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4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서혁-
dc.contributor.author장새롬-
dc.creator장새롬-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58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58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7714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461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7147-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methods of critical literacy education focused on themes and issues. It defined the concept of themes and issues and suggested the methods and practices of critical literacy education focused on themes and issues based on the three aspects of Fairclough's discourse analysis: text, discursive practice, and social practice. These days, the concept of literacy is considered something sociocultural rather than individual. Therefore, the concept of critical literacy has been adopted to overcome the previous concept of critical reading that objectively evaluates the accuracy, efficiency, and validity of text and to focus on sociocultural contexts. It allows learners to critically perceive the ideologies hidden behind text in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sociocultural context to configure social practice. In this respect, this study created a method of critical literacy education focused on themes and issues based on the three aspects of Fairclough's discourse analysis. Chapter Ⅱ established the theoretical foundation to develop the method of critical literacy education focused on themes and issues. First, text, discursive practice, and social practice, the hierarchy of text analysis as a social practice designed by Fairclough (1992), was suggested. Also, the concepts of theme and issue were systemized to discuss the significance and direction of critical literary education focused on themes and issues. Here, it was clarified that the themes of text are very closely related to critical literacy and the concepts of locutionary (discourse) theme, illocutionary (il-discourse) theme, and perlocutionary (per- discourse) theme were defined in order to do so. The concept of issue was also defined to understand ideological conflicts on the other side of text. Based on this discussion, the significance and direction of critical literacy education focused on themes and issues were suggested. Chapter Ⅲ suggested critical literacy education focused on themes and issues in three aspects. First, it is the process of analysis of text focused on themes and this involves understanding locutionary (discourse) theme and configuring illocutionary (il-discourse) theme. Locutionary (discourse) theme was understand by preparing a semantic map, and discourse-rhetoric structural analysis, grammatical analysis, and contexts were suggested to configure the illocutionary (il-discourse) theme according to my intention and the function and purpose of text. Second, reciprocating text was used to understand and explore the issues through controversial text and supplementary text reading. Third, a discussion activity was configured for learners to understand the issues and ideological conflicts of a theme and for readers to suggest critical alternatives. Chapter Ⅳ configured a method of critical literacy teaching-learning focused on themes and issues. First, the principle of selecting themes and texts was suggested through a critical review of the text for critical reading. Second, a model of critical literacy teaching-learning focused on themes and issues was configured to suggest the practical method of teaching-learning based on specific texts. The model of critical literacy teaching-learning focused on themes takes the following steps: First, it is the process of text analysis and theme configuration. It prepares a semantic map of text to understand the main topic and configures the illocutionary (il-discourse) theme through rhetoric structure, grammar, and context analysis. Second, it is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the issues. Controversial text reading is used to understand the conflicting issues and the ideology on the other side and to specify the issues through supplementary text reading. Third, it is the discussion activity. The learners choose their position on the issues and create the discourse of power and ideologies through reasoning to experience that the discourse is the site of conflicts of power and ideologies. Fourth, the above discussion activity allows each individual learner to suggest their critical alternative against the themes and issues. It is hoped that this study contributes to systemized critical literacy education in the classrooms to improve learners' critical literacy.;본 연구의 목적은 주제와 쟁점을 중심으로 한 비판적 문식성 교육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주제와 쟁점의 개념을 밝히고, 페어클라우(Faircough)의 담론의 세 가지 차원 즉, 텍스트, 담론적 실천, 사회적 실천을 바탕으로 한 주제와 쟁점 중심 비판적 문식성 교육 방안과 실제를 제시하였다. 최근 문식성의 개념은 단지 개인적인 것이 아닌, 사회 문화적으로 구성된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이에 따라 텍스트의 정확성, 효율성, 타당성 등을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기존 비판적 읽기의 개념을 극복하고 사회 문화적 맥락을 중시하는 비판적 문식성의 개념이 도입되었다. 이는 사회문화적으로 구성된 텍스트를 이해하는 과정에서 학습자가 텍스트 이면에 숨겨진 이데올로기를 비판적으로 인식하고 이를 바탕으로 사회적 실천을 구성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페어클라우(Fairclough)의 담론 분석의 세 가지 차원을 바탕으로 주제와 쟁점 중심 비판적 문식성 교육 방안을 구성하였다. Ⅱ장에서는 주제와 쟁점 중심 비판적 문식성 교육 방안 구성을 위한 이론적 전제를 마련하였다. 먼저, 비판적 문식성의 개념을 재개념화하고 페어클라우(Fairclough,1992)가 고안한 사회적 실천으로서의 텍스트 분석의 층위인 텍스트, 담론적 실천, 사회적 실천을 제시하였다. 또한 주제와 쟁점의 개념을 체계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주제와 쟁점 중심 비판적 문식성 교육의 의의와 방향을 논의하였다. 여기서 텍스트의 주제 구성이 비판적 문식성과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밝히고, 이를 위해 담화적 주제, 담화수반적 주제, 비판적 담화효과적 주제의 개념을 선정하였으며, 텍스트 이면에 있는 이데올로기 대립의 양상 파악을 위한 쟁점의 개념도 밝혔다. 이 논의를 바탕으로 주제와 쟁점 중심 비판적 문식성 교육의 의의와 방향을 제시하였다. Ⅲ장에서는 주제와 쟁점 중심 비판적 문식성 교육의 내용을 세 가지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첫째는 주제 중심 텍스트 분석의 과정으로서 이는 담화적 주제 파악과 담화수반적 주제 구성을 포함한다. 의미지도(Semantic map)의 작성을 통해 담화적 주제를 파악하고, 담화-수사적 구조 분석, 문법 분석, 맥락 파악 등을 통해 필자의 의도와 텍스트 기능 및 목적에 따른 담화 수반적 주제를 구성할 수 있도록 제시하였다. 둘째는 상호텍스트성을 활용하여 논쟁적 텍스트 및 보완적 텍스트 읽기를 통해 쟁점을 파악하고 심화시키는 것으로 구성하였다. 셋째는 학습자가 하나의 주제에 관한 쟁점, 이데올로기의 대립양상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독자가 비판적 대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토론활동을 구성하였다. Ⅳ장에서는 주제와 쟁점 중심 비판적 문식성 교수-학습 방안을 구성하였다. 먼저, 주제 및 텍스트 선정의 원리를 기존 비판적 읽기를 위한 텍스트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통해 제시했다. 다음으로, 주제와 쟁점 중심 비판적 문식성 교수-학습 모형을 구성하고 이를 구체적 텍스트를 기반으로 교수-학습 방안의 실제를 제시했다. 주제와 쟁점 중심 비판적 문식성 교수-학습 모형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가진다. 첫째, 텍스트 분석 및 주제 구성의 과정이다. 먼저 텍스트에 대한 의미지도 작성을 통해 중심내용을 파악하고, 수사적 구조, 문법, 맥락 분석을 통해 담화수반적 주제를 구성하는 것이다. 둘째, 쟁점 파악의 과정이다. 논쟁적 텍스트 읽기를 통해 대립하는 쟁점과 그 이면에 있는 이데올로기의 양상을 파악하고, 보완적 텍스트 읽기를 통해 쟁점을 구체화 하는 것이다. 셋째, 토론 활동이다. 쟁점에 대해 학습자가 자신의 입장을 선택하고 논증 과정을 통해 권력 및 이데올로기는 담화로 실현되고, 담화는 권력과 이데올로기 대립의 현장임을 체험하도록 하는 것이다. 넷째, 위의 토론 활동을 통해 개별적 학습자가 주제와 쟁점에 관한 자신만의 비판적 대안을 제시하는 과정이다. 본 연구를 통해 실제 교육 현장에서 비판적 문식성 교육이 체계적으로 실현되고 이를 통해 학습자의 비판적 문식성이 신장되기를 기대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B. 선행 연구 검토 4 C. 연구 내용 및 방법 11 Ⅱ. 주제와 쟁점 중심 비판적 문식성 교육 방안 구성을 위한 이론적 전제 13 A. 비판적 문식성의 개념과 이론적 배경 13 1. 비판적 문식성의 재개념화 13 2. 페어클라우(Fairclough)의 사회적 실천으로서의 텍스트 읽기 방법 17 B. 주제와 쟁점 중심 비판적 문식성 교육의 의의와 방향 24 1. 주제와 쟁점의 개념 및 체계화 24 2. 주제와 쟁점 중심 비판적 문식성 교육의 의의와 방향 31 Ⅲ. 주제와 쟁점 중심 비판적 문식성 교육의 내용 37 A. 주제 중심 텍스트 분석 37 1. 의미지도 작성 37 2. 담화∙수사적 구조 분석 40 3. 문법 분석 46 4. 맥락 파악 50 5. 담화수반적 주제 구성 58 B. 상호텍스트성을 활용한 주제 중심 읽기 활동 60 1. 논쟁적 텍스트 읽기 62 2. 보완적 텍스트 읽기 68 C. 쟁점 중심 토론 활동 72 1. 예비적 입장 선택 75 2. 논증 과정 75 3. 비판적 대안 제시하기 77 Ⅳ. 주제와 쟁점 중심의 비판적 문식성 교수-학습 방안 80 A. 주제 및 텍스트 선정의 원리 80 1. 기존 비판적 읽기를 위한 텍스트에 대한 비판적 검토 80 2. 주제 및 텍스트 선정의 원리 84 B. 주제와 쟁점 중심 비판적 문식성 교육 방안의 적용 88 1. 주제와 쟁점 중심 비판적 문식성 교수-학습 모형 88 2. 주제와 쟁점 중심 비판적 문식성 교수-학습 방안의 실제 90 Ⅴ. 결론 113 참고문헌 115 ABSTRACT 12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72653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400-
dc.title주제와 쟁점 중심 비판적 문식성 교육 방안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Methods of Critical Literacy Education Focused on Themes and Issues-
dc.creator.othernameChang, Saerohm-
dc.format.pageix, 12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13.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