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88 Download: 0

중등학교 지리교사들의 야외 답사 실행에 관한 사례 연구

Title
중등학교 지리교사들의 야외 답사 실행에 관한 사례 연구
Other Titles
A Case Study on the Practice of the Field Trip of Secondary School Geography Teachers
Authors
오선민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지리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종원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야외 답사를 진행했거나 현재 진행 중인 지리 교사들을 대상으로 중등학교에서의 야외 답사의 특성을 파악하고, 나아가 효과적인 야외 답사의 진행 및 확산을 돕는데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중, 고등학교에서 근무하는 지리교사 20명을 대상으로 야외 답사 실행에 관련된 인터뷰를 하였다. 또한 참고적으로 답사 자료 분석, 부분적으로 참여관찰을 실시하였다. 조사 내용은 야외 답사의 진행 동기, 계획 방법, 유형, 제약요소 및 지원요소에 초점을 두었다. 먼저, 지리교사들이 학생들과 함께 야외 답사를 진행하게 된 동기를 살펴본 결과 대부분 교사 자신이나 교과의 측면 보다는 학습자의 입장에서 진술된 특징이 있었다. 둘째, 지리교사들이 야외답사를 계획함에 있어서는 접근성, 지리적 의미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여 장소를 선정하고, 책과 논문, 지리 관련 사이트를 통해 정보를 얻고 있었다. 하지만 학교에서 사용하는 야외 답사 자료는 순전히 개인 역량에 의존하고 있었다. 셋째, 중등학교에서의 야외 답사 형태는 동아리로 운영하는 경우가 많았고, 캠프나 학급별 테마학습, 수업, 일시적인 행사를 통해 진행하기도 하였다. 야외 답사의 유형은 답사가 학생들에게 경험을 제공하는 유형에 따라 견학(Visit), 탐구(Inquiry), 발견(Discovery)으로 구분하였고, 답사 준비의 주도자에 따라 교사 주도(Teacher-led), 학생 주도(Student-led)로 구분하여 총 6개의 영역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중등학교에서 야외 답사의 유형은 IT유형의 답사가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VT유형, IS유형, VS유형, DS유형 순이었다. 마지막으로, 야외 답사의 제약요소와 지원요소를 교사 개인 요인, 학교 환경 요인, 학생 요인, 프로그램 요인 등으로 분류해 본 결과 교사 개인 요인과 학교 환경 요인이 많았으며 답사 진행 경력에 따라 차이가 보이기도 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야외 답사를 고려하고 있는 여러 지리교사들에게 실질적인 도움과 더불어 행정적, 관리적 제언을 제공하고자 하였다.;This study is intended to identify characteristics of the field trip in secondary school and furthermore, to heip to progress and spread the field trip effectively, by surveying geography teachers who carried out, or are carrying out the field trip, now. For this study, an interview about the practice of the field trip was conducted with 18 geography teachers working in middle and high school. For reference, additionally, field trip guidebook was analyzed, and a participant observation was performed, partially. The survey was focused on the motives for the field trip, planning methods, types of the field trip, restriction elements and supporting elements. Firstly, most teachers stated, from perspectives of learners rather than from perspectives of them or subjects, when examining motives for the field trip with students. Secondly, when planning the field trip, geography teachers chose sites, in consideration of various elements such as accessibility and geographical meanings, and obtained information through books, papers and geographical web-sites. However, field trip guidebook used in school wholly depended on their individual capabilities. Thirdly, mostly, the types of the field trip in secondary school were managed by circle activities, and in some cases, they were carried out through camps, theme learning for each class, classes and temporary events. The types of the field trip were classified into six areas including Visit, Inquiry and Discovery, according to the types of experience provided by the field trip for students, and Teacher-led and Student-led, according to the leaders to prepare the field trip. As the result, IT type accounted for the largest proportion of the types of the field trip in secondary school, followed by VT type, IS type, VS type and DS type. Lastly, teachers' individual factors and school environment factors occupied the largest proportion of restriction elements and supporting elements of the field trip, when classifying them into teachers' individual factors, school environment factors, student factors and program factors, and there were differences, depending on teachers' experience in conducting the field trip. These result would provide administrative and managerial proposals for several geography teachers who consider the field trip, in addition to practical heip.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지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