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1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은성-
dc.contributor.author김태연-
dc.creator김태연-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58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58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7700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461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7009-
dc.description.abstract국어의 부정문은 부정 부사인 '아니(안)'나 '못'을 사용하느냐 아니면 부정의 뜻을 나타내는 용언인 '아니다, 아니하다(않다)'나 '못하다' 혹은 '말다'를 사용하느냐에 따라 각각 단형 부정문과 장형 부정문을 만들 수 있다. 이는 하나의 긍정문을 두 가지 유형의 부정문으로 만들 수 있다는 것인데, 때로는 문법적인 환경에 따라 부정문이 형성되지 못하는 제약이 발생한다. 부정문의 제약은 장형 부정문보다 단형 부정문에서 더 많이 발생한다. 단형 부정문 형성 시, 문장의 서술어로 쓰인 용언의 구성방식과 유형에 따라 통사·의미론적으로 충돌하는 지점이 많기 때문이다. 그러나 현재 언어생활에서는 이러한 제약을 벗어나는 예가 속출하고 있다. 본고는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부정문의 범위를 부정 부사 '안'이 쓰인 단형 부정문(이하, '안' 단형 부정문)으로 한정하고, 실제 언어생활을 반영하고 있는 텍스트 또한 세 층위로 나누어, 텍스트 속에서 부정문 형성 제약이 깨어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를 학교문법에서 다루어야 함을 밝히고, 그에 대한 교육 내용과 교육 방법을 제시하였다. Ⅱ장에서는 본고의 핵심어라고 할 수 있는 부정문과 텍스트에 대해 이론적으로 고찰하였다. 부정문의 개념을 밝히고, 부정문의 유형과 그에 따른 제약을 알아보았다. 그리고 본고에서 살펴볼 '안' 단형 부정문의 제약을 목록화하여 상세하게 제시하였다. 또한, 텍스트의 개념과 유형 및 성격을 알아보았다. 본고에서는 텍스트를 구어 텍스트 층위, 구어 텍스트와 문어 텍스트의 중간적 성격을 가지는 중간 층위, 문어 텍스트 층위의 세 층위로 나누었으며, 그 각각에 대해 세부 텍스트 항목을 설정하였다. Ⅲ장에서는 세 층위의 텍스트, 총 6개의 세부 텍스트에 나타난 '안' 단형 부정문 제약의 변화 양상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구어 텍스트 층위의 토론 텍스트와 일상 대화 텍스트, 구어 텍스트와 문어 텍스트의 중간 층위의 인터넷 채팅 텍스트와 드라마 대본 텍스트, 문어 텍스트 층위의 신문 기사 텍스트와 수필 텍스트, 6개의 세부 텍스트에서 모두 '안' 단형 부정문 형성 시 발생하는 제약이 깨어지고 있는 예를 찾을 수 있었다. '안' 단형 부정문 제약의 변화 양상을 서술어로 쓰인 용언의 갈래별로 비교하고, '안' 단형 부정문 제약의 변화 원인을 탐색하였다. Ⅳ장에서는 Ⅲ장의 분석을 바탕으로, 부정문 제약의 변화 양상을 교육적으로 수용하기 위한 내용을 다루었다. 먼저, 기존의 학교문법에서 부정문, 부정문 제약과 관련한 내용을 어떻게 기술하고 있는지, 그 문제점은 무엇인지 비판적으로 고찰하였다. 다음으로, 부정문 제약 교육 내용과 교육 방법을 제시하면서, 학교문법에서의 부정문 제약 교육 방향을 재정립하고자 했다. 본고는 문법교육이 학습자에게 살아 움직이는 문법을 경험하게 하는 데 의의를 두어야한다는 것을 전제로 하여, 언중들의 실제 언어생활의 모습을 학교문법의 교육 내용으로 수용할 때 비로소 문법이 우리의 삶과 맞닿아 있는 탐구 대상의 존재로서 가능함을 보여주고자 했다.;The negative sentences in the Korean language could be classified into long-form negative sentence and short-form negative sentence depending upon use of negative adverb of 'ani (an)' and/or 'mot' and/or use of predicate of 'anida, anihada (anta)', 'mothada' and 'malda' that meant negation. One of affirmative sentence could produce two types of negative sentences, and it could not produce negative sentence depending upon grammar environment. Short-form negative sentence had limitation more than long-form negative sentence had. This was because predicate of short-form negative sentence often could often had collision from point of view of syntax and/or semantics depending upon configuration and/or types of predicate. However, the limitation was often free from current linguistic life. This study investigated short-form negative sentences with negative adverb of 'an' (hereinafter called 'an' short-form negative sentence) to find out a fact that texts reflecting linguistic life were divided into three levels to destroy limitation on negative sentences in texts. The study suggested that school grammar should discuss the limitation by education contents and methods. Chapter II examined theories of negative sentences and texts that was important in this study. The chapter described concept of negative sentence and investigated types and limitations of negative sentence. The chapter made a list of limitation on 'an' short-form negative sentences to give examples. The chapter examined concepts, types and nature of the texts. This study divided texts into three levels, that is to say, oral text level, intermediate level between oral text and literal text, and literal text to set text items of each one. Chapter III investigated changes of limitation on 'an' short-form negative sentence of texts of three levels, in other words, six texts. The texts were divided into six, that is to say, discussion text and ordinary dialogue text having oral text level, Internet chatting text at intermediate level between oral text and literal text, soap opera script text, newspaper article text having literal text level, and essay text, and all of six texts destroyed limitation on 'an' short-form negative sentences. The chapter investigated changes of limitation on 'an' short-form negative sentence by each type of predicate and examined causes of changes of limitation on 'an' short-form negative sentence. Chapter IV examined educational acceptance of changes of limitation on negative sentences. At first, the chapter examined negative sentences of school grammar in the past, limitation of negative sentences and associated problems. And, the chapter described educational contents and methods of limitation on negative sentence to establish education ways of limitation on negative sentences of school grammar. In this study, grammar education was important to let learners experience grammar and to let citizens having same language accept educational contents of school grammar at their linguistic liv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선행 연구 검토 4 C.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10 Ⅱ. 부정문과 텍스트에 대한 이론적 고찰 12 A. 부정문 12 1. 부정문의 개념 12 2. 부정문의 유형과 제약 14 3. ‘안’ 단형 부정문 제약 18 B. 텍스트 38 1. 텍스트의 개념 38 2. 텍스트의 유형과 성격 40 Ⅲ. 텍스트에 나타난 ‘안’ 단형 부정문 제약 변화 양상 46 A. 구어 텍스트 층위의 ‘안’ 단형 부정문 제약 변화 양상 47 1. 토론에서의 변화 양상 47 2. 일상 대화에서의 변화 양상 54 B. 구어 텍스트와 문어 텍스트 중간 층위의 ‘안’ 단형 부정문 제약 변화 양상 67 1. 인터넷 채팅에서의 변화 양상 67 2. 드라마 대본에서의 변화 양상 74 C. 문어 텍스트 층위의 ‘안’ 단형 부정문 제약 변화 양상 83 1. 신문 기사에서의 변화 양상 83 2. 수필에서의 변화 양상 90 D. 종합 분석 결과 및 논의 94 Ⅳ. 부정문 제약 변화 양상에 대한 교육적 수용 97 A. 학교문법의 부정문 제약 기술 현황과 문제점 97 1. 학교문법의 부정문 제약 기술 현황 97 2. 학교문법의 부정문 제약 기술의 문제점 102 B. 학교문법의 부정문 제약 교육 방향 104 1. 학교문법의 부정문 제약 교육의 내용 104 2. 학교문법의 부정문 제약 교육의 방법 106 Ⅴ. 결론 112 참고문헌 115 ABSTRACT 11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8971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400-
dc.title학교문법의 부정문 제약 교육 방안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Education Methods of Limitation on Negative Sentences of School Grammar-
dc.creator.othernameKim, Tae Yeon-
dc.format.pageix, 11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13.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