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46 Download: 0

협동학습을 통한 사회정서학습이 통합학급 학생들의 정서지능, 또래지원 및 또래관계망에 미치는 영향

Title
협동학습을 통한 사회정서학습이 통합학급 학생들의 정서지능, 또래지원 및 또래관계망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the Social Emotional Learning on Students' Emotional Intelligence, Peer Supports, and Peer Networks in Inclusive Classrooms
Authors
홍정아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대학원 특수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박승희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class-wide social emotional learning on the students' emotional intelligence, peer supports, and peer networks in inclusive classrooms.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153 students in six inclusive classes in which a fifth or sixth grader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who had trouble with entering into social relationships was integrated. Three classes of them were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s were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social emotional learning program that the special teacher taught, but the control group participated in the health program or computer program for the optional course. This class-wide social emotional learning program was organized with four elements of social emotional ability: (1) self awareness and management, (2) social recognition, (3) personal relationship, and (4) responsible decision making. It was instructed with cooperative learning methods and for 16 sessions. To prove the effects of the intervention on the emotional intelligence and peer supports of inclusive classroom students, the 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was appli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e-test and post-test of two groups was analyzed using the ANCOVA for emotional intelligence and two dependent samples t-test for peer supports. To prove the effects of the intervention on the peer networks between students in the inclusive classroom, social network analysis was applied by NetMeiner 4.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social emotional learning program displayed significant higher scores of emotional intelligence than control group. Special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emotional expression and emotional empathy elements.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social emotional learning program display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f peer supports than the control group. Special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1) supports to participate in classroom activities, (2) sharing the activities and feeling, (3) yield and reconciliation, (4) community spirit. Third, the experimental group had coherent increase aspects in total relation frequency, degree centrality mean, and density and coherent decrease aspects in distance and cliques in peer networks.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not coherent change aspects in the control group peer networks. In summary,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social emotional learning program may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emotional intelligence, peer supports, and peer networks of the inclusive classroom students. The conclusion from this study would propose to develop the social emotional learning programs for all students' emotional intelligence and peer relationship in inclusive classroom.;통합교육 실행에서 장애학생을 포함한 통합학급 내 모든 학생들 간의 긍정적이고 지원적인 또래관계는 장애학생을 포함한 모든 학생들의 학업적, 사회정서적 발달에 직접적 영향을 미친다. 특히, 사회성 기술의 부족으로 인해 또래와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제한이 있는 장애학생의 경우에는 이들에 대한 일반학생들의 수용적 태도나 또래지원을 촉진하기 위한 효과적인 중재가 필수적이다. 또한, 초등학교 고학년 시기 학생들의 또래관계는 아동 초기에 비해 그 중요성이 증가되기도 하지만 또래와 관련된 문제로 인해 어려움을 겪을 수 있는 시기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장애학생을 포함한 이 시기의 모든 학생들은 다양한 특성을 가진 또래 친구들과 긍정적 관계를 형성하고 또래관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들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사회정서적 능력을 증진할 수 있는 중재를 필요로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관계 형성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지적장애학생이 통합된 초등 5-6학년 통합학급 학생 전체를 대상으로 협동학습을 통한 사회정서학습을 실시하였고, 그 효과를 통합학급 학생들의 정서 지능, 또래지원 및 또래관계망의 변화 측면에서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서울·경기 지역 초등 5-6학년 통합학급 중 사회적 관계 형성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추천받은 지적장애학생이 통합된 6개 통합학급 학생 153명이다. 이 중 3개 학급은 실험집단에 나머지 3개 학급은 통제집단에 배치되었다. 실험집단의 통합학급 학생들은 한 학기 동안 재량활동 시간에 특수교사가 실행하는 협동학습을 통한 사회정서학습, 총 16회기에 참여하였고, 통제집단의 통합학급 학생들은 한 학기 동안 재량활동 시간에 보건교육과 컴퓨터교육에 참여하였다. 본 연구에서 실시된 협동학습을 통한 사회정서학습의 내용 영역은 사회정서적 유능감 요소를 자기인식 및 자기조절, 사회적 인식, 대인관계, 책임 있는 의사결정의 4가지 영역으로 나누어 구성하였고 교수 방법적 측면에서는 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하였다. 협동학습을 통한 사회정서학습이 정서지능에 미친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1997)가 개발한 초등학교 고학년용 정서지능 검사를 사용하였고 중재 참여 여부에 따른 두 집단 간 사전-사후 정서지능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공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협동학습을 통한 사회정서학습이 초등 통합학급 학생들의 또래지원에 미친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박승희(2010)가 개발한 ‘초등 통합학급 또래지원 척도’를 수정하여 사용하였고 두 집단 간 사전-사후 또래지원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두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이와 함께 중재 전과 후의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통합학급 학생들의 또래관계망의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NetMeiner 4를 이용한 사회연결망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협동학습을 통한 사회정서학습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정서지능 총점과 하위 요인 중 정서이입과 정서표현 요인 점수가 통제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 그러므로 협동학습을 통한 사회정서학습이 통합학급 학생들의 정서지능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협동학습을 통한 사회정서학습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또래지원 총점과 하위 요인의 교실 활동 참여 지원, 공유, 양보, 공동체 의식 요인의 점수가 통제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 그러므로 협동학습을 통한 사회정서학습이 통합학급 학생들의 또래지원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셋째, 협동학습을 통한 사회정서학습에 참여한 실험집단 학급 학생 전체 또래관계망의 총 관계 수, 연결중심성 평균, 밀도는 모두 증가하였고 경로거리와 소집단의 수는 모두 감소하는 일관된 변화 양상이 나타났다. 반면, 통제집단 학급의 또래관계망 변화는 개별 학급 별로 다른 양상을 보여 공통된 변화 양상을 발견하기 어려웠다. 그러므로 협동학습을 통한 사회정서학습은 학급 또래관계망에서 친밀감, 응집성 및 협력성 증가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또한, 협동학습을 통한 사회정서학습이 장애학생의 또래관계망에 미친 영향에서는 실험집단 지적장애학생의 내향중심성은 모두 증가하였다. 반면에 통제집단의 지적장애학생의 내향중심성은 감소하거나 동일하게 유지되었다. 그러므로 협동학습을 통한 사회정서학습은 지적장애학생의 내향중심성 증가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통합학급 학생 전체를 대상으로 실시한 협동학습을 통한 사회정서학습이 통합학급 학생들의 정서지능과 또래지원 및 또래관계망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통합학급 내 모든 학생을 위한 사회정서학습을 교육과정 내에 포함시켜야 하는 것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현 시점에서 초등 고학년 학생들의 사회정서 능력의 개발과 장애학생의 사회적 통합이라는 두 가지 측면을 고려하여 통합학급 전체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구안하였고 실제 통합학급에서 실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한 실행연구이다. 또한, 본 연구는 장애학생의 사회적 통합과 관련된 연구들의 초점이 지나치게 장애학생에게만 편중되어 있는 경향에서 벗어나 장애학생의 사회적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 및 환경에 대한 관심으로 연구의 관점을 확대시키는 것을 제안한다. 이와 동시에, 본 연구는 통합학급에서 장애학생을 포함한 모든 학생의 성장을 촉진할 수 있는 보편적 차원의 중재 개발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