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종우-
dc.contributor.author방예진-
dc.creator방예진-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05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05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7700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468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7001-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한국과 대만 두 국가의 과학 선호도를 파악하고, 과학 선호도의 인과요인들이 과학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양국의 학생들이 자신의 과학 성적에 대한 인식, 과학 선호도, 과학 선호도의 인과요인의 분포를 살펴보았고, 그들의 성별, 학년별, 아버지 직업, 희망 진로, 과학 성적 인식에 따라 나타나는 과학 선호도를 살펴보았다. 또한 과학 선호도 평균, 과학 선호도 하위범주에 영향을 미치는 인과요인들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은 서울, 경기, 인천 소재의 4개의 중학교 2, 3학년 남, 여학생 288명, 대만은 Taipei(臺北), Kaohsiung(高雄)소재의 4개의 중학교 2, 3학년 남, 여학생 270명으로 총 54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설문지는 총 506부를 분석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을 사용하여 연구문제에 따라 기술통계량과 독립표본T검정, 집단별 평균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과 대만의 과학 선호도 평균은 한국은 3.17, 대만은 3.29로 양국 모두 중간 정도의 결과이나 상위인 과학 성취도 수준과 비교하면 선호도가 낮은 수준이다. 또한 양국 모두 자신의 과학 성적에 대하여 부정적으로 인식을 하는 학생의 비율이 높았다. 둘째, 한국과 대만 모두 과학기술 및 산업이 발달한 국가의 영향으로 과학 선호도에 대한 가치확립과 감정반응 범주의 평균은 높고, 행동의지 범주의 평균은 낮게 나타났다. 또한 양국 모두 자신의 과학 성적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일 수록 과학에 대한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과학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과학 선호도 인과요인 소범주의 결과에서는 한국과 대만 양국 모두 학교 안 과학교육에서의 내용요인, 개인성향요인, 사회적 가치 요인이 과학 선호도에 주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과학 선호도 향상을 위한 학습자 자신의 성적에 대한 인식 개선의 필요를 제안한다. 또한 학교 안 과학교육 내용이 과학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결과를 바탕으로 공교육의 내실화를 위한 노력을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학교 밖 과학교육의 기회를 늘려 가정에서 과학 문화에 대한 관심과 인식 향상, 과학의 생활화를 통한 과학 선호의 향상시키는 방안을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middle school students' preference for science and its casual factors affect science preference between Korea and Taiwan. For this study, students of both nations looked into their recognition of one's science, preference for science and distribution of science causal factors and also they examined preference for science which is revealed by thier sex, grade, parent's jobs, desired courses and distribution of science factors. Also, we analyzed causes and effects which affect simple science interest, an average of preference for science and subcategory of the science preference. The study was administered to total 548 persons. 288 Korean boys and girls in 4 middle schools at Seoul, Kyeongki-do and Incheon. And 270 Taiwanese boys and girls in 4 middle schools at Taipei and Kaohsiung. The study was finally investigated 506 copies. SPSS 18.0 program was used. The study made use of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Samples t-Test, Group-Based mean Analysis, Multiple Refression Analysi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preference for science average are 3.17 in Korea and taiwan is 3.29. It is middle level in preference for science. But Both countries are World science achivement level is high ranking countries. so In comparison with World science achivement level, preference for science averages are low level. And Both countries students has negative cognition on their science score. Second, They are developed countries about science technology and industry. so The average of establish of value category and emotional reaction category is high about preference for science. But behavioral intention category's average is lower. And The more positive cognition in one's science score, the higher for preference for science averages Third, Causal Factors in preference for science have an effect on preference for science are contents of school education, one's ability and disposition. And family background effects are low level. Through this study, learners will need to improve recognition of their grades for the science due to improvement of science preference by themselves. In conclusion, it is definitely necessary to create a more opportunities of science education outside school and enhance science preference through attention of science culture and improvement of recognition, make science a part of their own lif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B. 연구 문제 3 C. 연구의 제한점 3 Ⅱ. 이론적 배경 5 A. 과학교육에서의 정의적 영역 5 1. 과학교육에서의 정의적 교육 5 2. 정의적 교육의 중요성 7 3. 정의적 영역과 학업관련 특성 8 4. 정의적 영역의 평가 9 5. 초‧중‧고등학교 과학의 정의적 영역 목표 10 B. 과학 선호도의 분석적 의미규정 11 1. 과학 선호도의 정의와 범주 11 2. 과학 선호도의 인과요인 15 C. 대만의 학교제도 16 D. 대만과 한국의 과학교육 과정 비교 18 E. 선행연구 고찰 21 Ⅲ. 연구의 방법 및 절차 23 A. 연구대상 23 1. 한국 23 2. 대만 24 B. 연구절차 24 C. 연구검사도구 26 1. 과학 선호도 조사 설문지 26 D. 자료의 처리 및 분석 27 Ⅳ. 연구결과 및 논의 29 A. 자신의 과학 성적에 대한 인식 29 B. 과학 선호도와 인과요인의 응답 분포 30 1. 과학 선호도의 응답분포 30 2. 과학 선호도 인과요인의 응답분포 32 3. 성별에 따른 과학 선호도 차이 34 4. 학년별 과학 선호도의 차이 35 5. 아버지 직업에 따른 과학 선호도 차이 36 6. 과학 성적에 대한 인식에 따른 과학 선호도 차이 37 7. 희망진로에 대한 과학 선호도 차이 38 C. 과학 선호도 인과요인의 다중 회귀분석 39 1. 과학 선호도 평균에 영향을 미치는 과학 선호도 인과요인 40 2. 과학 선호도 하위범주에 영향을 미치는 과학 선호도 인과요인 43 Ⅴ. 결론 및 제언 48 참고문헌 50 부록 56 부록 1 한국 과학 선호도 조사 설문지 56 부록 2 대만 과학 선호도 조사 설문지 59 ABSTRACT 6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0630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500-
dc.title한국과 대만 중학생들의 과학 선호도 및 과학 선호도 인과요인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n Analysis of Science Preference and Science Preference Casual Factors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Korea and Taiwan-
dc.creator.othernameBANG, Ye Jin-
dc.format.pageviii, 6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생물교육전공-
dc.date.awarded2013.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생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