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9 Download: 0

사회과 교사의 가치교육에 대한 인식 연구

Title
사회과 교사의 가치교육에 대한 인식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Recognition Research of Value Education about Teachers of Social Studies
Authors
표병아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일반사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경은
Abstract
Traditionally the main purpose of social studies has been focused on the knowledge of social science about cognitive domain. However, recently the value education of affective domains is begun to make a mark. The notification of personality education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is the one of the results of this recent trend. It is important to survey the recognition of value education about teachers of social studies to estimate the success of this notification which is announced on a national basis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the recognition of value education of social studies teachers of secondary school in Seoul area. The totally two hundred and thirty two questionnaire were used for this study. And the main subjects for inquiry are as in the following. First, What is the actual recognition of significance of value education and the details concept of value education of social studies teachers in secondary school? Second, What is the actual knowledge of teaching method of value education of social studies teachers in secondary school? Third, What is the actual education status of the details concept of value education and the teaching method of value education of social studies teachers in secondary school? The SPSS Win 20 program was used to investigate this study and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of the recognition of significance of value education is 4.37 on a five-point scale. And the average of recognition of significance of details concepts of value education is 4.43 on a five-point scale. These two numerical values are relatively high. This means a number of teachers of social studies agree on the importance of value education and the detail concept of value education. The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is found on the significance of value education by the gender of social studies teachers. The male teachers of social studies more agree than the female teachers of social studies about this subject. And there is no more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about the significance of value education by the background of social studies teachers. The other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is found on the community spirit among the detail concepts of value education by the gender of the teachers. The male teachers of social studies more agree than the female teachers of social studies about this subject. And there is no more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about the significance of detail concepts of value education by the background of social studies teachers. Second, the average of the knowledge of teaching method of value education is 3.62 on a five-point scale. This numerical value of this section is relatively low. However a number of teachers of social studies agree on the importance of value education, the majority of social studies teachers have a short knowledge of teaching method of value education. And there is no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about the knowledge of teaching method of value education by any background variable of teachers. Third, the average of the education status of detail concept of value education is 3.96 on a five-point scale, and the average of the education status of teaching method of value education is 3.61 on a five-point scale. There is a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on the education status of sense of responsibility among the detail concpets of value education by the school type. The teachers of middle school more mention the concept of responsibility during school hours than the teachers of high school. And there is no more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about the education status of detail concept of value education by the background variable of teachers. There is a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on the status of education of prosocial behavior among the teaching method of value education by the gender of teacher. The male teachers more utilize this method during school hours than female teachers. And there is no more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about the education status of teaching method of value education by the background variable of teachers. Most of teachers in secondary school agree that the value education is important and necessary. And most of teachers consent that the detail concepts of value education are also important and necessary. However they have short knowledge of the teaching method of value education. Therefore they can not mention the concepts of value education and use the teaching method of value education as much as they think. It is essential to invigorate value education that the teachers of secondary schools consent the importance of value education and endeavor to improve their knowledge and skill of teaching method of value education. ;전통적으로 사회과가 인지적 영역의 사회과학적 지식을 가르치는 것을 중요한 목표로 삼아온 반면 최근에는 올바른 가치관을 확립하는 정의적 영역의 교육이 사회과의 주요 교육 목표로 주목 받고 있다. 최근 교육과학기술부에서 고시한 인성 교육 실현을 위한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안내는 최근 학교에서 가치교육을 중시 해야 한다는 생각이 반영된 결과라 할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국가적 차원의 초·중등학교 인성교육이 교육과학기술부의 고시로 안내된 바 있듯이 이 고시의 내용대로 가치교육 실현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가늠하기 위해 학교 현장의 교사들의 가치교육에 대한 인식을 조사해 보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설문지를 이용하여 서울시내 중등학교 사회과 교사 232명을 대상으로 사회과 교사의 가치교육에 대한 인식을 연구하였으며 주요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과 교사들이 가치교육의 중요성 및 가치교육 내용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파악한다. 둘째, 사회과 교사들이 가치교육 수업방법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를 파악한다. 셋째, 교육현장에서 실제 수행되고 있는 사회과 교사들의 가치교육 실태를 파악한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연구문제에 따라 빈도분석, T-test, One way Anova를 실시하였으며 연구결과를 요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과 교사의 가치교육에 대한 중요성을 묻는 문항의 평균은 5점 만점 중 4.37점이며, 가치교육 내용에 관한 인식을 묻는 문항의 평균은 5점 만점 중 4.44점으로 매우 높은 수치로 나타났다. 이는 사회과 교사들이 전반적으로 가치교육은 중요하며, 사회과에서 다루어야 할 중요한 주제임에 공감한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중등학교 사회과 교사들의 가치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은 교사가 근무하는 학교급, 출신학교, 교직경력 등과 상관없이 대체적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다만 교사의 성별에 대하여만 남자 교사들이 여자 교사들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높은 평균을 나타낸다. 교사의 성별에 따른 가치교육 내용에 관한 인식을 묻는 문항에 대하여 공동체의식에서 남자교사들은 여자교사들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높은 평균을 나타냈다. 그 이외의 가치교육 개념을 묻는 문항에 대하여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 모든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사회과 교사의 가치교육 수업방법에 대한 이해를 묻는 문항은 평균이 5점 만점 중 3.62점으로 설문지 구성 문항 중 비교적 낮은 평균을 나타내고 있으며 가장 높은 표준편차를 나타낸다. 이는 중등학교 사회과 교사들이 가치교육이 중요하다는 것에는 전반적으로 공감하고 있지만 실제로 가치교육 방법에 대하여는 지식이 부족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사회과 교사들의 가치교육 방법에 대한 지식은 개인적인 차이가 크게 나왔으며 교사가 근무하는 학교급, 교사의 출신학교, 교직경력에는 대체적으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사회과 교사들이 실제 교실에서 수행하는 가치교육 실태를 묻는 문항 중 가치내용의 실태를 묻는 문항의 평균은 3.96이며, 개별 가치교육 방법의 실태를 묻는 문항의 평균은 3.61이다. 교실에서 수행되는 가치내용 중 책임의식에 대하여 중학교 교사는 고등학교 교사들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에서 높은 평균을 나타냈다. 또한 교실에서 수행되는 개별가치 방법 중 친사회적 행동교육에 대하여 남자 교사들은 여자교사들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높은 평균을 나타냈다. 그 이외의 개별가치 내용에 대한 수업실태와 개별가치 방법에 대한 수업실태에 대하여 교사의 배경변인에 대하여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대부분의 사회과 교사는 가치교육이 중요하다는 사실과 다양한 가치내용이 중요하다는 의견에 동의한다. 그러나 막상 교실 수업에서 활용할 가치교육 방법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편이다. 이로 인하여 가치교육이 활발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교사가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과 잘 알고 있는 사실을 수업에 더 반영한다는 본 연구의 결과는 가치교육이 활발히 이루어지려면 교사의 가치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과 다양한 가치개념에 대한 인식이 높아져야 함을 시사한다. 그리고 활발한 가치교육을 위해 현장 교사들의 가치교육 방법에 대한 이해가 무엇보다 요구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일반사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