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72 Download: 0

생태의식 고양을 위한 고전문학 교육 방안 연구

Title
생태의식 고양을 위한 고전문학 교육 방안 연구
Other Titles
A study about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of classical literature to enhance ecological conciousness : fociusing on Lee, Gyu-bo's literature
Authors
권혜정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소연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생태의식 고양을 위한 고전문학 교육 방안을 제안하는 데에 있다. 서구 사회로부터 기인한 인간중심적 세계관과 환경 파괴적인 산업 구조는 현대 사회에 심각한 생태위기를 가져왔다. 서양은 자연과학의 발전과 산업혁명에 힘입어 빠른 속도로 근대화되었으며, 인문학은 그에 대한 정당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하였다. 동양사회는 서양의 문물을 받아들여 물질문명을 발달시키는 것에 주력하였고, 그들의 종교와 철학을 수용함으로써 사고체계를 다양화했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는 1960~70년대에 이루어진 대대적인 산업화로 인하여 심각한 생태위기가 초래되었다. 이러한 가운데 동·서양의 생태학자들은 전 세계적 생태 위기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동양의 생태사상에 주목하고 있다. 고전문학을 동양의 생태학적 지혜가 형상화된 문화적 산물이라고 보았을 때, 그를 통한 생태의식 교육의 가능성을 엿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전문학에 나타난 생태의식을 밝히고, 그를 통하여 학습자들의 생태의식을 함양시킬 수 있는 고전문학 교수·학습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생태학은 본래 자연과학에서 출발한 학문이다.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생태학에 대한 체계적인 정리가 이루어지게 되었다. 이러한 흐름과 맞물려 생태학과 여타 학문과의 연대가 활발하게 이루어짐으로써, 다양한 이론들이 양산되었다. 이 과정에서 문학과 생태학이 결합한 문학생태학이라는 새로운 영역이 구축되었다. 우리나라에서 문학생태학에 대한 연구가 본격화된 것은 1990년대에 들어서부터이다. 이와 같은 학문 경향에 맞추어 국어 교육계에서도 문학생태학에 대해 관심을 기울이기 시작하였으며,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서부터 ‘생태’교육에 대한 언급이 시작하였다. 현대문학의 시(詩) 분야에서는 ‘생태시’라는 갈래가 활발하게 창작되고 있으며, 교과서에도 빈번하게 수록되어 문학교육 텍스트로 활용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고전문학을 통한 생태교육의 움직임은 부진한 상태에 머물러 있다. 고전문학에 나타난 생태의식은 현대문학의 그것과는 다르다. 현대문학에 나타난 생태의식이 현실에 대한 비판과 그에 대한 후(後)처치의 개념이 강하다면, 고전문학에 나타난 생태의식은 자연 만물과 인간의 수평적 관계 맺음 속에서 이루어진 상호작용을 바탕으로, 파괴 이전의 자연 공간에서의 공존하는 삶의 양상으로 드러나 있다고 볼 수 있다. 둘의 차이점을 인식함으로써 고전문학을 통한 생태교육의 필요성이 보다 강조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를 위한 첫 번째 단계로 문학교육적 활용을 위한 고전문학 텍스트 구축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중세를 대표하는 문인 이규보의 『동국이상국집』을 대상으로 하여 생태의식 교육 텍스트를 선정하였다. 『동국이상국집』에 실린 작품 중에서 작가의 자연관과 생태의식이 잘 드러난 작품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이규보 작품에 나타난 생태의식을 다음의 다섯 가지로 추출해낼 수 있었다. 1) 자생자화(自生自化)하는 생성과 소멸의 원리 2) 만물의 존재가치에 대한 수평적 인식 3) 자연물과 주변 사물로부터 배우는 삶의 지혜와 교훈 4) 자연의 법칙에 순응하는 삶의 태도 5) 자연친화적인 관찰자의 태도 위에서 추출한 생태의식을 구체적인 작품과 함께 살펴봄으로써, 생태학적 관점에서 바라본 이규보 작품의 교육 가치를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필요한 것은 교수·학습의 구체적 방안을 마련하는 일이었다. 앞선 논의들을 바탕으로 생태의식 표현 양상이 두드러진 작품을 선정하여, 구체적인 교육 방안을 모색하고자 했다. 이 과정에서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 소단원을 구성하고, 그에 대한 지도 방안을 제시하였다. 소단원 구성에 있어서는 교육 과정과의 연계성을 고려하였다. 생태학적 접근에 따른 고전문학교육에 있어 ‘무엇을’, ‘어떻게’ 교육할 것인가에 주목하여, 향후 고전문학을 통한 생태교육의 방향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연구라고 생각한다. 생태위기는 우리 앞에 놓인 생존의 문제이다. 고전문학에 나타난 생태의식을 학습하고 내면화함으로써 생태 중심적 사고로의 전환을 이루고, 미래 사회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인재를 키워내는 일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purpose of the study is to suggest ecological consciousness education program through classical literature. Not only person-centered world view but also environment destroying industrial structure that was originated from the Western society creates serious ecosystem crisis in modern society. The Western society was rapidly modernized owing to not only development of natural science but also industrial revolution. Liberal arts science justified the transformation. On the other hand, the Oriental society accepted the Western culture in the process of civilization. They diversified thinking system by accommodating Western religion and philosophy. South Korea, especially, caused serious ecosystem crisis because of large-scaled industrialization throughout the 1960s and the 1970s. The ecosystem scholars from East and West notice the Oriental ecosystem ideology to solve ecosystem crisis in the world. The classic literature is a cultural outcome that ecological wisdom of the East is reflected. Therefore, it possesses possibility of ecological consciousness education. This study examines ecological consciousness of classic literature. Moreover, it suggests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 of ecological consciousness. The ecology was originated from natural science. Since people got interested in the environmental issues in the 1970s, United States started to organize ecology systematically. As a result, the ecology has been actively connected with other scientific fields. This tendency results in producing various kinds of theories. The literature is connected with the ecology to open new area of literary ecology. In the 1990s, research about literary ecology started in South Korea. Korean language education area started to pay attention to the literary ecology in accordance with such a trend of science. From the 2007 revised national education curriculum, 'ecology' education has been dealt with. The modern literature actively produces 'ecological poem' in poetry area. The textbooks frequently deal with the ecological poem to make use of it for the ecology education. On the contrary, ecological education movement by classic literature has been inactive. The ecological consciousness of classic literature differs from that of modern literature. The ecological consciousness of modern literature criticizes the realities to have concept of post-treatment, while that of classic literature has horizontal relations between the nature and men to seek for coexisting life. Therefore, ecological education by classic literature is required. At the first stage, classic literature text for literary education should be built up. This study selects ecological consciousness educational text, 'Donggukisanggukjib' written by Lee, Gyu-bo who represents the era of the medieval times. The study selects and investigates literary works that shows nature view as well as ecological consciousness of the writer among the works of Donggukisanggukjib. Lee Gyu-bo's literary works has five different kinds of ecological consciousness: 1) Principle of production and extinction of Jasaengjahwa; 2) Horizontal cognition on existence values of all creation; 3) Wisdom and lesson of the lives that learned from natural things as well as adjacent things; 4) Life attitudes that adapted them to the rule of the nature; 5) Watchers' nature-friendly attitudes The author investigates aforementioned ecological consciousness based on the concrete works, and find out educational values of Lee Gyu-bo's works from the ecological point of view. And, the study makes teaching learning program of the ecological consciousness. The author selects literary works having good expressions of ecological consciousness based on aforementioned discussion to seek for concrete education program. The study makes a sub unit for high schools literary text book and suggests teaching plan. The author considers the connection between suggested sub unit and curriculum. This study is valuable to examine what and how to educate students through classic literature at ecological consciousness education, and it gives directions for the ecological education based on the classic literature in the future. Ecological crisis is a survival problem for human. The author hopes that we can move toward the ecosystem-oriented mind by learning and internalizing the ecological consciousness appearing in classic literature and educate talented students who can solve social problems in the futu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