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7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경옥-
dc.contributor.author이나래-
dc.creator이나래-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55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55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7668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458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6684-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노인의 건강정보이해능력과 건강행동 간의 관련성을 규명하고자 서울시 소재 2개의 노인복지회관과 4개의 경로당을 이용하는 만 65세 이상 노인 187명을 대상으로 구조화 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일대일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관련 특성) 13문항, 기능적 건강정보이해능력(KFHLT) 15문항, 건강행동(영양, 운동, 건강책임, 질병예방) 21문항으로 총 3개 영역, 49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ASW Statistics 18.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일원분산분석(ANOVA), Pearson의 단순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의 통계기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 대상자의 기능적 건강정보이해능력 전체 정답률은 44.6%였으며, 독해 영역의 정답률 45.5%, 수리영역의 정답률 43.9%로 수리영역의 정답률이 약간 낮은 편이었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기능적 건강정보이해능력의 차이를 살펴보면 인구사회학적 특성에서는 연령이 높을수록, 교육수준의 경우 무학보다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배우자가 있는 사람일수록, 동거인이 있는 사람일수록, 월평균 용돈이 10만원 미만인 사람에 비해 10만 원 이상인 사람일수록 유의하게 높았다. 건강관련 특성에서는 가족, 이웃, 친구로부터 건강정보를 얻는 사람이 유의하게 낮았고,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건강관심도가 많을수록, 보유질환 수가 없을수록, 최근 1년간 입원한 적인 없는 사람일수록 유의하게 높았다. 기능적 건강정보이해능력 점수와 건강행동 간에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중등도 수준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440, p=.000). 또한, 건강행동의 세부 항목별 상관관계에서도 영양(r=.407, p=.000), 운동(r=.431, p=.000), 건강책임(r=.327, p=.000), 질병예방(r=.365, p=.000) 모두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다중회귀 분석결과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기능적 건강정보이해능력이 건강행동을 설명하는 설명력은 33.6%이었다. 대상자의 건강행동에 관련된 일반적 특성 중 건강관련 특성에서는 건강관심도가 높을수록, 병의원 이용 빈도가 높을수록 건강행동 실천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건강정보 이용경로 중 신문, 책, 인터넷으로 건강정보를 얻는 사람에 비해 의료기관에서 건강정보를 얻는 사람일수록 건강행동 실천수준이 낮았다. 또한 기능적 건강정보이해능력의 총점이 높을수록 건강행동 실천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노인의 건강행동 실천수준 향상에 있어 건강정보이해능력을 고려해야 하며, 노인의 건강정보이해능력 높이기 위한 교육 및 중재 전략 개발이 필요하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literacy and health behaviors of some elderly population in Korea. From November 7, through October 25, 2012, the one-on-one interview was performed with 187 aged participants over the age of 65 living in Seoul. The research tool is comprised of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functional health literacy(KFHLT), health behaviors(nutrition, physical activity, health responsibility, preventive care).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PASW 18.0 program, frequently and percentages,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1. The mean score of total functional health literacy was 6.70(±)3.62 under the standard of 0-15. 44.6 percent of total subjects answered the question correctly. 43.9 percent of the total subjects answered the question correctly in mathematics, and 45.5 percent of the total subjects answered the questions correctly in reading comprehension. 2.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unctional health literacy according to age, education level, marital status, living arrangement, average monthly allowance, health information utilization channel, perceived health status, health concern, number of diseases and hospitalization experience in the general features. 3.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functional health literacy and health behaviors(r=.440, p=.000). Concretely, functional health literacy was positively related to nutrition(r=.407, p=.000), physical activity(r=.431, p=.000), health responsibility(r=.327, p=.000) and preventive care(r=.365, p=.000). 4. It was found out that the health concern(β=.306, p=.000), the numbers of site(β=.251, p=.000), health information utilization channel(β=-.176, p=.039), and functional health literacy(β=.237, p=.001) have effect on health behaviors. The explanatory strength of general characteristics and the functional health literacy on health behaviors was 33.6%. Study findings suggest that efforts to improve health behaviors in elderly population should consider health literacy as an important factor and the effective intervention is necessary to enhance elders' health literac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목적 3 C. 용어의 정의 4 D. 연구의 제한점 6 Ⅱ. 이론적 배경 7 A. 건강정보이해능력 7 B. 건강행동 16 C. 건강정보이해능력과 건강행동 간의 관련성에 관한 선행연구 20 Ⅲ. 연구방법 22 A. 연구 설계 22 B.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방법 23 C. 연구도구 및 내용 25 D. 자료 분석방법 28 Ⅳ. 연구결과 29 A. 연구대상자의 특성 29 B. 일반적 특성에 따른 기능적 건강정보이해능력의 차이 37 C. 일반적 특성에 따른 건강행동의 차이 41 D. 기능적 건강정보이해능력과 건강행동 간의 관련성 45 V. 논의 47 Ⅵ. 결론 및 제언 53 참고문헌 56 부록 : 설문지 66 Abstract 7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2551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노인의 건강정보이해능력과 건강행동 간의 관련성-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ssociations between Health Literacy and Health Behaviors of some elderly population in Korea-
dc.creator.othernameLee, Na Rae-
dc.format.pageix, 7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보건관리학과-
dc.date.awarded201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보건관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