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Jennifer Sejin Oh-
dc.contributor.author손정은-
dc.creator손정은-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01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01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7666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464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6665-
dc.description.abstractWhat can explain LDP’s turnabout of attitude to ODA policy since the mid-1990s? Domestic calls for ODA reform were widespread before the 1990s, but produced no shifts in LDP’s attention to ODA. This thesis attributes changes in LDP’s attitude to ODA policy to a shift in the electoral strategies of LDP Diet members, caused by the 1994 electoral reform. In the pre-reform era, LDP Diet members promoted an electoral campaign focusing on a subset of constituents by securing them pork and other benefits, and claiming credits for doing so. However, the SMD/PR system adopted since 1994 provided LDP Diet members with incentives to appeal to a plurality of voters. It encouraged them to switch from a strategy of securing private goods to the one dealing with national issues. One of issues that LDP Diet members became interested in after 1994 was ODA, which was a subject of heated public debates.;이 연구는 1954년 일본 공적개발원조(ODA)가 최초 시행된 후 약 3-40년 동안 ODA에 무관심하였던 자민당이 1990년대 중반부터 ODA 정책결정 과정에 개입하기 시작한 이유를 설명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이것이 선거제도와 연관이 있음을 발견하였다. 한 선거구에서 1-6명의 의원을 선출하는 기존의 중선거구제 하에서는 타 정당 소속 후보와는 물론(소속 후보뿐 아니라) 동일 정당 소속 후보와도 경쟁을 벌여야만 했다. 따라서, 정당 중심의 정책대결이 불가능하였다. 그 대신, 특정한 이익집단이나 선거구민들을 겨냥한 사익성(私益性) 정책을 제공함으로써 개인 지지자를 확보하는 후보자 중심의 경쟁이 이루어졌다. ODA는 공익성(公益性)을 지닌 주제로서, 득표와 연관된 영역이 아니라고 간주되었다. 일부 자민당 의원들이 엔 차관 공여 시 일본 기업들이 수혜를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긴 하였으나, 이 역시 이익집단과의 관계를 강화하기 위한 전략이었을 뿐, ODA의 질적 향상에는 관심이 없었다. 그러나 소선거구 비례대표 병립제가 도입된 1994년 이후부터 자민당 의원들은 공익성 주제에 관심을 보이기 시작하였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선거구 체제에서 당선되기 위해서는 평균 선거구 투표의 1/2 이상을 득표해야 했다. 둘째, 유권자가 선호하는 정당에게 투표하는 비례대표 체제에서 더 많은 의석을 배정받기 위해서는, 정당 이미지와 정책을 관리할 필요가 있었다. 각종 공익적인 쟁점 중에서도 일본 ODA에 관한 국내의 비판적 반응을 의식, 해당 분야에 관심을 가지게 된 것이다. 또한, ODA 정책결정 과정에서 그 영향력을 발휘하기 시작했다. 즉, 자민당은 많은 유권자들에게 지지를 호소하기 위한 수단으로 ODA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이것을 통해 자민당이 국내의 여론을 반영한 ODA 정책을 제안할 것임을 예측할 수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INTRODUCTION 1 II. LITERATURE REVIEW 7 III. LDP’S ROLE IN ODA POLICYMAKING 21 A. From 1954 to the 1990s 21 B. After the mid-1990s Onwards 24 IV. FEATURES OF THE LDP IN THE PRE-REFORM ERA 31 A. Features of the LDP 32 1. Koenkai 33 2. PARC 37 B. LDP’s Attitude to ODA Policymaking 39 V . CHANGES IN THE FEATURES OF THE LDP 43 A. Features of the LDP 44 1. Koenkai 44 2. PARC 48 B. LDP’s Attitude to ODA Policymaking 48 VI. CONCLUSION 61 References 64 Abstract in Korean 7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15746 bytes-
dc.languageeng-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Role of LDP in Japan’s ODA Policymaking-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Impact of Japan’s 1994 Electoral Reform-
dc.creator.othernameSohn, Jeong Eun-
dc.format.pagev, 7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국제대학원 국제학과-
dc.date.awarded2013. 2-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국제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