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9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심현섭-
dc.contributor.author김선희-
dc.creator김선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03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03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7599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466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5998-
dc.description.abstractThe ultimate goal of speech therapy for children with cleft palate is to facilitate communication. For this goal to be achieved, an accurate assessment is fundamentally crucial in designing an appropriate speech therapy. A variety of assessment tools for an auditory-perceptual evaluation have been developed in order to assess the hypernasality of the children with cleft palate. However, most tools have relied on evaluators’ intrinsic and subjective judgment without relying on external and objective criterion. This often elicits the issue of reliability on perceptual assessment. This study aimed to devise a Perceptual Profile of Hypernasality (HNPP) that was composed of a set of objectively descriptive criterion. The profile contributed to minimizing subjectivity problems associated with criteria that an individual expert employed in perceptual judgment. Moreover, the profile could provide a reliable evaluation tool that inexperienced evaluators could refer to. The HNPP consists of six following perceptual items in descriptive definition: the general impression, phonetic contexts, consistency, frequency, social acceptance, and understandability. Each item was composed of four choices that represent the level of hypernasal severity, respectively, (i. e. from 0 corresponding to normal condition to 3 corresponding to the most severe condition). Sixteen children with cleft palate from 5 to 13 years old were selected as a voice-sampling speaker. All of them had hypernasality as a major problem. They read words, sentences, and conversation. These sixteen audio files were used as a perceptual assessment data. Depending on the severity level of hypernasality, the samples were sorted into a normal group, a mild hypernasality group, a moderate hypernasality group, and a severe hypernasality group. Twelve language therapists and twenty-nine graduat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participants were asked to listen to the sixteen audio samples and to answer the questions in HNPP. The second assessment using the identical files was performed a week after the first assessment. Out of all items for content validity in HNPP, the item which indicates overall impression such as ‘how awkward did you feel of listening because of hypernasality?’ shows the highest content validity. And of all questions for evaluation in HNPP, it shows low content validity of one 1,2,3 point from the item 3 that represents consistency ‘how consistently did you perceive hypernasality?’ It means that experts reported consistency in term of utterance level is not relevant. In intra-rater reliabilit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est-retest in case of language therapist group, of all items such as overall impression, types of phoneme, consistency, durability, social acceptability, and content comprehension, showing good score of intra-rater agreement in intra-rater reliability. In inter-rater reliability inspection,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in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inter-rater, in case of language therapist group, except ‘consistency’, and Cronbach ⍺ score shows high correlation in all six items. In case of graduate students, there was high correlation in all items, and there was also high correlation in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in ‘overall impression’ and 'social acceptability'. A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which perceptual assessment item of the HNPP significantly predicted the characteristics of evaluators’ subjective perceptual assessment. The items indicating social acceptance and type of phoneme turned out to be significant variables predicting the degree of subjective perceptual assessment. The item indicating social acceptance revealed to be the most effective. Considering that the ultimate goal of the treatment of hypernasality is to facilitate communication, the regression result suggests that the assessment of speech acceptability is very important.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the items of the HNPP serve as a common standard that yields consistent evaluation in the perceptual assessment of hypernasality. Using the objective criteria described in the HNPP will lead to raising the degree of reliability about perceptual assessment. ;현재까지 구개열 아동의 과대비성을 위한 청지각적 평가에 다양한 평가 도구들이 연구되어져 왔으나 활발하지 않았다. 우리나라에서 기존의 평가법은 평가자의 개별 경험에 의존하여 과대비성을 평가하고 있어서 주관적 요소가 매우 강하다. 과대비성 청지각적 평가는 임상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지만, 공통적인 평가 기준을 제시해주는 과대비성 청지각적 평가 프로파일이 전혀 없었으므로, 평가의 타당성과 신뢰도를 예측할 수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과대비성의 청지각적 평가 시 구개열을 치료하는 언어치료사와 의사들과 초보 언어치료사들이 보다 일관성 있는 평가를 할 수 있도록, 서술적인 평가 기준(descriptive criteria)을 제시한 과대비성 청지각적 평가 프로파일(Hypernasality Perceptual Profile : HNPP)을 개발하게 되었다. HNPP는 문헌고찰과 전문가의 의견 수렴을 통해서 평가 기준인 항목과 항목을 평가할 수 있는 하위 문항을 탐색하고 선정하였다. 항목과 문항의 내용 및 문장의 적절성을 검토하고 수정한 후에 확정하였다. HNPP는 ‘전반적인 인상’, ‘음소의 종류’, ‘일관성’, ‘지속성’, ‘사회적 수용도’, ‘내용 이해도’의 6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항목에 따른 문항은 과대비성의 심각도에 따라 등급이 4단계로 나누어져 서술되어 있고, 각 항목마다 1개의 문항을 선택함으로써 항목에 대한 평가를 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HNPP에 대한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며 둘째, HNPP를 사용하여 과대비성의 청지각적 평가에 영향력을 미치는 요인들을 살펴봄으로써 청지각적 판단 특성을 알아보는 것이다. 과대비성이 주된 말 문제인 5-13세의 구개열 아동을 음성 표집 화자로 선정하여, 단어, 문장, 대화로 구성된 말 샘플을 읽게 하고, 녹음하여 얻은 16개의 음성파일을 청지각적 평가 자료로 하였다. 이 평가 자료는 과대비성의 중증도에 따라 정상 음성, 약한 과대비성, 중간 과대비성, 심한 과대비성의 음성 샘플로 각각 4개씩 구성되었다. 언어치료사 12명과 대학원생 29명에게 16개의 음성 샘플을 들으며, HNPP를 사용하여 평가하도록 하였다. 1차 평가를 실시하고, 평가자 내 신뢰도의 검증을 위해 일주일 후에 2차 평가를 하였으며, 동일한 음성파일을 청지각적 평가 자료로 사용하였다. HNPP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HNPP에 대한 내용타당도는 평가 기준인 항목에 대해서 모든 항목이 높은 내용타당도 점수를 받았다. 항목 중에서 ‘과대비성으로 인해 듣기에 얼마나 거슬립니까?’인 ‘사회적 수용도’를 의미하는 항목이 가장 높은 내용 타당도를 나타내었다. 문항에 대해서는 ‘과대비성이 얼마나 일관성 있게 지각됩니까?’의 ‘일관성’ 항목을 평가하기 위한 문항들이 낮은 내용타당도 점수를 받았다. 과대비성이 일관성 있게 지각되는지에 대해 평가하는 문항을 발화수준에 따라 나눈 것에 대해 몇 명의 언어치료사는 적절하지 않다는 결과를 보였다. 하지만 발화수준에 따라 일관성을 살펴보는 것은 치료적인 측면에서 중요한 부분이므로 배제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험 과제인 말 샘플을 구성하고 있는 단어, 문장, 대화의 음운환경을 엄격하게 검토하는 보완 과정을 거쳤다. HNPP에 대한 평가자 내 신뢰도 결과는 검사-재검사 간 차이 검증에서 언어치료사 집단의 경우에 ‘사회적 수용도’ 항목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다른 항목은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대학원생 집단의 경우는 검사-재검사 간 모든 항목에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가자 내 일치도는 두 집단이 모두 70%이상이며, 언어치료사 집단이 대학원생 집단에 비해 좋은 점수를 얻었다. HNPP의 평가자 간 신뢰도 검증 결과 언어치료사 집단과 대학원생 집단이 모두 높은 신뢰도 계수를 보였다. 이중 대학원생 집단이 구개열 평가 경험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HNPP를 사용하여 평가하였을 때, 구개열 평가 경험이 있는 언어치료사 집단에 비해 보다 높은 평가자 간 신뢰도 계수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임상 경험이 전혀 없는 평가자의 경우도 HNPP에 대한 충분한 교육을 실시한다면 신뢰할 만한 평가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신뢰도를 높일 수 있었던 요인은 HNPP의 다음과 같은 특징으로 설명할 수 있다. 첫째, HNPP에는 평가 기준에 대해 서술적 의미를 구체적으로 부여하였고, 평가 기준에 대한 척도 등급에 대해서도 서술적 의미를 분명하게 규정하여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둘째, HNPP를 사용하여 평가한 후 프로파일의 평가 점수 양상을 살펴보았을 때, 중증도가 심해질수록 모든 항목들의 평가 점수가 뚜렷하게 높아진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는 HNPP의 항목들이 과대비성의 중증도를 감지하기에 타당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회귀분석 결과 청지각적 판단을 할 때 주된 영향을 주는 변인은 ‘사회적 수용도’와 ‘음소의 종류’이며 그 중에서도 ‘사회적 수용도’가 가장 강력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대비성의 최종 치료 목표가 의사소통이라는 것을 감안하면 말 용인도를 염두에 둔 평가는 중요하며, ‘사회적 수용도’를 나타내는 말 용인도에 대한 관심과 말 용인도를 평가할 수 있는 프로토콜의 개발은 필수적이다. 특히 언어치료사들은 과대비성을 평가할 때 ‘음소의 종류’나 발화 수준과 같은 언어적 요소보다 주관적인 요소가 가장 강한 ‘사회적 수용도’가 전반적인 청지각적 인상과 가장 상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사회적 수용도’를 기준으로 평가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현재 출판되어 있는 연구들과 문헌들에서 발췌한 청지각적 평가 기준들을 우리나라에 맞게 정리하여, 전문가들의 의견을 모으고 문헌 연구의 결과들을 보완한 뒤 본 연구에서 제시된 과대비성 청지각적 프로파일을 개발한 것이다. 이 프로파일은 앞으로 과대비성 청지각적 평가 시 일관성 있는 평가를 위한 공통된 기준을 제시하는 것이며,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도구가 되리라 본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연구 Ⅰ : 과대비성 청지각적 평가 프로파일 개발 1 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4 C. 용어 정의 5 Ⅱ. 이론적 배경 7 A. 과대비성의 청지각적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8 1. 청자의 경험 8 2. 외적 음성기준 9 3. 말 샘플 10 4. 언어적 배경 12 B. 과대비성의 청지각적 평가 시 신뢰도 증진 요인 13 1. 과대비성의 중증도 평가의 공통된 기준 13 2. 청지각적 훈련 16 3. 외적 음성 기준 17 4. 청지각적 평가를 위한 척도 유형 20 Ⅲ. 과대비성 청지각적 평가 프로파일 개발 25 A. 과대비성 청지각적 평가 프로파일 개발 25 1. 1단계 : 과대비성의 중증도와 청지각적 평가 기준의 서술적 표현 탐색 26 2. 2단계 : 과대비성 청지각적 평가 기준 추출 및 선정 35 3. 3단계 : 평가 항목과 각 항목에 따른 문항 검토 35 4. 4단계 : 과대비성 청지각적 평가 프로파일 개발 36 B. 과대비성 청지각적 평가 프로파일 타당도와 신뢰도 검증 38 1. 과대비성 청지각적 평가 프로파일 내용 타당도 검증 38 2. 과대비성 청지각적 평가 프로파일에 대한 신뢰도 검증 42 가. 연구 대상 42 나. 실험 과제 44 다. 실험 절차 48 라. 분석 방법 51 마. 연구 결과 52 C. 결론 및 논의 65 연구Ⅱ: 프로파일(HNPP)을 이용한 과대비성 청지각적 판단 특성 연구 70 Ⅰ. 서론 70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70 B. 연구 문제 72 Ⅱ. 연구 방법 73 A. 연구 대상 73 B. 실험 과제 75 C. 실험 절차 79 D. 분석 방법 83 Ⅲ. 연구 결과 84 A. 구개열 평가 경험 유무에 따른 집단 간 차이 84 B. 구개열 평가 경험 유무에 따른 항목 간 상관관계 87 C. 청지각적 평가 시 청지각적 판단을 위한 회귀분석 89 Ⅳ. 결론 및 논의 91 A. 과대비성의 청지각적 평가 시에 전반적인 인상을 예측 할 수 있는 변인 91 V. 종합 논의 94 참고문헌 101 부록 113 Abstract 11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9469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000-
dc.title구개열자 과대비성 청지각적 평가 프로파일 개발 및 판단 특성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Research of Characteristics in Judgment and Development of Perceptual Profile about Hypernasality for Children with Cleft Palate-
dc.creator.othernameKim, Seon Hee-
dc.format.pageix, 120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언어병리학협동과정-
dc.date.awarded201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협동과정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