudes of students in each group.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5-items Lickertis scale and three open questions that would measure the learners’ interest, absorption, and satisfaction. I also used SPSS Ver 19.0 statistical package program for the data processing and performed technology statistical analysis, internal consistency test, t-test, and paired t-test, depending on the subject for inquiry. And the result was Cronbach’s α .970. The analysi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In terms of the attitude, the two groups did not show any statistical differences in regards to ‘folk song’ class. However, in the second class where ‘drama music’ class was hold using the traditional teaching method, group A showed a greater level of interest, absorption and satisfaction(p<.01). Group A’s greater response was explained by their answers to the open questions. Many answered that they liked taking part in the drama and cooperating with friends. It is clear that the degree of participation may have affected students’ interest, absorption and satisfaction towards learning. For group B with ICT-used class, the majority answered that the most unsatisfactory part of the class was not having enough chances to give presentation. Also, group B with ICT-applied class showed no difference between the folk song and the drama music lesson compared to group A. However, with the traditional teaching method, group A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lass of ‘folk song’ and ‘the play music’s world’(p<.05). Group A showed better immersion and higher level of satisfaction in the latter than in the former. According to the students’ answers to the open questions, the greater satisfaction in the drama music class was found, which is assumed to have resulted from the students’ active participation in the musical play. Therefore, I would like to suggest several methods for music education that could help improve teaching quality and promote student participation. Since there is a rising demand for music education nowdays, a higher demand for more diverse teaching methods is expected as well, which would require more objective analysis than that of the current teaching model. I hope that my research contributes to developing curriculum that encourages students to invole in more enthusiastically, as well as to progressing teaching and learning in music educ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