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4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윤승현-
dc.contributor.author김주아-
dc.creator김주아-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07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07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7579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469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5793-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atively analyze musical pieces included in the textbooks of first-year middle school and to develop an effective teaching method. Based on musical pieces currently being used in the first year middle school, I would like to make up a school teaching method in order to provide various musical activities mainly focused on instrumental ensemble. My teaching program which could be materials for melody & percussion mixed-up as well as percussion ensemble itself has a vocal part with widely used instruments and life percussion instruments so that more students are able to experience a bit more opportunities for instrumental ensemble from their regular music classes. This program was aimed to improve students’ musical potential capabilities through comprehensive music education including instrumental ensemble performing interaction and, to provide a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which helps students with building up a sound character. The object of this study is all musical pieces for instrumental ensemble area, chosen by 16 kinds of first-year middle school textbooks(revised in 2007) currently being used in 2012. Especially selected and comparatively analyzed textbooks for first-year middle school published in a variety of kinds to minimize limitations, and to secure objectivity. I conduct textbook comparison and analysis to select musical pieces including various instrumental ensemble activities. Among 669 songs from 16 kinds of textbooks(revised in 2007) for first-year middle school, musical pieces with more than 4 parts, which can perform a full-lengthy paly fulfill a criterion to be intensively analyzed. Based on this criterion, classified 24 pieces selected among total 666 pieces by the number of pieces, characters of music, its consequence in the text book i.e. which kind of music comes before and after centering the selected music pieces, instruments and compositions of parts. In the final analysis, total two pieces that are suitable for the provision of diverse opportunities for experiencing instrumental ensemble were selected for mixed-up ensemble and percussion ensemble each. With selected materials, the teaching program was composed of two sections for each pieces. My program was developed to show benefits of process of practices for harmonizing both part of pieces and entire one so that all members of students could create musicianship through cooperative practices to achieve their studying targets. A probability of this program has been verified by three music teachers working at Seoul metropolitan city. This researcher has conducted a survey with them in person and received additional improvements and advices from interviewees. The likert scale(5-point-scale) being applied, it has 9 multiple-choice questions to assess this program’s probability and one question to write about the overall evaluation and its improvement. It seems likely that my program will be working as an effective role in an instrumental ensemble area. Given that I compared music pieces of instrumental ensemble area in all music textbooks for first-year middle school, teachers could easily seek class materials from the information on each item but also, this could be used as an idea for a school teaching plan. I believe this program would be helping stimulate instrumental ensemble activities. Besides hope this could let students more often experience instrumental ensemble activities and this would be a good alternative for educating instrumental ensemble, which they develop musical ability and the program contribute to whole-person education creating cooperation, consideration and relationship.;본 연구의 목적은 정규 수업에서 다양한 활동이 포함된 기악합주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중학교 1학년 교과서를 비교분석한 후, 선택된 제재곡을 토대로 개발한 기악합주 수업지도안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개발한 수업지도안은 가락·타악합주와 타악합주를 위한 자료로서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악기 및 생활 타악기로 성부를 구성하여 악기구비의 제한점을 최소화하였다. 덧붙여 본 연구는 포괄적 음악교육과 협동학습이 주를 이루는 합주교육을 통하여 학생들의 음악적 능력 향상과 활발한 상호작용을 돕는 한편, 나아가 긍정적 인격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교수-학습방법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2012년 현재 사용 중인 2007년 개정 16종 중학교 1학년 교과서의 기악합주영역 제재곡으로서 첫째, 선택의 제한을 줄이고 둘째, 자료의 객관성을 획득하며 셋째, 다채로운 기악합주활동을 포함한 제재곡을 선정하기 위해 학급별 2007년 개정 교과서의 종류를 고려하여 가장 다종으로 편찬된 중학교 1학년 교과서를 비교분석하는 과정을 거쳐 추출하였다. 2007 개정 16종 중학교 1학년 교과서의 수록 제재곡은 총 666곡으로, 표본추출 기준은 다양한 활동을 포함하는 4성부 이상의 구성이면서 전곡 연주 가능한 제재곡으로 설정하였다. 기준에 근거하여 전체 666곡 제재곡 중에서 추출한 24곡의 제재곡수, 수록형태 및 흐름, 악기와 성부 구성으로 구분하여 심화분석 하였다. 분석을 통해 다채로운 기악합주경험 제공에 적합한 가락·타악합주와 타악합주를 위한 제재곡을 각각 한곡씩 총 2곡을 선정하였고, 선정한 제재곡을 활용한 수업지도안을 각 제재곡별 1·2차시로 작성하였다. 또한, 파트 및 전체합주의 조화를 연습하는 과정의 장점을 살려 학생들이 서로 도우며 학습목표를 달성하는 협동학습으로 학급구성원 전체가 포괄적음악성을 형성하는 데 주안점을 두고 수업지도안을 개발하였다. 개발한 수업지도안은 서울특별시에 재직 중인 현직 교사 3명에게 내용의 타당성을 검증받았다. 검증방식은 본 연구자가 직접 현직교사와 만나 설문지를 작성하는 형태로 진행되었으며, 작성과정에서 개별면담을 통해 추가 개선점 및 조언을 받을 수 있었다. 설문지는 리커트 척도(likert scale)인 5점 척도를 적용하여 수업지도안의 현장적용가능성을 평가하는 9문항의 선택형과 지도안 전체의 평가와 개선점에 대한 서술형 1문항으로 구성하였다. 검증 결과 기악합주영역 교수·학습 자료로 유용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중학교 1학년 전체 교과서에서 제공하는 기악합주영역의 제재곡을 비교하였기 때문에 항목별 분석내용을 바탕으로 수업 시 필요한 자료에 대한 정보를 보다 쉽게 얻을 수 있을 것이며 개발한 지도안은 새로운 수업방식의 일환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정규수업에서의 기악합주활동을 활성화하여 보다 많은 학생들의 음악적 능력 발달과 대인관계 형성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끼쳐 전일체(全一體)로서의 인간으로 성장하는 데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내용 및 방법 3 C. 연구의 제한점 4 Ⅱ. 이론적 배경 6 A. 2007 개정 교육과정 6 B. 기악 교육 및 기악합주의 중요성 15 Ⅲ. 연구 방법 23 A. 연구 대상 23 B. 연구 도구 23 C. 음악수업 설계 25 Ⅳ. 기악합주수업 지도안 개발 29 A. 수업지도안 제재곡 선정을 위한 교과서 분석 29 1. 중학교 1학년 음악 교과서 수록 제재곡 수 29 2. 기악합주 제재곡의 수록 형태 및 진행 흐름 30 3. 기악합주 제재곡의 악기 및 성부 구성 38 4. 기악합주 제재곡의 조성․마디 수․가락악기 음역 40 B. 기악합주 수업 지도안 개발 44 1. 가락․타악합주 수업지도안 45 2. 타악합주 수업지도안 56 C. 수업지도안의 타당성 검증 65 Ⅴ. 결론 및 제언 72 참고문헌 75 부록 79 ABSTRACT 8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5379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중학교 1학년 교과서 분석 및 제재곡 활용 기악합주 수업지도안 개발-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n Analysis of the First Year Middle School Music Textbooks and the Developing the Teaching Cases for Instrumental Ensemble in the Music Curriculum-
dc.creator.othernameKim, Joo A-
dc.format.pagex, 8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dc.date.awarded2013.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